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 하지말라는 사람 특) 본인이 하고 있음

2024.07.02

7

1528

1. 자기는 AI 박사하고 있으면서 후배들한테는 AI는 미래 없다고 함

2. 논문 쓸 때 GPT 쓰면서 밖에선 AI는 과대평가 됐다고 함

3. AI는 버블, 레드오션이라는 말 입에 달고 다님

경쟁자 줄이려고 이러는 거임? 솔직히 말해서 AI 분야 엄청 핫하고 전망 좋잖아

그러니까 AI 하지 말라는 사람들 말에 현혹되지 말고 하고 싶으면 하슈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07.02

이게 맞따따비

2024.07.02

ㅋㅎㅋㅎㅎㅋㅎㅋ 1년전 저의 모습이네요… 그때는 하지말라했는데 왜 정작 나는 하고 있는지… 근데 경쟁 과열인건 확실하다고 생각합디둥

2024.07.02

하고싶으면 하는거고 앞으로도 보수적으로 잡아도 최소 5년은 그 어떤 분야보다도 아주아주 유망할겁니다. 그거랑 관계없이 과열인건 맞아요. AI 채용 보면 사람 엄청 몰립니다.

2024.07.03

타분야 사람이고, 지금은 EECS/ECE쪽에서 포닥하고 있습니다.
작성자분이 잘 아셔야되는게, 최근에 AI대학원생기면서 좋은학교에 조교수로 임용된 교수들의 대학원 시대는 지금이랑 상당히 다릅니다.
제가 학위받을때만 해도 차라리 EE에서 대학원하지, CS쪽에서는 대학원 선호도가 낮은편이였습니다. 근데 제가 졸업할 시기되면서 AI 붐일어나면서 당시에 CS에서 학위받던 친구들 다들 좋은학교에서 교수 쉽게 하고있습니다. 몇몇은 포닥경력도 없이요.
공감하는건 지금까지도, 그리고 향후 2-3년까지도 빅테크를 포함한 대기업에서는 CS를 선호할겁니다. 심지어 KIST/ETRI/표준연/생기원 등등만 봐도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쪽 인재를 훨씬 열심히 뽑고있습니다.
하지만 이 빅테크에서 박사급 인재를 선호할지는 잘 확인해보세요. 친구들중 네카라쿠베에서 일하는 친구말 들어보면, 네이버나 카카오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박사인력이 거의 필요없다고 합니다. 실제로 네이버나 카카오도 최근 박사급 채용규모를 많이 줄이기도 했고요.
또한 최근 젊은교수들이 임용됐던 시기에 비해서, cs 심지어 구체적으로 ai하는 연구를 하는 대학원생이 보수적으로 잡아도 최소 10배는 증가했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교수자리는 자리가 나야 임용이 되는 겁니다. 이미 젊은 AI연구진들이 교직에 임용됐는데, 교직 TO가 나오려면 계속적으로 학교에서 AI교수들을 꾸준히 뽑아야되는겁니다. 상위권 학교들은 이미 포화됐고, 이제 낮은학교에도 계속 AI교수가 뽑기를 일어나길 빌어야되는거죠.
사실 이런일은 AI만 일어난게 아니라, 매번 비슷하게 일어났습니다. AI처럼 워낙 큰파격을 줬고 교수채용을 짧은시기에 크게 한 경우는 없기에, 그 향후 파급력은 예상하기 어렵죠.

대댓글 3개

2024.07.03

비슷한 한예로, 예전에는 로저스 그룹에서 포닥/박사했으면 국내 상위권교수 정말 쉽게 됐습니다. 그걸보면서 정말많은 사람들이 로저스그룹에 장학금 들고 포닥을 엄청 많이 가기 시작했고, 이제는 로저스 포닥출신이 워낙 흔해져서 실적 좋지않으면 낮은학교조차 임용이 쉽지 않아요. 저만 해도 관련연구를 하지 않는데 지인/친구만 봐도 UIUC/놀웨 로저스랩 출신이 7명이나 있는걸요. AI는 솔직히 관련인구 증가율이 훨씬 높기에, 학교기준으로는 로저스랩 예시보다도 더 힘들것이라 생각해요.

2024.07.03

아 그리고 gpt는 함부로 쓰면 gpt 판독기?? 이런거에 유사성 걸린다는 말이 정설처럼 돌아서 제 주변에서는 탑저널내는경우 gpt 거의 안씁니다. 차라리 돈써서 문법교정을 받아요. 그 외적으로 gpt가 하나의 비서?? 처럼 사용하기에는 정말 유용한것 같아요. 제가 잘 모르는 분야에 대해서는 요약도 잘해주고요.

2024.07.03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뭐든지 저평가되어 있을 때 들어가야지요. AI 뿐만 아니라 학계에서는 양자도 마찬가지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