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는 열심히 하는데 누구는 쉽게 입학하고 쉽게 졸업하네 등. 제보 받아서 문제가 있으면 바로 잡아야 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2024.09.23
대통령이 되셔서 한번 바꿔주시죠
2024.09.23
영부인이 세상 제일 물박사인데 누가 누굴 감사해요
대댓글 4개
2024.09.23
어르신 여기서 정치얘기 하지마시죠
2024.09.23
팩트앞에서 부들거리는 엠지 ㅋㅋ
2024.09.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정치색 빼고 봐도 김 여사 논문 제목부터가 말이 안된다는 걸 알텐데? 나라에서 물박사 솎아내기 작업을 한다면 당연히 김여사 얘기 나올게 뻔하기에 현정부에서 그럴 일을 할리가 없음 물론 전정권에서도 조국 딸래미 논문 숟가락 얹기 문제도 있기도 했고
2024.09.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결론적으로 이건 정치적 진영문제라기보다 그냥 이나라 기득권층 마인드가 썩어서 본인/배우자/자녀 학위도 편하게 따려고 하는게 문제라 어느 당이 정권을 잡건 크게 달라지지 않을 거임
2024.09.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걸 감사를 왜함?
교수랑 교수를봐야지 왜 문제제기하는지?
그냥 배아픈가?
2024.09.23
불법인가요?
배고픈 그레이스 호퍼작성자*
2024.09.23
요즘 많은 대학들이 다양한 대학원을 만드는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를 생각해봐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정말 필요해서 만드는지 다른 이유가 정말 있는지? 사실 무슨 무슨 대학원은 이미 존재하는 다른 대학원 내에서 존재하는 하나의 학분의 분류인데 이를 더 잘게 나누어서 만드는 이유를 모르겠고요. 그렇게 대학원을 만들수만 있다면 수천개도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예를 들어 수학은 경우 편미분 전문 대학원, 대수학 전문 대학원, 미분기하학 전문 대학원, ..., 만약 이런 대학원을 수학과에서 만들어 놓으면 저건 정말 이상하다고 할 것입니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다른 이름으로 하면 그렇게 생각을 않한다는 것이죠. 각 교과서 장 별로 대학원을 하나씩 다 민들 수 있어요. 그럼 대학이 왜 이런 대학원을 만들까 하는 예기입니다. 그 것을 직장을 대상으로 말입니다.
배고픈 그레이스 호퍼작성자*
2024.09.23
저도 어떤 대학에서 하락만 한다면 그리고 대학의 이름이 괜찮으면 당장 하나 만들 수 있어요. 그럴 듯한 이름으로. 소셜 시스템 융합 대학원, 정보 융합 대학원, ... 그런데 이름도 짖기가 쉽지는 않네요.
대댓글 4개
점잖은 공자*
2024.09.23
낄낄 원래 돈없으면 몸으로 때우는 곳이 대학원이죠
배고픈 그레이스 호퍼작성자*
2024.09.23
교수 채용도 금방 할 수 있습니다. 스탠포드, mit, ucla 금방 모일 것입니다. 소셜 시스템 융합 대학원 지원 자격은 전자 정보 컴퓨터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일 것. 단, 소셜 정보 처리 분야 기업 경력의 경우 가산점 부여. 탑 5% 정보 처리 분야의 논문의 경우 1저자 인정 비율 어떻게 어떻게.. 대표 업적은 5편으로 제한하며 해당 전문가 추천서 천부시 밀봉하여 직접 송부 요망. 그러면 지원자들이 질문을 하겠죠. 어떤 논문을 대표 업적으로 하는 것이 유리한지 하이브레인 사이트에 교수의 길, 혹은 교수의 방에 문의하면 답변은 교무과에 물어보면 자세히 알려 줄 것입니다. 그러면 질문자는 물어보니 해당 학과 사무실로 문의하려고 하는데 혹시 실례 되지는 않을까요? 그러면 다른 교수가 직접 묻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으니 대학 내의 아는 지인을 이용하라고 하겠죠. 그러다가 누가 용감하게 직접 담당 교수한테 물었는데 그 교수왈 아무래도 입팩트 놓은 논문이 좋지 않겠냐고 한다더라. 그러면 또 이렇겠죠. 그런데 공동 1저자인 높은 임팩트 논문이 좋을지 아니면 단독 1저자인데 그 것보다 조금 낮은 임팩트 논문이 좋을지....
배고픈 그레이스 호퍼작성자*
2024.09.23
그리고 서류 통과 후 인터뷰 순서가 의미를 가지는지 하이브레인에 질문이 나오죠. 그러면 답변이 일반적으로 접수번호 순이니 의미 없습니다. 그리고 영어 면접에 대하여 예상질문을 임용후기에서 읽어보고 답변으로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저도 임용되면 꼭 임용후기 올리겠습니다.
배고픈 그레이스 호퍼작성자*
2024.09.23
사실 지원자들은 정말 애가 많이 타죠.
2024.09.24
뭔소리세요 대체 하고싶은 말이 뭔지..
대댓글 1개
점잖은 공자*
2024.09.24
그러게요 사용하는 언어로 미뤄볼 때 조현병일 수도 있겠네요 조금 걱정이 들어요
2024.09.24
수준낮은 곳에서 학위받은 들, 내실이 없으면 소용없어요 ㅎㅎ
기업에서 박사하는 분들 수준이 낮으면 알아서 도태될겁니다. 높으면 실력으로 증명할거구요.
대댓글 1개
점잖은 공자*
2024.09.24
맞음 근데 전일제 물박사도 널려서ㅎ
2024.09.24
산학협력 기업체 사장님에게 박사학위 남발함. 물리학과인데 그 사장님 양자역학이 뭔지 전자기학 문제 풀어본적도 없음 박사학위 받음
2024.09.23
2024.09.23
대댓글 4개
2024.09.23
2024.09.23
2024.09.23
2024.09.23
2024.09.23
2024.09.23
2024.09.23
2024.09.23
대댓글 4개
2024.09.23
2024.09.23
2024.09.23
2024.09.23
2024.09.24
대댓글 1개
2024.09.24
2024.09.24
대댓글 1개
2024.09.24
2024.09.24
2024.09.24
2024.09.25
2024.09.25
대댓글 1개
2024.09.25
2024.09.25
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