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유독 김박사넷이 spk 선호가 심한듯. spk vs 타대 관련글 올라오면 그냥 무조건 spk 가라함. 전체적으로 학벌이 낮아서 학벌 선망이 있는건지 아님 그냥 어린 대학생들이 많아서 그런지 몰라도 무조건 spk다 라는건 진짜 문제가 좀 있음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48 - 그사람이 밉상이라 거슬리는거죠. 뭔가 득되는 사람이었음 안거슬렸을거임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8 - 오늘 실험 대차게 망하고 오는 길입니다... 진짜 멘탈 나가서 미칠 것 같네요ㅠㅠ 믿고 맡겨주신 교수님께 너무 죄송스럽고 주변인들이 제게 실망하지 않을지 불안해 죽을 것 같습니다...... 또 망한 실험으로 지출될 연구비는 어떻게 해야할지... 아......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10 - 학부 학벌은 평생 따라다닙니다 대학원을 학벌이라고 하진않죠 학력이지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1 - 박사급은 사실상 대학원이 학벌입니다. 학부 학벌 아무도 안 물어봄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0 - 자기가 연구하고싶어서 대학원 간거 아닌가? 연구가 적성 안맞는다고 느끼면 그만두고 취업하면 되는데 취업해서 하기싫은일하면서 돈버는 학부졸업들은 호구인가? 연구를 하는데 왜 성과가 안나오지? 평소에 게임하다가 미팅직전에 벼락치기로 밤새고 열심히 한다고 착각하는건가? 게임을 접으면되잖아?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45 - 평생 따라 다니고 학부 말 못하는 사람이랑 엮이지 마셈
학부가 창피했으면 편입을 하건 수능을 치건 했어야지
실적 안좋고 애매한 애들이 꼭 세탁한 학벌 말하고 다님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6 - 의대 가신 것은 당연히 대단한 것입니다. 근데 다른 업종을 비하하는 것은 다른 문제가 아닐까요? 생각은 그것으로 끝내시는 것이 향후 글쓴이 님의 앞길에 아무 일 없으실 거 같습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5 - 박사 졸업하면 학부는 의미없음… 그런거 신경쓰는 사람들이 이성한거죠 ㅋㅋㅋ 박사 졸업이면 실적으로 증명해야죠.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4 - 박사 하는 사람 혹은 한 사람 중에 학부 학벌이 중요하다 한다면, 그저 실패한 것.
꼭 학부 학벌 좋은데 막상 대학원오니까 국영수사과 달달 외워너 하는거랑 너무 다르고 뒤쳐져서 그렇게 얘기함.
탑스쿨 대학원 때 잘하면, 학부 학벌은 거의 따지질 않음.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9 - 온/오프로 보는 것은 실패하기 매우 좋은 마음가짐임.
확률로 생각을 하길 추천함.
질문 : 님 선배중에 다라고 하면, 100프로 정출연 취업함?
추측 : 분명 그렇지 않을 것임.(취업보장되는 서성한도 학과성적으로 취업하려면, 학점이 좋아야 가능한 현실을 고려하면, 정출연 정규직이라면, 매우 경쟁이 치열할 것임)
유명 학교라고 보장되는 것은 없고, 유리함을 가지는 것임.(확률이 조금 더 높다 정도) 얼마전에 S대 2.3과 건국대 4.5 중 어느쪽 회사에서 뽑을지에서 50:50 나왔다는 것 어디서 봤는데, 대략 그런 개념으로 보면 유리함. 대학입학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꾸준히 열심히 해서 쌓아간다면 유리함이 있는 것임.
그리고, 남의 노력을 존중하면 좋을 것 같음. 선배가 안유명학교에서 정출연 정규직으로 갔다면, 엄청난 노력을 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음. 학교만 같다고 다 같이 될 것이다가 아니라, 이후의 노력을 보고, 참고하여 가능성을 높여가야 할 것임.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11 - 궁금한게 있는데 도대체 이런건 어디학교 어디과정임?? 논문지도비를 회당 내는건 어디 화성에 있는 대학원인가?
박사 논문 심사 2학기 밀리면서
12 - 3년하셨으면 논문 쓰고 나갈 만 하지 않나요?...
교수도 투자한 비용을 회수는 해야죠..
졸업생인데 학교에 매일 나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12
미박 가면 안될것 같죠?
2024.09.22

올해 초에 미박에 대한 의욕이 생겼으나 두려움도 같이 생겨 보류했다가 올 여름에 다시 결심을 했습니다.
당시에는 연구가 즐거웠기에 그런 판단을 했죠.
그러나 문제는 즐거웠던 연구가 더이상 즐겁지 않습니다.
작년 말에 연구 하나를 끝내고 천천히 페이퍼를 쓰고있지만
제가 딱히 흥미를 가지지 못하는 주제였고
올해 초에 시작한 연구는 흥미는 있지만 결과가 안나와 계속 처음으로 돌아가기만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땐 재밌었는데... 이젠 한계가 온것 같습니다.
모델을 풀기위한 수식을 한줄을 적고싶어도 뭔가 특별한 솔루션은 나오지도 않고
뭔가 좀 건드려보려 하면 변수간 correlation이 너무 많아 도저히 뭘 풀어낼수도 없고
그리고 지금 연구분야를 살려서 미박을 넘어간다면 과를 바꿔서 가야합니다. 아니면 제가 연구분야를 바꾸던지.
그래서 미박을 준비하는동안 연구분야를 바꿔보자 라는 마음을 먹었는데 이것도 잘 안되더라고요...
언제 한번 집에 농담반 진담반 "박사 하지말까?" 라는 이야기를 했을때는
그게 무슨 소리냐면서, 하고싶은걸 포기하는거냐고
한소리 들었습니다.
사실 저희 부모님께서는 집안에 박사 하나 나왔으면 하는 바램이 있었던것 같은데...
박사를 따고싶은 마음은 있지만, 박사 생활이 호락호락하지 않을걸 아니까 점점 두려움만 커지네요.
특히 미국에서 친구를 만들 수 있을지도 걱정이고...
이렇게 적고나니까 이미 마음속의 정답을 정한것 같네요.
박사진학 욕심일까요? 김GPT 48 22 9045
박사 마무리, 못하겠어요 김GPT 43 28 9349
박사에 대한 두려움. 김GPT 3 6 2505
박사과정을 포기해야할까요? 김GPT 32 43 6479
박사과정의 힘든점 김GPT 17 4 7425
박사과정 학벌을 놓지 못하는 나 김GPT 0 20 3917
박사과정 질문... 김GPT 0 1 332-
6 12 5263
박사, 해도 될까요 (34세, 여) 김GPT 12 39 8519
일을 잘 한다는 것. 명예의전당 170 12 15454
연구실을 옮기는 것에 대하여 명예의전당 152 33 23667
연구실 뚝딱이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 명예의전당 321 19 5798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63 - 욕먹을 생각하고 쓰는 꼰대글 (feat. 9 to 9)
129 - 교수 현직임 질답시간을 가지자.
16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49 -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62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78 - 대학원에서 어른이 된다는 것은…
36 - 당신과, 당신의 과학을 사랑합니다.
32 -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31 -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8 - 등록금 내고서 대학원 다니는거
8 - 대학원생 노조라도 누군가 총대 매세요
12 - 노력이란 무엇일까?
1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특허는 원래 교수혼자 단독으로 가져가나요?
27 - 다른 사람을 왜 설득해야 하죠?
19 - 학부 조교 활동
16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10 -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9 - 4 5년전엔 서울대 대학원도 정원미달이다 이런글 본적 있는거 같은데
11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21 - Unist 대학원 서류컷
10 - 박사 논문 심사 2학기 밀리면서
13 - 졸업생인데 학교에 매일 나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8 -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9 - 석사 취업은 학부가 다인거같네요.
13 - Gist와 Kist
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63 - 욕먹을 생각하고 쓰는 꼰대글 (feat. 9 to 9)
129 - 교수 현직임 질답시간을 가지자.
16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49 -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62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78 - 대학원에서 어른이 된다는 것은…
36 - 당신과, 당신의 과학을 사랑합니다.
32 -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31 -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8 - 등록금 내고서 대학원 다니는거
8 - 대학원생 노조라도 누군가 총대 매세요
12 - 노력이란 무엇일까?
12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특허는 원래 교수혼자 단독으로 가져가나요?
27 - 다른 사람을 왜 설득해야 하죠?
19 - 학부 조교 활동
16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10 -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9 - 4 5년전엔 서울대 대학원도 정원미달이다 이런글 본적 있는거 같은데
11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21 - Unist 대학원 서류컷
10 - 박사 논문 심사 2학기 밀리면서
13 - 석사 취업은 학부가 다인거같네요.
13 - 안녕하세요 spk 2학년 학부생 카네기 멜론 석사 질문 드립니다
10 - 미국석사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tip
20 -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5

주성엔지니어링 전문연구요원(병역특례) 채용
자세히 보기
2024.09.22
2024.09.23
2024.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