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물질이용한 합성, 유기합성, Qds 이 제일 관심이 가고 그 뒤로 유무기 하이브리드라던지 촉매...(촉매는 보류) 근데 Qds랑 나노물질은 나노/무기에 가깝고 유기합성은 말그대로 유기잖아요? 분야가 아예 다른데 기준을 어떻게 두어야 할지 모르겠어요. 둘다 연구 페이지 같은거 읽어봐도 흥미가 가서.. 방학때 인턴해볼려 해도 어느 분야로 해봐야할지도 문제고...(여러번 붙는다는 보장이 없을뿐더러 1달로 맞는지 판단하는게 될지...) 조언좀 구하고 싶습니다ㅠㅜ
+ 우선은 석사취업을 고려할거같고 취업 후 박사를 병행하는것도 고려는 중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4.09.26
지도교수랑 구성원들 인품, 팀워크 좋은 곳으로
대댓글 1개
2024.09.27
밑에분도 교수님 잘만나야 한다고 하는거 보면...그것도 같이 고려해야할 사항인가봐요!! 조언 감사합니다 알아볼께요
활기찬 루이 파스퇴르*
2024.09.26
취업후 박사병행은 그냥 파트아님? 파트는 솔직히 있으나마나 파트 박사딸 나이면 석사로도 연구소 책임달고있음
대댓글 1개
2024.09.27
이부분은 메일 다시 찾아보니 장기근속자에 한해 박사학위과정을 진행하는 프로그램? 을 교수님께선 얘기하셨던거같아요!
2024.09.27
화학쪽은 잘 모르지만, 지인이라면 나중에 취업하고 싶은 회사의 산업계를 토대로 분야 정하라고 조언할 것 같습니다. 학계가 목표신데 연구분야에 딱히 호불호가 없다면 그냥 교수님 인성 좋고 실적 좋은 연구실 가세요. 정말 좋아하는 연구분야여도 교수님 잘못 만나면 학계에 발도 붙이기 싫어집니다. ㅎㅎ
대댓글 1개
2024.09.27
사실 아직 아카데미랑 인더스트리 결정을 못했어요.. 교수님도 그렇고 다른분도 취업이 목푠지 학계가 목푠지도 정해야 한다고 했는데...이것도 고민이네요ㅠㅠ 근데 취업으로 잡는다면 반도체쪽일거같긴해요 나노물질(qds)는 반도체 물질에 응용되는거라 당연히 반도체고 유기합성쪽도 제약보다는 반도체나 배터리에 쓰이는 물질이 더 관심사라... 학계로 잡는다면 위에 분도 그렇고 교수님이 어떠한지 알아보는게 중요할거같네요!!ㅎㅎ 저도 존경하고 가르쳐주시는 교수님이 유기교수라 유기쪽에 관심가는거 보면..무시못할 고려사항인듯 하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2024.09.26
대댓글 1개
2024.09.27
2024.09.26
대댓글 1개
2024.09.27
2024.09.27
대댓글 1개
2024.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