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한국은 왜 얀르쿤, 제프리 힌튼 , 하사비스같은 인재가 안나오는거냐?

2024.10.09

26

4499

인프라나 정부 탓하기엔

인재가 하나도 안나옴

교육방식의 문제인건 분명해보이고

어쩃든 내가 성장할려면 외국 석박사하는게

현명함


한국에서는 교수 허드렛일 밖에 안함

왜냐면 정부 프로젝트가 허드렛일 수준이기 때문이지

결국 구조적 문제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6개

2024.10.09

애초에 우리나라는 공학을 집중적으로 투자했고
지금도 주요 돈벌이가 공학으로부터 파생된거라 당연히 순수과학이 약해서 노벨상 못타는거지..
다른나라만큼 투자를 하지않아서 못한부분이 가장큼
문화가 좋아도 돈 투자가 적으면 인재유치도 안됨
진짜 뛰어난 학생들이 의대로가고 개나소나 대학원 가는게 문제인듯

대댓글 2개

2024.10.09

과기원이나 일류대 자연과학 계열 입학시 등록금지원이랑 미국 유학 지원같은 특전같은게 붙고
어느정도 미래를 보장해줘야 갈까 말까한데..

2024.10.09

예시 교수님들 전부 공돌이긴해용

2024.10.09

여기 게시판만 봐도 돈만 따지는데 저런 인재가 어떻게 나옴?

대댓글 3개

2024.10.09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 안 따지는 건 봉사하라는 건가? 퍽도 아인슈타인 같은 애들이 봉사하겠다

2024.10.09

돈을 좇으면 노벨상이 나오나? 그럼 노벨상이 왜 안나오냐고 묻질 말던가

2024.10.11

칼세이건//생각보다 해외나와보면 그냥 연구 그 자체에 미쳐있는 사람들도 많음 (이런애들이 연구도 잘함). 님이 생각하는건 완전 한국식 사고임. 미국도 좀 와보고 생각을 넓게하세요

2024.10.09

전반적으로 연구에 대한 가치를 좀 낮게 측정하는 경향이 있다고 봄. Ai쪽도 돈이 안되는 연구를 한국에서 하기 힘듬

2024.10.09

그냥 자본이 부족해서 그럼.
교육문제는 아님 노벨상 20명인 일본도 한국이랑 똑같은 주입식 교육임 천재적인 두뇌, 발상으로 노벨상을 받는다는것도 1980년대이전에나 통하는 옛말이고 지금 노벨상 받으려면 천문학적인 규모의 정부지원이 필요한데 한국은 그정도의 거금을 감당할수 있는 여건이 안됨.

2024.10.09

대학원 + 대학연구소 + 기업 연구소 연구소만 15년 다녀보면서 느낀점은 국내는 연구를 하는것이 아니라 책임자 스펙쌓기 업무만 하니깐. 연구만 집중적으로 할수있는곳이 없음. 나중에 나오면 본인이 추구하는 연구주제가 거의 없음. 윗선에서 뺏기거나 그냥 연구실 잡무만 열심히함. 진짜 s급 소수정예 박사들만 교수 내지는 연구소 정규직 차지함. 갸들도 그냥 연구비따기위해서 온갖 잡무와 본인 연구테마하고 상관없는 돈되는 연구만함. 제프리 힌튼처럼 내가 만든 아이디어로 돈이 되든 안되든 상관없이 우직하게 한분야에 집중하는 연구자가 단한명도 없음. 그러니 노벨상 나올수없는 시스템임

2024.10.09

눈을 아무리 씻고 찾아봐도 자기가 된다는 포부를 가진 사람이 없거든요. 그런 사람 나오기만 바라고...
물론 이렇게 말하는 저도 공부 잘하고 머리 좋은건 아니지만 머리 좋은 사람들이 연구 좀 해줬으면 하는 바림이죠.. 서울대 나와도 취직하려고 하는 마당에 연구실들이 잘 돌아갈지가 의문이에요.
제 생각엔 돈이 어쩌니 해도 찾아보면 될 사람한텐 지원은 해주는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후진국도 아니고..

대댓글 1개

2024.10.11

이게 맞음. 생각보다 돈 외에 비 산술적인 요소 (문화 등) 들도 영향 많이끼친다고 봄

2024.10.09

당시는 뉴럴넷이 메인스트림 머신러닝은 아니였고 신생분야에 속했고.. 한국에서 이런거 한다고 하면 학생들이 안 올텐데.. 과제 따기도 어렵고..

그냥 한국은 그러한 연구를 해본 경험과 문화가 없어서 그럼.

대댓글 1개

2024.10.09

글고 위에 해외로 나가라는 글은.. 가봐야 많은 경우 인도, 중국 학생들 한테 밀려서 연구실의 핵심 박사생 되기가 힘듬. 결국엔 한국은 일제 식민지배와 한국전쟁으로 초토화돼서 본격적인 자체 스타트가 늦어서 여러모로 불리함.
얌전한 게오르크 헤겔*

2024.10.09

그냥 한글 창제로 만족하자 ㅎ

2024.10.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노벨상 시즌만 되면 항상 되풀이되는 자기한탄 ㅎㅎㅎ 지겹지도 않냐? 아직도 제대로된 연구풍토가 자리잡지 못한 탓도 있고 물질적 풍요를 더 중요시하는 한국인 특성도 있겠지. 여전히 IF 20점 논문 1편보다 IF 2점 논문 10편이 더 실적 점수가 크니 뭐 어쩌겠냐. 점점 더 연구자에 대한 존중과 대우가 좋아지기는커녕 악화되고 있고 머리좋은 순수한 열정 덩어리들이 과학을 하는게 아니라 전부 의대만 향하고 있는데...게다가 꾸준히 가도 모자랄판에 기초연구비 삭감이라는 폭탄도 떨어지니 뭐 몇년 더 뒤쳐지는건 보너스고..ㅎㅎㅎ 잘 한다는 교수들은 전부 미국 등 과학강대국 따라쟁이들뿐이고 ㅎ 와이씨 네이처에 신기한 논문 나왔네. 야 XX야 우리도 이거 한 번 해보자. 빨리 공부해서 세팅해봐 그럼 우리도 네컴 정도는 낼 수 있어!ㅎㅎ 솔직히 자기는 아니다 자신있게 외칠 수 있는 교수들 몇이나 있남?

대댓글 2개

2024.10.10

네컴이나 내면 다행이죠. 연구 좀 한다고 꺼드럭대는 교수들 중에도 못내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애초에 따라쟁이 연구로 내기 힘들 수 밖에 없죠.

2024.10.10

구구절절 공감가는 내용이내요.

2024.10.09

사회 경제적인 구조적 문제와 문화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있다고 봄. 일단 제조업 중심의 수출 경제이기 때문에 공학, 제품 개발에 투자에 집중 할 수 밖에 없음. 대한민국이 제국주의를 해서 쌓아 놓은 부가 있나 아니면 안정적인 자원이 나오나, 뭔가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자연과학에 투자할 수가 없음. 문화적 문제는 빨리빨리 문화와 비교문화가 심함. 뭔가 자신만의 길, 한 길을 깊이 파는게 아니라 그저 남들 하는거 트렌드 따라가는거에 급급함....

2024.10.10

이번에 노벨 화학상받은 로제타폴드 시리즈들 1저자 서울대 백민경 교수임. 알파폴드는 1저자와 교신이 모두 수상했지만 로제타폴드는 완전 주인공 느낌은 아니라서 그런지 교신만 수상함. 이름값이 허사비스나 베이커보다 딸리는것도 한몫 할거고.

대댓글 1개

2024.10.10

한국이 선진국 반열에 오른지 얼마 안되어서 학계 인프라가 밀림. 다만 인력풀에서 밀리는건 아님

2024.10.10

피부과 선택해서 보톡스나 찔러 뭔 노벨상 타령이냐.

2024.10.10

시간이 해결해줄듯ㅋㅋ 한국이 너무 급속도로 빨리 발전해서 교육시스템이 아직 완전이 잘 자리잡지 못해서 그럼.

노벨상받는 사람 나이가 60-80대 정도라고 생각하면 우리나라는 이분들 젊었을때는 대부분 가난하게 크고 재능잇는 사람도 공부쪽으로 못 나갈 가능성이 컷음.
현재 40-50대가 어렸을 때는 교육 시스템이 자리잡아가는 과도기라서 힘들엇을듯
지금 20-30대가 낳는 자녀들이 풍족한 사회에서 어릴때부터 조기교육 잘 받고 돈 보다는 더 큰 목표를 가진다면 충분히 가능성 잇을듯

2024.10.11

돈 아깝고 못믿어서 그렇습니다.
교수, 연구원이 돈 많이 벌면 아깝죠. 별 하는일도 없는 것 같은데, 연구비는 펑펑 낭비하고 있는 것 같죠. 연구 안하면서 하는 척만 하는 것 같으니 별 이상한 지표로 측'량'하죠.
온 나라가 그렇게 생각하고 하물며 학생들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러니 교수든 연구원이든 돈따오기 바빠요. 먹고는 살아야하니까요. 서류 쓰기 바빠요. 증빙해야 되거든요. 단기간에 결과 나오고 논문 낼 수 있는 뻔한 연구만 해요. 정'량' 못채우면 안되거든요.
돈 아깝고 못믿는데 대성하길 바라는 것은 도둑놈 심보죠.

2024.10.12

윗사람들처럼 수능을 잘 본 똑똑이들이 의대를 가니까요~
부터 답이 없는거죠.
저 마인드로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는 대학에선 애들 교육이 사실상 제대로 이뤄지지도 않고
애시당초 한국 초중고 교육과정에서는 학문적으로 똑똑한애들을 만들어내는 과정이 아닌데요 뭐.

막말로 그렇게 문제풀 시간에 진지하게 개념 딥하게든 다각도든 정말 생각을 확장시키게끔 가르치는 시간을 투자하면 정말 훌륭한 연구결과가 안나왔을까요?

좀 달리 말해서 우리나라는 학문을 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는 시기가 굉장히 늦게 개화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더욱 더 그런 현상이 커진다고 생각합니다.

2025.04.24

너는 왜 얀르쿤, 제프리 힌튼 , 하사비스같은 인재가 아닌걸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