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분야의 발전 속도와, 그 안에서 나 말고도 나랑 거의 비슷한 연구를 다해주고 있는 해외의 수십명의 연구자들을 보니 현타가 오네요... 이 분야에 내가 없어도 별 차이 없는 것 같으면서도, 내가 굳이 이렇게까지 열심히 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 들고, 너무 많은 AI 연구자들 수를 보며 취업은 제대로 할 수 있을지 걱정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다른 AI 석박사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4.12.29
레드오션 분야 연구가 다 그렇죠.
아이디어 말고 자본싸움이 되기 쉽고요.
국내 산업이나 연구환경이 유리하지도 않죠.
2024.12.29
비슷한 생각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아직도 하고요.
하지만, 연구를 하는게 꼭 논문 실적이나 성과로 이어지는 것만 연구의 목적은 아닐 것 입니다.
스스로의 공부과 경험에서 오는 좋은 지식들도 있고요.
아마 글쓴이분은 잘하고 계신다고 생각합니다. 배움의 즐거움 연구의 즐거움을 다시 깨닫고 더 좋은 성취도 누리시길 바랍니다.
2024.12.29
AI 안에서 제가 하는 분야는 사람이 몇명 없어서 제가 연구 안하면 그냥 멈춤 ㅋㅋㅋㅋ
대댓글 1개
2024.12.31
자의식 과잉
2024.12.29
원래 지금 핫한 것 보다 10년 후에 연구문제를 선택하란 이야기도 있습니다.
2024.12.30
취직할때 되면 진짜 상황이 심상찮은걸 느끼게 되실거임 현재 산업에서 LLM 외 대부분 AI분야 채용 허들이 엄청나게 올라갔고 이거 다뚫고 네카라삼슼현 드갈만큼 실적쌓을 수 있는거 아닌 이상 지금 학교에 있을때 뭔가 길을 진지하게 찾아보는게 좋음. 확실하게 말해서 AI연구원 채용 지금 완전 과포화상태임
2025.01.02
AI 분야가 아니라 다른 분야도 비슷할 것 같은데요
2025.01.06
이공학계열 전공하고 그 위에 ai 지식이 더해지면 더 인정받을것 같아요. 시니어 웹앱개발자 인데 ai 연구하면 더 몸값 오를것 같고. 그러니깐 ai는 필수 학문이 되는 분위기로 가지않을까 싶은데. 저는 물리학 전공인데 chatgpt로 인공지능 모델 개발하는데 굳이 인공지능 전공하지않아도 원하는 소프트웨어 만들더라고요. 이런형태로 연구방법이 변할듯. 굳이 ai 원리몰라도 각자 분야에 쉽게 적용하는 형태로. 인공지능 개발자없이도 chatgpt로 개발하는. 기술 분위기가 그렇게 흘러가는듯.
2024.12.29
2024.12.29
2024.12.29
대댓글 1개
2024.12.31
2024.12.29
2024.12.30
2025.01.02
2025.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