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보니.. 연구에 관심이 많아서 자주 연구를 하다가 얼마전에 우연히 학회 쪽에 투고하는 과정을 알게되어서
한.. 4개월? 정도 연구해서 기존 기술을 더욱 향상시킨 방안을 도출해서 KCI 학술지에 등재하긴 했습니다.
약간 욕심인지? SCI 급에 도전해서 TIIS 같은 국내 학회의 sci 학술지를 목표로 새로운 기술에 관해서 연구하고 개발해서 관련한 내용을 논문으로 써서 투고를 하고자하는데 고등학생이 논문 쓰는거에 약간? 부정적인 시선도 있어보이기도 해서 현재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연구하시는 분들께 조언 구해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4.07.06
전혀요 쓰시죠. 부정적인 시각은 "숟가락 얹기"에서 오는거지 단독저자면 누가 뭐라겠습니까.
2024.07.06
혼자 쓰면 문제 없음. 같이 써서 문제 되지.
2024.07.06
It쪽은 잘 모르지만 실험 같은거 안 써도 되나요? 전전은 보통 실험 때문에라도 연구실에 들어가야 하는데
대댓글 3개
2024.07.06
IT 기술쪽이라 테스트는 저희 서버에서 충분하더라구요
2024.07.06
충분히 테스트할 환경이 갖추어진다면 저는 괜찮다고 봐요 논문이란게 결국 전혀 새로운 것보다는 기존에 있던걸 조금만 개선해서 테스트해보고 결과를 잘 낸다면 왜 그런지 분석 잘해서 글로 쓰는게 논문이라고 생각해서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2024.07.06
다만 sci의 경우 전전은 정말 유의미한 결과가 나와야 하기에 어려운 길일거에요 지도없이 진행하기에는
2024.07.07
해보세용. 위대한 대가들도 어릴적부터 두각을 드러냈습니다. 못할거 없다고 생각합니다
2024.07.07
출간 했다는 논문을 한번 보내 줘 보세요. 가능성이 있을 만한지 보게.
2024.07.07
당신이 한국의 미래입니다. 의대말고 이공계로 진학해주세요.
2024.07.07
분야가 어디쪽인가요?
2024.07.08
너무 훌륭합니다 !! 훗날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큰 이바지 해주세요
2024.07.08
제가 아는 분도 고등학생 나이에 탑컨퍼 어워드까지 받으셨습니다
2024.07.09
고딩이 욕먹는 케이스 대표적인 예시가 '조민'이라고 하는 사람이 sci 1저자로 쓴 놈이 잇는데 정확히는 고딩이 써서 욕을 먹는게 아니라 대입 스펙용으로 논문으로 뇌물을 받앗기 때문에 그런거임
다시말하면 1저자인데 그 sci 논문에 공헌도가 없고 계획부터 실험, 드래프트까지 전부 대리 및 대필햇다는 거임
2024.07.06
2024.07.06
2024.07.06
대댓글 3개
2024.07.06
2024.07.06
2024.07.06
2024.07.07
2024.07.07
2024.07.07
2024.07.07
2024.07.08
2024.07.08
2024.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