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는 부분 최대한 찾고 정리도 하면서 읽고는 있는데요.. 문제는 이해가 안 가는 부분도 너무 많고 그러다 보니까 이해한 내용이 맞는지도 모르겠고ㅜㅜ 무엇보다 너무 시간이 오래 걸려서요
아무래도 논문을 읽어라 = 다 읽고 정리까지 해라 일 것 같은데 시간이 너무너무 오래 걸리면 게으른 학생으로 보이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4.03.24
어차피 그렇게 못읽는거 알고있음. 석사생들 시켜도 논문 잘 못읽음. 흐름 위주로 읽으세요. 그걸 완벽히 알기 위해서는 기존에 어떤 연구가 있었는지 다 알아야합니다.
이전에 저희 교수님도 말씀하셨지만 교수가 된 지금도 논문하나를 완벽히 이해하려면 엄청난 시간이 걸린다고 하셨습니다. 석박사생들과 다른 점이 있다면 왜 이런 연구를 했고 어떤 점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지 더 빨리 파악할수 있다는거였죠
저는 학부생들한테 깡으로 논문 던져주는걸 별로라고 생각해서. 학부연구생이 와도 요점과 흐름을 잡아서 정리해서 설명해줍니다.
대댓글 1개
2024.03.24
친절하게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최대한 흐름을 봐보겠습니다ㅎㅎ 초점을 맞출 위치를 빠르게 알 수 있을 때까지 논문을 많이 읽어야겠어요
2024.03.24
키워드 기억하고 핵심 흐름 설명할 수 있으면 아주 잘 읽은 거죠. 이 논문은 어떤 모티베이션에서 쓴 거고,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방법론을 적용했고, 결과가 어떠하며 가능하다면 한계점 및 향후 보완 연구는 어떻게 되야 할 것인지. 기술적인 부분까지 정확히 이해하는 건 당연히 불거능하지만, 앞서 말한 것들은 사실 학부생도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사실 따지고 보면 수능 국어 비문학 문제랑 크게 다를 것도 없어요. 그렇게 생각하면 좀 부담이 덜하죠?
대댓글 1개
2024.03.24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모티베이션, 문제, 문제 해결 방법, 결과, 한계, 향후 방향을 최대한 생각하면서 보겠습니다!
2024.03.24
누구나 분야 진입하기엔 시간이 듭니다. 일주일만 해보셔요
대댓글 3개
2024.03.24
화이팅하겠습니당😭😭
2024.03.25
네~ 다들 지나온길이니 한번해보시고, 저도 우리분야사람이 되라는 뜻에서 논문 한편 제대로 읽어보라고 종종 조언합니다.
2024.03.26
확실히 한 번 꼼꼼하게 읽고 나니 다시 읽을 때 전체적인 그림이 잘 들어오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ㅎㅎ
2024.03.24
개인적인 팁을 드리자면, 논문당 최소 2번정도 정독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논문을 많이 안 읽어본 학부생이라면 이해못하는게 당연합니다. 모르는 용어는 구글링이나 위키피디아를 보면서 공부하시고(물어보기 편한 선배가 있다면 간단하게 설명해달라 부탁드리면 좋구요), 이해안되는 부분은 표시해놨다가 선배 혹은 교수님께 여쭤보세요. 중요한건 논문이 주장하는 바를 얼마나 깊게 이해할 수 있냐, 실제 실험/연구에 어떻게 써먹을까, 다른 관점에서도 볼 수 있냐, 이 논문의 한계점이 무엇일까 고민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대댓글 1개
2024.03.25
정성스러운 댓글 감사합니다! 논문을 어떻게 써먹을 지에 대해 고민해 보는 것도 정말 좋겠네요..!!
2024.03.25
gpt나 뤼튼에 구절 복사해서 번역시키고 읽어보세요. 추가로 모르는부분 질문해가면서 읽으면 더 좋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3.26
오 뤼튼은 처음 알았어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2024.03.31
교수고, 학부생들에게 논문 읽어오라고 시키긴하지만, 제가 학부생 시절 경험이나 지금 학생분들이 읽어오시는 것을 볼때 논문 내용의 약 10퍼센트 정도 이해가능하십니다 :)
2024.03.24
대댓글 1개
2024.03.24
2024.03.24
대댓글 1개
2024.03.24
2024.03.24
대댓글 3개
2024.03.24
2024.03.25
2024.03.26
2024.03.24
대댓글 1개
2024.03.25
2024.03.25
대댓글 1개
2024.03.26
2024.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