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무기화학합성하는 랩에서 박사과정하는 이제 3년차입니다.. 다름 아니라 2학년때 했던 실험 (합성)을 reproduce 하려는데 너무너무너무너무 안되서 힘드네요..거의 한달째 똑같은 합성만 붙잡고 있는데 다들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제가 열심히하고 있는걸 아시는지 교수님께서는 크게 혼내시지는 않으시지만 별로 달갑지도 않으신 모양입니다. 랩에 같은 실험하는 선배분들도 도와주시기는 하지만 큰 힘이 되지는 않네요.
저는 개인적으로 너무 힘들고 혼자 울컥하는 기분도 들고..이게 내 길이 아닌가 싶고...이제는 실험에 또 실패 할까봐 불안함이 너무 커서 일상생활도 정상적으로 못하고 있습니다. 3년차 시작하는데 아직도 이 모양인 제 모습이 정말 한심하네요.
혹시 실험하시는 분들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있으시면 극복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4.07.23
저도 슬럼프와 불안 공황이 함께 와 무기력에 오래 빠져있었습니다. 저는 병웤 치료를 통해 어느정도 불안 증세는 완화되었습니다. 상담보다는 약이 저에게는 효과적이더라고요. 아직 괴롭고 힘들지만 오늘만 버티자는 마음으로 견디고 있습니다. 힘드시면 적절한 휴식과 병원의 도움도 추천드립니다. 화이팅하세요!!
대댓글 2개
2024.07.23
제일 중요한 건 스스로 자책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아프고 힘들 때는 적어도 나 자신만큼은 나에게 관대해지세요. 조금 시간이 지나면 지금껏 그래왔듯 더 건강한 모습으로 누구보다 잘 해낼 수 있을 거라고 믿어봅시다!
2024.07.23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도 노력해봐야겠네요
2024.07.23
실험은 잘안되는게 정상이고, 원하는 결과를 잘 얻지 못하기에 실험이라 부르는 거에요.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맘편히 먹고 여유롭게 실험하시길 바래요 조건 바꿔가며 이 방법, 저 방법 하다보면 어느 날 똭! 하고 된답니다.
대댓글 1개
2024.07.23
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더 고민하고 생각해봐야겠네요
2024.07.23
주제 뒤엎고 새로운 주제로 갈아탔습니다. 때론 과감하게 포기하는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대댓글 1개
2024.07.24
저는 아직 갈아타기는 이른거 같네요. 그것도 나중에는 하나의 선택지가 될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4.07.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는 6년차인데 매년 슬럼프 옵니다 ㅋㅋ 극복은 될 때까지 실험....왜 안되는지 분석.... 다음 실험조건 예측... 예측이 성공하면 슬럼프 극복... 실패하면 더 깊은 슬럼프...
대댓글 1개
2024.07.24
다들 비슷한가 보네요..항상 잘되면 그것도 이상하지 않을까 싶네요
2024.07.23
5년 째 하고 있지만 자칫 헛디디면 우울감의 구렁텅이로 빠질 것 같은 느낌이랍니다 ㅋㅋ 우울해지려고 하면 애써 모른척하는 중이에요. 이런저런 생각없이 일단 하다보면 언젠간 되지 않을까요!
대댓글 1개
2024.07.24
네..최대한 그려려고 노력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2024.07.24
이론 분야에서 학위했는데 수식 유도와 검증하는게 몇달동안 잘 안되어서 엄첟 힘들었습니다ㅠ 한쪽 치우친것보다 골고루 섞인게 좋은 것 같아요..
2024.07.24
재현이 안된다는건 뭔가 놓치고 있다는겁니다. 조언 몇가지드리고 조심스레 드리고 갑니다.
아마도 2학년때 실험하실 무렵이 가을부터 봄사이셨으면 아마도 습도 문제일 수 있습니다.
wet lab에서 일하시니 잘 아시겠지만 기후 조건에 따라 실험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에어컨을 틀어놓건 제습기를 틀던 기후에 따른 습도 변화는 조절하기 매우 힘듭니다.
이에 따라 사용하는 물건들과 시약들이 물을 많이 머금지 않았나 확인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또한 그게 아니면 시약을 전부 새로 사셔서 새로 시도해보시돼, 아예 똑같은 시약을 구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회사도 똑같아야 되구요. 제품번호도 똑같아야합니다.
예전에 좋은 결과를 내셨다는 것은 반드시 그 결과를 다시 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희망을 가지시고 내가 무엇을 놓치고 있었나 한발치 뒤에 서서 다시 한번 살펴보세요 ㅎㅎ
대댓글 1개
2024.07.25
말씀하신대로 정말 너무 많은 변수가 있어 처음에는 정신 없었는데 계속 생각하며 하다보니 조금 해결된 듯 하네요. 곧 원했던 결과가 나올거 같네요. 감사합니다.
2024.07.23
대댓글 2개
2024.07.23
2024.07.23
2024.07.23
대댓글 1개
2024.07.23
2024.07.23
대댓글 1개
2024.07.24
2024.07.23
대댓글 1개
2024.07.24
2024.07.23
대댓글 1개
2024.07.24
2024.07.24
2024.07.24
대댓글 1개
2024.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