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부생입니다. 컴공 미래가 어둡다고 하는데

2024.07.28

21

15546

이게 개발자가 하는 개발 업무를 AI가 대체할 가능성이 있어서 그런건가요?

딥러닝 쪽으로 깊게 파서 석박사까지 연구한/할 사람들이 위협받을 수준은 아니죠?

진로 생각으로 머리가 복잡해서... 조잡한 질문임을 알고도 여쭙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4.07.28

?? 그런 소리를 하는 사람을 멀리 하십쇼 ㅋㅋ

2024.07.28

?

2024.07.28

미래가 밝은 전공은 뭔가요?

2024.07.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컴공이 미래가 어두우면 어디가 밝죠?
영문과?

2024.07.28

자격증으로 보장받는 의치한.
그러니 다들 난린거죠.

2024.07.28

평범한 개발자는 죽겠죠. 근데 그건 모든 직업이 마찬가지일겁니다.
제가 개발하는 곳은 자료가 없어서 그런지 chatGPT가 대답 못하더라고요.

2024.07.28

수요대비 공급이 많은 분야는 힘듭니다.

2024.07.28

당연하지만 너무나 일리있는 말씀~~

2024.07.28

모든 사람의 일의 미래가 어두워요.

2024.07.28

자기 미래가 어두운거지. 컴공 미래가 어두운게 아님

2024.07.29

한국은 기초과학의 미래가 암울

2024.07.29

AI에 의해서 개발자가 대체된다는 타 직업 모두가 가능성 있습니다. 중요한건 AI가 어디까지 대체가능한지 아는게 중요할 것 같아요. 지금은 데이터에 의해서 대답을 하는 수준이라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미래에 많은 데이터를 활용하지 않고 문제를 푸는 방법을 뱉을 수준까지 갈 수 있겠죠. 그렇다면 지금 현제 개발자는 밥벌이를 위해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 그렇지만 현제 개발자들이 발전되는 상황에서 같이 발전하지 않은것은 아니니 미래에 다른 방법으로 직업을 지킬 확률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AI는 큰 도움을 주는 도구라 생각합니다.

말이 길었지만 컴퓨터공학은 변화에 빨리 적응하고 그것을 적용하는 사람이 살아남는다고 생각됩니다.

2024.07.29

모든 미래가 어둡습니다 ㅋㅋㅋ

2024.07.29

뭐... 요즘 확실히 CS 미국 넘어가는 게 많이 어려워진 것은 사실임. 탑티어로 분류되는 학회가 너무 많아졌고, 학부생이 탑티어 2-3편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그게 이상한 상황이 아니게 됨. 덕분에 고스펙이 너무 많아져서 미박이 상당히 어려워 졌고, 어느 랩인지 말하니 실명 언급은 좀 그런데 빅가이 랩은 6개월마다 탑티어 못 쓰면 잘리는 곳도 있음. 석사 취업 태크트리도 많이 어려워진 것도 사실임. 그런데 아마 이런 것을 물어본 것은 아닐테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CS가 다른 기초과학이나 공학 분야에 비해 일자리가 적을까? 그건 아닐 것 같습니다.

대댓글 3개

2024.07.29

어느 CS분야가 학부상이 탑티어 2-3편을 가질 수 있나요? AI?
산만한 쿠르트 괴델*

2024.07.29

와 ㅋㅋ 현직 yk 조교수인데 학부생이 탑티어 2~3개?? 탑티어 정의나 아시나? 우리 학부 120명인데 학부생이 탑티어 주저자 한개쓰고 졸업하는경우가 매년 한명정도임 이건 팩트

2024.07.30

아무래도 비젼이나 AI 죠. 의문을 품고 아무것도 아닌 댓글에 태클 걸 시간에 그냥 탑스쿨 학생들 스펙을 보시죠?

2024.07.29

요새 적성이나 역량 생각안하고 진학한 분들이 많아 그런거아닐까요

2024.07.29

컴공이 어두우면…

2024.07.29

컴공 전공 맞나요?
적성애 안맞는 것 같은데,.... 적성에 안 맞으면 과감한 결단을 내리세요. 무섭고 두려운 일이지만 앞으로의 미래를 생각하면 새롭게 시작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요!

2024.07.29

ai가 개발자를 대체할 수 있는 분야라고 하면, 웹/앱 개발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그 분야의 취업 시장과 컴퓨터 사이언스 분아의 취업 시장은 꽤 다릅니다. 당장 gpt한테 리눅스 커널을 개선해줘 하면 할 수 있습니까? 지금 성능으론 택도 없습니다. 알고리즘을 짤 수 있다고 해도 이미 기존에 많이 쓰이는 것들만 할 수 있지, 하드웨드 사양을 고려한 SOTA 분산 그래프 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라고 하면 당연히 못합니다. 지금 ai 기술이 소위 말하는 코딩 몽키들은 대체할 수 있어도, 업계에서 오랜 경력을 지니셨거나 박사학위를 받을 정도로 한 분야를 깊이 있게 판 사람의 지식에 접근하기에는 아직 너무 멀었다고 생각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