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대형 과제 선정 후 인건비 지급관련

2024.05.27

13

2681

S대 신입생입니다.

전에 있던 랩은 교수님께서 알아서 고정 인건비를 주셨는데, 새롭게 옮긴 곳에서 인건비 없이 BK만 받다가 오랜 기간 준비한 대형과제 1개, 기업 과제 1개에 선정되었습니다.

1. 인건비를 어떻게 요구해야하나요? 교수님께서 알아서 분배해주신다고 듣긴 했는데 선배들마다 급여가 다른 것 같고 이런 협의를 해본적이 없어서 그 방식이 궁금합니다. 기업과제는 제가 직접적인 기여는 하지 않고 있으며 현재 랩 자체에는 사무처리나 ppt제작 정도에만 기여하고 있고, 지금 완성한 개인 플젝을 위한 연구비는 충분히 펀딩해주신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사실 무급이어도 할 말이 없네요.

2. 만약 인건비 산정이 된다면 처음 근무한 기간부터 소급적용이 가능한가요? (근무는 2월부터, 입학은 3월부터 했고 현재까지 인건비 지급은 0원입니다.)

3. 인건비 상한에 BK는 적용되지 않고 하한으로는 적용을 받는게 맞나요?

4. 제가 학교에서 생활비 장학을 받고 있는 사실을 교수님께서 알고 계신데, 협상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을까요? 이미 장학금으로만 월 150이고, 사실 학비가 싸서 생계유지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제가 아직 학교 적응과 공부에도 벅차서 행정적인 부분에 대해 너무 무지한 것 같아 죄송합니다. 핑프를 위한 답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4.05.27

저도 학생이고 젊은 꼰대인지는 모르겠는데 이게 학생의 마인드가 맞는지 모르겠네요. 애초에 회사도아니고 '협상'이란 단어가 나올 줄은 몰랐네요

물론 너무 생활이 힘들거나 특정 사정이 생길경우 교수님과 '상담'해야겠지만
이건 뭐 돈벌러 온것도 아니고 심지어 과제 따는데 큰 기여한 것도 아니고 솔직히 제가 교수면 조금 당황스러울것같네요

인건비 중요하고 중요한 사항이지만 글에서 느껴지는 태도가 제가 오해하는 던지는 몰라도 좀 비지니스 맨 처럼 느껴져서 당황스럽네요

대댓글 1개

엉뚱한 아르키메데스*

2024.05.30

겉으로 표현만 안 할뿐 사실 세상 모든건 협상의 문제지

2024.05.2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게 교수님이랑 협상할꺼리입니까? 교수님이 알아서 분배해주신다고 했으면 그냥 가만히 있으시면 됩니다. 게다가 님은 교수님이 대형과제 따오는데 1도 기여한게 없잖아요. '인건비 없이BK만 받다가...' BK가 이름은 장학금이지만 그냥 대학원생 인건비 지원사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대댓글 1개

2024.05.27

아 제가 두서없이 배경을 전달했군요. 교수님께서 알아서 잘 분배해주신다고 '들은' 것이고 교수님께서 '논의'해보자고 면담 잡으셨습니다. 제가 '협상'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죄송합니다.

그리고 제가 타 랩에서 한학기 방황 후 기업과 다른 분야 연구를 고민하다 옮겼는데, 전에는 인건비만 200이었어서 기대 생활수준이 낮아진 것은 사실입니다.

비록 제가 연구경력이 적어 지적 기여는 못했더라도 제가 기숙사 오자마자 2월 내내 무급으로 밤새며 물리적으로는 충분히 노동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교수님께서 회사처럼 생각하고 출퇴근에 임하라고 말씀하셨고 기업형 업무구조가 이루어져있습니다. 아무래도 다들 몸담고 계신 분야와 환경이 달라 저에게 화가 나신 것 같네요. 그러나 언급하신 내용들 토대로 겸손하고 감사한 마음으로 면담에 임하겠습니다.

2024.05.27

1. 차라리 랩 선배들에게 물어보시는 게 제일 나을 꺼에요. 여기서 논의해봐야 아무 의미가 없어요. 2. 그리고 인건비는 과제 참여일부터 적용되기 때문에 소급적용은 안 될 겁니다. 3. 국가 과제 참여 시 인건비 하한이 적용되기는 할텐데 사실 이것도 큰 의미가 없어요. 4. 불리하고 유리하고의 문제라기 보다는 총액을 거기에 맞춰서 지급해 주실 가능성이 제일 크죠.

2024.05.27

연구실 문화마다 다른거라서 물어보셔도 별 의미 없어요
그래도 말씀드리면 제가 다니는 연구실은 과제수주/과제업무에 기여한바가 없으면 인건비 없거나 아주 조금 줍니다

2024.05.27

협상에서 중요한 것은 협상력입니다. 협상력이 생기려면 상대방이 내 요구를 들어주지 않았을 때 상대방이 잃을 수 있는 것에 대해서 상기시켜주는 것이 중요한데, 입학한지 얼마 안 된 학생은 보통 그런 게 없죠..

2024.05.28

학위는 있으면 좋을 거 같은데, 돈도 벌고 손해는 보기 싫고.

2024.05.28

1-2. 소급적용이 되는건 교수의 의지입니다. 연구과제가 따와졌고, 계약기간이 5월부터이고 글쓴이분이 참여율 50%로 과제참여중이라고 하죠. 근데 과제지급 과정이 늦어져서 6월에 돈이 들어왔으면 5/6월치 월급이 한번에 (총 100% 참여율만큼) 들어옵니다. 근데 글쓴이분같이 그동안 인건비를 못받던 상황일경우에는, 지도교수가 생각하는 최저월급이 있고, 3개월치의 월급을 감안해서 초반 5-6개월에는 인건비를 더 줄수도 있겠죠. 근데 후자의 경우에는 교수자율에 의한겁니다. 저희랩의경우에는 3월 입학예정자가 1,2월에 미리와서 시작할경우 그동안 소속이 애매해지는데(삭부 졸업 전이다보니) 1,2월에는 무급으로 하고, 대신 3,4월에 1,2월치를 추가적으로 주기는 했습니다.
즉, 지금 학교에서 최저인건비 기준이 어떻게돼있는지 모르겠지만, 딱히 그런게 없고 2-5월까지는 과제참여율이 0%이면 사실 의무적으로 본인한테 3개월치 월급이 소급적용되서 들어오진 않을겁ㄹ니다.
3.
4. 교수 의중에 따라 갈립니다. 제가 졸업한곳은 조교수당 명목하게 교내장학금이 있는데, 저희랩을 포함한 대다수랩은 조교수당/본인이 따온 장학금&수상비용 (삼성 휴먼테크 수상등)을 제외하고 인건비를 동일하게 줍니다. 다만 인건비가 조금 부족한 랩은 그런것들 다 고려해서 동일하게 주는곳도 꽤 많이있습니다.
같은 과제예산도 장비/웻랩등에 돈이 많이 필요한곳 (+신생랩의 경우 랩세팅을 위해서 초기에는 장비/재료비에 투자를 많이 할수밖에 없으니)과 CS처럼 컴터 하나만 필요한곳은 또 다를수밖에 없습니다.

2024.05.29

ㅋㅋ요새는 기업과제 인건비 학생도 주는갑네ㅋㅋ
뺨안맞는게 신기하네

대댓글 2개

2024.05.29

이건 좀 마인드가 안좋으시네요

2024.05.31

ㅋㅋㅋ 그니깐 이러다가 옆방 실험실에서 우리도 옆에 있으니 인건비 달라고 하겠네 사회주의어 뭐야 ㅋㅋㅋㅋ

2024.05.31

석사 60~120 ×박사 80~200받으면 많이 받는거 이건 장학금 조교 등등 다 포함한 가격임 나누지 말것 따로 받는거 아님 그 달에 통장금악이 이거면 끝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