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mdpi만 투고하자는 지도교수님..

2024.03.23

15

7399

석사 3학기 재학 중에 있습니다.

우연히 좋은 기회로, 저번학기에 mdpi 내 sci급 저널에 1저자로 투고 하게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년도에 연구실 내 사업 실적으로 인해 교수님께서 저번과 같은 방법론+고도화 방향으로 mdpi 내 다른 sci급 저널에 투고를 하자고 하십니다(저 1저자, 교수님 교신).

mdpi가 약탈적 저널로 알려져 있어 평이 좋지 않은 걸로 알고 있는데, 괜찮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4.03.23

실적으로 안봐주지....

2024.03.23

없는거 보단 있는게 훨 나음. 본인이 더 좋은곳에 쓸수있도록 결과를 내야겠죠.
긍정적인 윌리엄 셰익스피어*

2024.03.23

교수님은 상관 없죠 자긴 실적이 되니깐 실적이 안되는 건 님이죠

2024.03.24

없는것보다야 머든 있는게 좋죠..
엄청 좋은 대학원 교수님께 면담하러갔을때도 제가 엠디피아이에 게재한게 있다하니 그분 연구실은mdpi에 절대 안내지만, 퀄리티가 좋은논문도 있다는것 정도는 인지하십니다.
석사시니까 아무래도 시간이없어서 mdpi에 냈나보다 하고 이해하실것같다만.. 두편을 다 mdpi에 내는건 또 좀 고민되실만한것같네요...교수님께 다른,저널도 제안해보심이...ㅎㅎ(근데 다른저널들은 좀 느리긴하죠...)

대댓글 1개

2024.03.24

저는 한번 졸업 제때하려고 mdpi쓴거에대해서 부끄러워하진않아요. 주댕이 자유분방한 몇몇사란들이들이 머 쓰레기저널이네 할수도있지만 제 실적을알고 제연구를 이해하고있는사람들은 그런말 못할거라고 생각해요.
저뿐만아니라 mdpi에 냈던사람들 다 비슷하게
한번급해서 게재했지만 담엔 엄청 좋은곳내고싶어해요...
연구자라면 욕심이 있으니깐용

2024.03.24

윗분 말대로 상황을 조금 이해해보세요. 글쓴이분이 원하는게 석사과정 2년동안 열심히 일하고 그걸 논문화를 빡세게 해서 좋은저널에 투고하시는건가요? 그럴 경우 리비전등의 시간을 고려하면 3년정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그게 아닐경우 단기간의 실적으로 석사때 mdpi 2편이면 충분히 훌륭합니다. mdpi에 대해서 안좋은 이야기들이 많은데 석사과정 실적으로 부족할정도의 수준은 절대 아니에요.
하이브레인넷에 현직들도 mdpi에 대한 논쟁이 끊이질 않은데, 학생분들한테도 영향을 많이 주나보네요.

대댓글 1개

2024.03.24

하브넷에 교수방에 최근 MDPI 글이 핫한데 한번 읽어보세요.
최소한 여기처럼 논리없이 MDPI 비방하지는 않고 논리적으로 어떤점이 부족한지, 어떤점은 비방받기에 억울한지 등에 대해서 토론을 하고 있습니다.
김박사넷 특성상 학생분들이 많다보니 정말 내용과 근거없는 비난이 많은데 저런글들 보면서 조금 반성하시길 바랍니다.
(예, 항상 핫해온 학벌논쟁/ETRI뭐시기 글/MDPI 글 등..)

2024.03.24

석사과정이 mdpi내는건 ㄱㅊ음 오히려 잘한거
교수되고나서 승진할때 mdpi로 채워내는게 문제지

2024.03.24

연구실에서 MDPI만 내는지, 아니면 학생 논문만 내려고 하는지에 따라서 판단이 다를 것 같네요. 전자라면 동료 교수로서 실력있는 연구자라고 판단하기는 어려울 것 같고, 후자라면 교수님이 생각하기에 학생 논문이 MDPI에 출판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 같아서겠지요.

2024.03.24

MDPI내의 SCIE 저널들은 좋은 저널입니다. SCIE자체가 톰슨 로이터 사설회사에서, (국가 신용등급을 사설회사인 S&P나 피치가 하듯이) 평가하고 매깁니다. 그 명성을 유지해야하기세 엄격하게 평가하니 믿을 수 있습니다.

단, 보수적인 학계에서 각 학계 학회의 공식저널이 있는데, 현재 학계의 흐름을 크게 반영합니다. MDPI는 그에 반해서 좀 더 자유롭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SCIE급 오픈 억세스 저널들은 게재료 비싸긴 다른 출판사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석사때인만큼 SCIE 저널에 많이 내시고, 차차 다른 저널들에도 내시길 바랍니다. 대륙별로 미국 저널과 유럽 저널이 다르고, 중국 아시아쪽이 다릅니다. 데이터가 어느 대륙이냐도 다르구요.

2024.03.24

MDPI를 내는게 석사생한테는 더욱 중요한 문제입니다 성과를 떠나서 님이 어떤 연구자가 되는지와 관련이 있죠 수많은 리비전 과정과 생각하는 힘과 연구의 기본적인 역량 세팅은 첫 논문에서 많이 결정됩니다 이 시기를 어떻게 보냈느냐가 앞으로 님이 많고 새로운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지 아님 계속 같은 방법론으로 쉬운 언구만 하게 되는지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죠

단순히 MDPI를 내는것만으로 모든걸 알수는 없지만 석사생한테 첫 논문이 쉽게 나오는 것은 긴 연구자의 인생으로 볼때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점도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싶네요

대댓글 1개

2024.03.24

너무가신것같네요;
님이 만약 다이어트하다 어쩌다 햄버거 한번먹는다고 다이어트 망했다고 앞으로 다이어트 할수있겠냐고 주변에서 소금뿌리고 그러면 견디겠어요?...저분도 mdpi가좋다는 말도없었고 뮤조건 맨날 저 저널만 애용할거다 한적도없는데...

2024.03.24

교수가 보기에 내용이 mdpi수준이거나. 아니면 빨리 출간해야하나 보죠.

2024.03.25

교수들도 논문 퀄리티에 실적 영향을 받습니다. 안타깝지만 교수님 본인 연구실 수준이 그정도 뿐이 안된다 못밖음하셨네요

2024.03.25

개인적으로 없는 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