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AI 석사 졸업 후, 연구는 끝인가요?

2024.06.07

10

2001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국내 ai 석사를 졸업하고 '미국 취업'을 알아보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저는 솔직히 대학원에 들어오면서 AI 석사를 마치면 최첨단 모델링을 연구하는 연구자, 즉 Research Scientist가 될 줄 알았어요. 모델의 디테일을 파고들고, 혁신적인 알고리즘을 만드는 역할을 기대했거든요. 그런데 최근에 졸업 선배들이나 커뮤니티에서 듣는 이야기들을 보면, 현실은 좀 다르더라구요.

많은 기업들이 박사급 인력들을 모델링 연구 같은 핵심 Research Scientist 역할로 배치하는 반면, 석사급 인력들은 주로 모델을 실제 제품으로 서빙하고 운영하는 MLOps나 백엔드 엔지니어링 역할을 맡고 있다고 하더라구요. 특히, 모델의 배포, 관리, 스케일링 같은 부분에 더 집중하게 된다고 합니다.

저 같은 석사생들은 석사학위만으로도 Research Scientist로 일하기 어려운 걸까요? 정말로 석사급 인력은 AI/ML 기술의 응용과 서빙에만 집중하게 되는 걸까요?

그리고 만약 그렇다면, 우리 석사들은 어떤 스킬셋을 강화해야 이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엔지니어링 스킬을 더 강화해야 할까요? 아니면 모델링 연구를 더 깊이 파야 할까요?

미국 AI 업계에 계신 분들이나 취업 준비하신 분들, 경험담이나 조언 부탁드립니다!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IF : 1

2024.06.07

케바케. 석사인데 1저자 논문이 3개다..? 기대치가 연구자인거고. 1갸또는 없다면 그냥 하고싶은 연규를 진행해줄 사람정도

대댓글 1개

2024.06.07

답변 감사합니다. 석사라도 성과로써 증명이 된다면, 능력껏 할 수 있다는 말씀이시군요.. 새겨듣겠습니다.

2024.06.07

좋은 기업 리서치 사이언티스트들은 박사여도 되기 힘들고 박사 + 탑티어 실적 다량으로 있어야 가능합니다 ㅜㅜ
조금 넓혀서 ai 모델러를 하고 싶은 거라고 본다면, 이것도 회사마다 다르긴하지만 주로 박사 + 실적 좋은 석사여야 비벼볼수 있을거같아요. 최근에 라지스케일 모델을 모두가 하면서 모델러가 설 자리가 점점 좁아지기 때문에 예전보다 이쪽 직군에 대한 수요가 줄어드는듯 싶습니다.

다만 ai를 하는 회사가 아닌 타 도메인에서 ai를 하려는 회서는 그래도 룸이 조금 더 있지 않나 싶은데 저도 이쪽 회사에 있는게 아니다보니 확실하진않네요

대댓글 2개

2024.06.07

그리고 저도 박사받고 회사에서 리서처로 모델도 만들어보고 논문도 써보고 하는데 뭐 점점 이게 빅테크와 싸움이 되는지도 모르겠고 ㅋ 뭐먹고 살지도 모르겠네요. 취준을 앞둔 사람에게도 재직자에게도 대학원생에게도 모두가 혼란스러운 시기인것같습니다..
지금이라도 mlops좀 배워놔야하나 ㅋㅋㅋㅋ

2024.06.08

답변 감사합니다. 이제는 AI로 연구가 아닌 수익화가 이뤄져야하는 시대에서 모델링보단 실질적인 서비스 개발을 위한 엔지니어링도 병행되어야하는것으로 보이네요.. 많이 공부하겠습니다...!

2024.06.08

모델의 디테일을 파고들고, 혁신적인 알고리즘을 만드는 역할 << 석사가 이게 되나요? 진짜 몰라서

대댓글 2개

2024.06.08

요새 탑컨퍼 1저자 석사인 경우 꽤 있습니다. 오히려 박사들 중에 sci 한편도 제대로 못건지고 졸업하는 사람들도 있죠

IF : 1

2024.06.08

일반적으론 힘들긴 합니다. 하지만 예외는 있고 언제나 천재들이 주도하죠.. 천재기만 하면 학부생이든 석사든 박사든 상관없지않을까요 예를 들면 UC버클리에 계신 유명한 교수님이 교신저자인 논문이 하나 있는데 1저자가 고등학생이었습니다 ㅋㅋ

2024.06.08

현직자 조언을 하자면, 가장 쉬운 방법은 박사를 미국으로 가는 걸 적극 추천합니다. 일단 미국 취업은 대부분 추천서를 받기 때문에 일반 한국 기업에서 미국으로 취업하는 건 정말 어렵습니다. 인맥이 정말 중요하거든요.
만약 석사로 꼭 취업해야 한다면 한국 외국계 기업에 취직해서 커리어와 인맥을 쌓고 미국으로 넘어갈 생각을 하셔야 합니다. 다만 요즘 AI 트렌드는 일반 모델링 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포괄적인 AI 지식과 문제해결 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보기 때문에 석사보단 스스로 연구하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박사를 더 선호하는 거고요. 그 때문에 석사로 AI 분야에서 살아남으려면 포괄적인 AI 지식을 습득하고 기업에서 생기는 여러 AI 문제를 직접 해결하면서 경력을 쌓으시는 걸 추천해 드려요.

대댓글 1개

2024.06.08

답변 감사합니다, 역시 어딜 취업하느냐에 앞서 결국 비자를 받고 미국에서 일하는 것을 따진다면 박사가 편하겠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