1. 장학금, 인건비가 타학과 대비 적음 2. 학과 특성상 이것저것 다 하는데 뎁스는 개별 학과들보다 깊지 못함 3. 산공, 산시라는 학과가 해외에는 생각보다 별로 없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4.03.13
P 산공과 재학중인데 전혀 공감 못하겠음 K산공과 사정도 대충은 아는데 적어도 SKP급 산공과에 멀쩡히 돌아가는 랩실들은 플젝도 많고 연구도 잘함 아래 학교들은 모름
2024.03.13
ㅇㅇ는 거른다고 하는 사람들 중 제대로 된 사람 못봄. 지적으로 게으르니 어떻게든 묶어서 싸잡는 거지.
대댓글 1개
2024.03.15
요즘은 ai가 많이 발달되서 추론능력과 논리가 겸비된 것들이 나올것 같아서 부족해도 상관없을듯요
2024.03.13
spk 산공랩 좋습니다
2024.03.13
깝치지마라
2024.03.13
다른학교나 다른 랩은 모르겠습니다. 매달 다르지만 300정도에 프로젝트 추가 수당 등 합치면 400정도 받는 달도 있고 기업 장학생 150~200 정도 더 받으면 월 500씩 받으면서 학교 다닐 수 있습니다. 본인이 아는 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2024.03.13
산공과가 스스로에게 자부심을 갖기위한 고도의 어그로 아닐까 ㅋㅋㅋㅋ
2024.03.13
1. 케바케. 난 프로젝트 너무 많았음. 2. 나도 박사과정 때까지는 비슷하게 생각했었지만, 몇몇 대기업과 정출연을 거쳐 지금은 사업하면서 생각이 달라짐. 타과와 겹치는 분야에서 경쟁한다고 할 때, 타과가 뎁스는 깊을 수 있지만 시야가 좁은 경향이 있음. 반면 제대로 공부하고 고민한 산업공학도라면 시야가 넓고 산공 특유의 시스템적 사고 방식을 가지게 되는데 이게 꼭 필요한 분야들이 있고, 결과적으로 고객을 더 만족시켜서 경쟁에서 이기는 경우가 많았음. 3. 아무래도 역사가 아직 길지 않은 학과다보니 그러한 면이 다소 있으나, 미국 대학만 해도 MIT, 조지아텍, UC 버클리, 퍼듀, 버지니아텍, 컬럼비아, 미시간 앤아버, 코넬, 펜스테이트, UIUC, 텍사스 A&M, 오하이오, 리하이, RPI 등 70개 정도 되는데 이 정도 숫자가 그렇게 적은 편은 아닌 듯
2024.03.14
해외에 산공 없다는 건 좀...
2024.03.14
해외대 산공 많아요... 대학원도 인기 있구요
2024.03.14
ㅋㅋㅋㅋㅋㅋ우매하다 못해 웃기네
2024.03.14
우리나라만큼 산공 필요한 나라가 없음 우리나라만큼첨단 제조 산업의 대규모 공장이 많은 나라가 없고 / 후진적인 금융 /
2024.03.14
해외에 없다기보다는 작성자님이 산공이 영어로 뭔지 모르시는 거 아닌가요 장학금 인건비가 적고 뎁스 낮다는 어디서 주워들은거에요 ㅋㅋ 최적화 해보시긴 했어요?
2024.03.15
ML 연구하다보니, 산공 사람들 학부부터 최적화나 통계쪽 미리 공부해둔거 같아서 부럽다 생각한적 있었는데, 뎁스가 낮은건 아니지 않나요?
2024.03.13
2024.03.13
대댓글 1개
2024.03.15
2024.03.13
2024.03.13
2024.03.13
2024.03.13
2024.03.13
2024.03.14
2024.03.14
2024.03.14
2024.03.14
2024.03.14
2024.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