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33살 여자 직장인 … 석사 수석 졸업했는데, 바로 박사가면 교수 노려볼수 있을까요

2024.08.31

24

11069

다글 고견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4개

2024.08.31

이런 건 하이브레인 가서 물어 보셔야…
학부 스카이시면 아는 선배, 혹은 학부 은사에게 물어 보시는 게 훠러얼씬 양질의 정보를 얻으실 겁니다.

석사 진학시 추천서 써주신 교수님 안 계신가요?

대댓글 2개

2024.08.31

박사 진학시 말씀이시죠?
네네 있습니다!!
안그래도 추천서 부탁때문에 다음주중에 학교 방문 예정이에요

2024.08.31

한국 학부에 교수님이 계실 테고 그 분이 해외 석사 과정 진학할 때 추천서도 써주신 은사님 아니심가요? 여쭈어 보세요.

석사 때 지도교수야 현지 임용 사정은 아셔도 국내 임용은 워낙 상황이 특수해서 코멘트 주시기 어려울 겁니다.

국내 은사님께 좀 대놓고 물어 보세요. 뭐, 더 이상 20대 중반도 아니시고 커리어 방향 잡고 의견 구하면서 조금 더 ‘계산적’으로 진행하셔도 됩니다.

2024.08.31

최총적으로 교수 임용이 될 수 있는지를 떠나서, 적성에 맞고 좋아하는 일이라면 도전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족의 응원이 있다면 더욱 안 할 이유가 없지요. 지금이야 막막하실수 있겠지만, 학위 하시는 동안에도 같은 계열 지인들을 통해 다양한 진로 정보 얻으실 수 있을겁니다.

응원합니다.

2024.08.31

해보세요. 교수가 안될 수도 있지만.
전임 교원 될 수도 있겠지요.
그 과정이 쉽지는 않을 꺼에요.
그래도 화이팅임당!

2024.08.31

학부/석사때 성적 얼만큼 잘 받았느냐와 교수 임용여부는 대단한 상관관계가 있지는 않습니다. 제 주변에는 학부때 수석졸업한 친구는 교수임용 되지 못해서 학계 떠났고, 학부때 성적이 안좋아서 대학원 간신히 입학한 친구는 제일 먼저 임용되었네요. 양질의 연구를 할 수 있느냐와 코스웍 듣고 성적 잘 받을수 있느냐는 어느정도 별개의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2개

2024.08.31

동의합니다.
저도 스카이 학석박인데 학점은 큰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2024.09.01

동의합니다 백미터 달리기가 아니라 마라톤입니다

2024.08.31

저랑 동갑이시네요. 저는 학위를 빨리받아서 졸업하고 정출연에서 일도 좀 하다가 지금 미국에서 포닥으로 일한지 좀됐는데, 미국에서 글쓴이분처럼 자녀키우면서 학위받는분들 꽤많습니다. 말씀하시는거보면 인문계 같은데, 인문계는 더더욱 그러는듯해요.
대신 부부 모두 박사과정학생/일하고있는 경우는 보통 유치원을 정말빨리부터 보냅니다.
여튼 저도 다른나라는 잘 모르지만, 미국은 매우 가정중심적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익스큐즈도 모두 허용이 되며, 충분히 일과 육아를 병행할수도 있습니다. 오히려 육아하시는분들이 7-8시간동안 정말 빡세게 일하고, 5시에 퇴근하고는 가정에서 보내시는 분들이 오히려 성과좋을때도 많습니다.
나이 많다고 생각하실수도있는데, 의외로 미국나와보시면 나이많은 사람들 정말 많아요. 주재원으로 가신다고 하니 지역같은거 잘 조율해서 학위받아오는거 저는 추천해요.
쇠약한 정약용*

2024.08.31

여자는 교수되기 쉬움

대댓글 3개

2024.08.31

정확한 문장으로는, 여성 TO 할당제가 있어서 경쟁이 수월한 것은 사실입니다. 특히 공대에서요...
얼마 없는 여자 공대생 중에서 극히 일부만의 여자 박사 중에서 관련 분야만 경쟁을 하니..교수 준비하는게 현타게 쎄게 오네요 하....

2024.09.01

상대적으로 티오가 있는 학과가 있다지만 절대 그들의 실적이 나빠도 쉽게 된다는건 아닙니다.

면접들어가보면 다들 비슷한 실적으로 오기 때문에 티오가 있는 경우 여성을 뽑을 가능성이 늘어난다이지

감히 쉽다고 표현하는건 아닌 것 같네요

2024.09.01

왜 감정을 보이는지는 알겠는데 동일 실적 남자보다 여자 임용이 쉬운것도 사실임.

그런데 메신저에게 감정을 드러낼 게 아니라 TO 할당 같은 창의성 결여된 주먹구구식 제도에 불만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함.

2024.08.31

교수. 되시려면. 3P가. 기준이 될겁니다. 자교라 하더라도 외부 심사를 거치므로. 논문.특허.프로젝트수에 따라. 결정되므로. 3P를. 열심히 만드시면 전국 어느. 대학 이라도 가능. 합니다

2024.08.31

졸업하시면, 40 신입박사네요
회사경력이 학계에는 큰 의미가 없으니
기본적으로 20후반, 30초반 박사들과 실적으로 경쟁하셔서 이기시면 됩니다.

대댓글 2개

2024.08.31

이건 적절치 않은 말입니다.
공대 기준으로, 연구 중점 학교가 아닌 경우는 회사 경력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대학생들을 취업시키는 것이 메인이고, 대학원 진학이 서브 역할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면에서 논문만 가지고 있는 박사보단 회사 경력 가진 박사를 더 선호합니다.

2024.08.31

이공계랑 사회계열은 좀 다를겁니다.

2024.08.31

10년 후면 한국대학들도 학생들이 전부 외국인으로 바뀔텐데. 감당하실수 있나요? 전 이공계 박사 취득후 10년넘게 대학연구교수로 일했어요. 교수가 꿈이긴했지만 현실이 생각했던것과는 딴판이라. 지금은 조그마한 벤처기업 연구소장일을 합니다. 일단 대학들이 점점 학생들이 줄고 있고 대학원생들은 외국인으로 교체된지는 꽤되었어요. 10년후면 제가보기로는 한국학생은 많이 줄고 대학내부 구조조정 심하게 될것 같은데. 교수 직업도 앞으로는 기피대상이 되지않을까 싶네요. 미래가 어둡단 말씀.

2024.08.31

이공계열 현직인데 예전에 임용될 때 보면 인문사회는
나이가 다들 많으시더군요…결국 박사 때 얼마나 성과를 내느냐일 거고 학계에서 인정받는 논문을 얼마나 많이 쓰느냐일 겁니다. 그런데 이건 누구도 알 수 없지요. 본인이 얼마나 열심히 할 환경인지에 따라, 그리고 상당부분 운에 따라 결정되지 싶습니다.

2024.08.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교수 된다고 장밋빛 미래가 펼쳐지지는 않습니다. 다른 곳도 마찬가지겠지만요. 여러가지 루트를 고려하며 준비하세요.

2024.08.31

사회과학계열이라서 성별 메리트가 없음.
알 수 없음.
워라벨과 명예 생각하면 나쁘지 않음

2024.08.31

교수되기는 주차장 주차하기와 같아서 성적과는 무관할 수도 있습니다. 주차장에 스펙좋은 차부터 주차할 수 있는 것 아니고 자리가 비어있다가도 나보다 누가 먼저 주차하면 나는 주차못한다는 거...

그러니 공부가 좋아서 하는 것 아니면 교수만 바라고 박사하는 건 결과가 힘들어 질 수 있죠

2024.08.31

윗 댓글 처럼 하브넷에 물어보시는게 더 나을 것 같고요. 된다는 보장도, 안된다는 보장도 없습니다. 사회과학 계열은 아니지만, 최근 저희 학교(지거국) 조교수 임용되신 분 중에 비슷한 케이스가 있긴 합니다. 애들 다 키워놓고 이제 내 커리어 쌓는다며 좋아하셨어요.

2024.09.01

유능하시네요.
가능하실것 같네요. 원하시는 것을 하시면 될 듯합니다.
단 교수 자리 얻기는 쉽지 않다는 것은 명심하세요.
다만, 아이는 많이 낳으시기를 바랍니다.
심각한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시기에 지식인이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분들이 모범을 보여주셔야 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