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아직 국제학회 경험도 없는 학부생이 뉴립스급 주저자를 1년안에 어떻게 쓰나요? (무시하는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입니다.)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6 - 지사대면 분수를 알아야지…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2 - 님은 이미 학벌에 대한 차이를 받아드리고 있기 때문에.. 아마 덧글에서 어떤 이야기를 해도 잘 와닿지는 않을꺼 같네요.
학벌이 좋다는 기본적인 머리/지능이 된다 정도의 상관성만 있지 이것만으로 연구의 잘함 유무를 판단하기에는 다른 변수들이 너무 많습니다.
연구는 수능이나 수학문제 풀듯이 문제 풀어서 정답을 맞추는게 아니니까요; 결국 끈기/인내, 멘탈, 사회성 모든게 결합됩니다.
근데 님은 이미 지식과 지능은 정해졌고, 위 학교를 간다해서 본인이 바뀌는건 없고 환경이 바뀌는 정도죠.
즉, SKP로 옮겨도 연구 수준이 올라간다? 그런건 없습니다. 주변 동기/선후배들의 분위기가 달라질 수는 있어도 위에 말했듯이 학벌 좋은 사람들이라고 연구를 잘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이건 랩by랩입니다. 또 학부처럼 수업 수준이 높고 교수님 수준이 높으면 더 잘해질꺼다 그럴수도 있는데, 대학원가서 하는 연구는 강의와 다르기 때문에 전혀 상관없구요, 교수님들 수준도 인서울 내에서는 큰 차이 없습니다.
지금 적으신 글로보면 글쓴이 연구실은 이미 괜찮은 연구실인거 같은데, 이 이상 잘 맞는 연구실을 찾을 확률보다 님이 그 연구실에서 더 열심히해서 좋은 논문 추가되는 확률이 더 크다고 봅니다;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22 - 학부생인데 학부 공부와 연구가 다르다는 것을 안 것부터 좋은 출발을 하신 것 같습니다. 옥상옥 내 위에 또 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제 위엔 spk가 있고 spk 위엔 미국이 있더라고요. 그래도 요즘 k는 미국에 박사 가신분들 만큼 실적 잘 뽑으시는 것 같습니다 (물론 분야마다 다를테지만 제 분야인 cs에선 그렇습니다)
헌데, 저는 k분들은 머리가 좋아서 쉬엄쉬엄하는 줄 알았습니다. 아니더군요. 주말 출근을 기본으로 생각하거나 같이 밥 먹고 커피 마시는 도중 랩탑을 꺼내서 실험 잘 돌아가고 있는지 서버 원격접속해서 확인하는 분들 있었습니다
장기적으론 꾸준히 차곡차곡 쌓은 분들이 성공하는 것 같습니다
(더 높은 대학 글쎄요... 윗댓처럼 더 좋은 환경이 되겠지만 그 환경에서 적응하는 시간이 더걸리거나 기반을 잡는데 오래걸리거나 자대생들과 비교하면서 스스로를 갉아먹는 분들도 있습니다. 답은 꾸준함인 것 같습니다. 잘할사람은 어딜 가서도 잘하더라구요)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20 - 요즘 k훌리가 많은 듯. S랑 p는 그런거 없는데 의도적으로 k 띄우는 글이 많이 보임.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15 - 교수 욕하는 학생들 중 인성 정상인 사람 없더라. 다 자기 부족함을 교수한테 투영할 뿐.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23 - 그냥 취직하세요
빅사 마친다고 딱히 잘버는것도 아닙니다
차라리 경력쌓는게 낫죠
컨텍도 딱히 잘된거 없고 별로 연구에 큰 목표도 없으신거 같은데
5년 길에 내다 버리는 겁니다
인생의 4~5년 선택, 도피일까요
15 - 박사 졸업하고 교수 자리 없어서 연구교수하는 분들 많습니다. 교수는 주차장 개념이라서 티오나면 그 스펙에 맞는 사람들 인맥으로 임용되는 경우가 많아서, 공채로 임용되는 경우가 극히 드문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비정규직 연구교수로 채용되서 논문 연구하고 그렇게 지내는 분들 박사 졸업하고 8할 비중 됩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대학원 졸업하고 교수에 임용이 안되도 연구자의 길을 계속 이어나갈 방법이 있나요?
12 - 공채로 임용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뇨... 교수 지원하는사람들 대부분 다 인맥 한가락 하는 사람들입니다 그사람들끼리 경쟁하는거라 인맥이고 뭐고 없어요 굳이 유리한거라면 자대출신정도
대학원 졸업하고 교수에 임용이 안되도 연구자의 길을 계속 이어나갈 방법이 있나요?
11 - 동기가 이상한 거 맞음 ㅇㅇ
너한테 열등감 느껴서 안 알려주는거임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14 - 누가 더 나쁘다 이런 말씀을 드리려는 것은 아닙니다. "좀 잘하면 동기끼리 공유 좀 하는게 맞지"와 "돈 좀 있으면 좀 사주는게 맞지"는 양쪽 모두 공유라는 단어가 가진 고결함을 명분삼아 동기로써 당연히 해야할 덕목인양 표현하지만. 실상은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타인에게 자원을 강탈하거나 수고를 강요하는 것과 다르지 않아보입니다. 그런 동기가 있다는 것이 불편하시겠지만 결국 본인 처신하기에 달렸습니다. 제가 당사자는 아니기에 어떻게 하는게 좋다고 판단하긴 어렵겠습니다. 하지만 어쨌든 타인을 너무 신경쓰거나 스트레스받지 않는게 좋습니다. 잘 대처하시리라 믿습니다.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23 - 돈 있으니까 좀 사는게 당연하다라고 생각하는 님 동기나 잘 하니까 좀 알려주는게 당연하다라고 생각하는 님이나 그냥 똑같은 듯 합니다.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33 - 헛바람들은 소리 하지말고 정식으로 연구실 찾고 산학 과제로 시작하던 정규로 채용 공고를 올려라 절차없는 ㅈ소마냥 굴지말고
학점이 아쉽지만 연구능력이 뛰어난 석사생, 혹은 석사 준비생 있으신가요?
26
졸업 후 학사 직무 지원하려는데, 파트타임 석사도 괜찮을까요?
2024.08.07

(원래 다른 제목으로 에타에 올렸던 글이라 내용이 조금 두서없어도 이해바랍니다.)
저는 어려서부터 지리를 좋아했는데요
그에 따라 원래는 도시공학과를 가고싶은 생각이 있었습니다
근데 뭐 상황이라는게 마음대로 되지 않고, 인하대에 공간정보공학과가 예전 지리정보공학과였다 라는 이유로 인하대에 원서를 넣고 입학했어요,
근데 배워보니까 제가 원하는 도시 관련 분야는 거의 없더라구요. ㅋㅋ
그래서 학부 과정 중 막연히 대학원 진학으로 학문에 대한 갈증을 풀어야지 했죠
근데 어찌어찌 하다보니까 졸업하니 공무원으로 다니게 되었습니다.
막연히 다니면서 그 경력으로 이직하면 좋겠지 라는 생각을 했어요. (심지어 업무도 부동산업무라 유관업계로 갈 수 있을거라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이직을 생각하며 다녔는데, 100여개에 가까운 불합통보를 받고 그때부터 현타가 와서 대학원에 눈을 돌렸습니다.
그렇게 컨택하고 이번에 입학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가보니 이 과정이 좋은지는 모르겠어요.
지도교수님과 이 문제를 상의할때는 “ 너 근데 프로젝트 경험 없지 않아?” 라고 하더라구요. 솔직히 맞아요. 공무원이 뭘 하겠어요. 주도적인 직무경험이 없죠. 그래서 더 진학결심을 하게 된 것도 있습니다.
근데 대학원을 간다 한들 상황이 나아질까에 대한 의문이 듭니다
1. 연구원 자리 = 여기는 사실상 박사들을 위한 자리입니다. 석사는 들어가기도 쉽지 않고, 들어가더라도 최장 2년 계약직이에요
2. 지자체 도시공사/공무원 = 석사 우대가 없더라구요. 그나마 다행인건 공무원 경력은 우대해준다는거? 그렇다면 왜 석사를 가는가...에 대한 의문
3. 사기업 = 엔지든 신탁분야든든 석사우대는 있습니다. 그치만 건설경기 불황으로 채용이 전반적으로 줄어든 상태인데, 파트석사로도 우대를 받는지가 궁금하네요
그냥 다니면서 이직준비 + 학문적 탐구는 직장다니면서 가는 대학원으로 만족했어야 하나 싶은 생각이 드네요
심지어 입학 앞두고 부모님 건강도 안좋아지셔서..직장을 계속 다니는게 맞는가 하는 의문이 드네요.
파트석사로도 사기업 이직에 도움이 된다면 파트전환을 진지하게 고민중입니다. (아직 사표수리가 안된상태에요)
제 스펙은
학점 3.71, 경영학주전/공간정보공학 복전
투자자산운용사
도시계획기사
지적기사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
ADSP
유통관리사2급
물류관리사
한국사1급
기억나는건 이정도네요
-
12 23 13851
현타가 온다 김GPT 21 4 4345
문과인데 설카포 대학원왔다 김GPT 5 5 8963
요즘 대학원 경쟁률이 높나요.. 김GPT 2 22 5672
학부성적과 석사취업 김GPT 9 8 2400-
3 5 2267
저 같은 사람은 대학원 비추일까요? 김GPT 2 15 6104
이대로 석사 진학해도 될까요? 김GPT 3 13 1842
대학원 진학 고민 김GPT 0 1 544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71 43 44495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명예의전당 271 11 56437
요즘 글 올라오는 꼬라지보니 개혁이 필요하다 명예의전당 119 12 1365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01 - 박사졸업이 길어져 남편이 힘들어합니다. 제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83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75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74 - 연구실 분위기 막창났음
69 - 앙대 0년차 석사 생활 간략한 후기
14 -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46 - 머리 쓰는거 힘드시지 않나요
12 - 우리는 왜 이 힘든 길을 시작했을까요
17 -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인데, 증명 벌써 존재하는지 여부 알려주실 수 있나요?
15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38 - 연구실 막내 보면 많은 생각이 듦
53 -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1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28 - 대학원 인간 관계...
11 - 포카 머리고 연고가도 대가 포닥랩실 가능한가요?
10 - 대학원 졸업하고 교수에 임용이 안되도 연구자의 길을 계속 이어나갈 방법이 있나요?
18 - 석사나 박사과정 분들 월급 얼마나 받고 계신가요?
30 - ist 연구비 얼마정도 주나요?
10 - 대학원 가기에 너무 늦은 걸까요?(28살 여성입니다)
21 - 학점이 아쉽지만 연구능력이 뛰어난 석사생, 혹은 석사 준비생 있으신가요?
22 -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20 - NeurIPS 도전기 (feat. 지도교수님)
10 - 카이스트 ai 대학원 오전 면접
12 - 대학원은 돈을 보고 가는 곳이 아닙니다.
8 - 본인이 진짜 열심히 대학원 생활 보냈다고 생각하시는분들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01 - 박사졸업이 길어져 남편이 힘들어합니다. 제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83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75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74 - 연구실 분위기 막창났음
69 - 앙대 0년차 석사 생활 간략한 후기
14 -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46 - 머리 쓰는거 힘드시지 않나요
12 - 우리는 왜 이 힘든 길을 시작했을까요
17 -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인데, 증명 벌써 존재하는지 여부 알려주실 수 있나요?
15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38 - 연구실 막내 보면 많은 생각이 듦
53 -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1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60 - 미국 유학에서 학벌의 영향력
22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70 - 미국박사 주립대 가능할까요?
17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30 -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28 - 대학원 졸업하고 교수에 임용이 안되도 연구자의 길을 계속 이어나갈 방법이 있나요?
18 - 석사나 박사과정 분들 월급 얼마나 받고 계신가요?
30 - 대학원 가기에 너무 늦은 걸까요?(28살 여성입니다)
21 - 학점이 아쉽지만 연구능력이 뛰어난 석사생, 혹은 석사 준비생 있으신가요?
22 -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20 - 카이스트 ai 대학원 오전 면접
12 - 본인이 진짜 열심히 대학원 생활 보냈다고 생각하시는분들
10
2024.08.07
대댓글 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