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고 학생도 아닌 고등학생이 우수신진연구사업으로 한국연구재단 Funding을 받고 SCI 1저자로 올라가는것이 종종 있는일인가요?
저희 업계기준 제 생각에는 참으로 신기하고 칭찬할만한 일 인것 같아 자연과학 연구계는 어떤지 궁금하여 한번 의견을 여쭙습니다.
그리고 study 설계는 교수가 다 했다고 되어있는 것 같은데 이 경우 다른사람이 1저자로 들어가도 문제가 없는 것 일까요?
이 젊은 학자는 이번에 용산국제학교(외국인학교)를 졸업하고 유학을 떠나는것 같네요.
Am J Emerg Med. 2024 Jan:75:154-159. doi: 10.1016/j.ajem.2023.10.053. Epub 2023 Nov 4.
Effect of no-flow period on the vasopressor effect of initial epinephrine administration in cardiac arrest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오만한 아인슈타인*
2024.06.10
교수 자녀거나. 교수 친구 자녀거나. 고위공무원 자녀거나. Xxx 딸도 MIT 갔잖아.
대댓글 1개
2024.06.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ㅋ 개딸이네
2024.06.10
대놓고 저격이시네요. 좋습니다. 2023년이면 각종 이슈 뒤에 고등학생 공저자를 위한 여러가지 행정 서류들이 추가된 이후입니다. 고등학생이 정말로 기여했는지 여러가지 서류들을 제출했을텐데요.... 그만큼 감사 등을 대비하여 연구노트를 잘 준비해 놨을겁니다. (그런 준비도 없이 이름만 넣어주는 바보는 이제 없겠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SCI 논문의 1저자가 될 만큼 핵심적인 기여를 했느냐? 하면 뭐...
2024.06.10
한동훈
2024.06.10
현직 교수님들이 보시기에 아무도 그 학생이 실험 설계나 아이디어, 논문 작성 등에서 주도적으로 했다고 보시지 않을거에요. 본인들도 처음 논문 쓸 때 지도교수님께 엄청 혼나셨울 테니까요.
실험에 도움을 주거나 시킨 실험울 했거니 했울 거라 생각합니다.
다만 고등학생 신분에서 저것만 하고 1저자를 받으려면 그 나머지 일을 교수가 다 했울텐데 그런 연줄이 있는 부모의 자식이겠죠
2024.06.10
CRediT authorship contribution statement Na-Yeon Emily Song: Writing – review & editing, Writing – original draft, Formal analysis, Data curation. Ki Hong Kim: Writing – review & editing, Writing – original draft, Visualization, Methodology, Investigation, Formal analysis, Data curation, Conceptualization. Ki Jeong Hong: Validation, Supervision, Resources, Project administration, Funding acquisition.
2024.06.10
대댓글 1개
2024.06.10
2024.06.10
2024.06.10
2024.06.10
2024.06.10
2024.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