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생연구원 후 같은 연구소로 포닥 가는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24.11.18

9

1760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4.11.18

저도 정출연 박사인데 저같아도 화남

대댓글 1개

2024.11.18

어떤점에서 화가 나시나요?

2024.11.18

PI셨던 분이 원글자의 역량에 대해서 좋은 인상을 갖고 계신 것 같습니다. 꼭 그렇다고 화를 내실 것까진 없지만요.

제 분야에서도 마국이나 유럽의 경우 학위를 마친 기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하게 되면 ‘무슨 사정이 있겠지..’라는 눈으로 보는 것은 사실입니다. 금기까지는 아닌데 왠만하면 권하지 않고 하지 않는 그런 일인 거죠. 어쩔 수 없다면 뭐, 그 평판을 감내하며 하는 것이고요.

대댓글 3개

2024.11.18

너무 감정적으로 화를 내시니 저도 이제 많이 지치고 이 분야에 대해서 생각을 안하고 싶을 정도까지 오게 된것 같습니다.

같은 분야도 아니고 다른 분야로 이직하는 것도? 평판이 안좋은가요..?? 정말 어렵네요..

2024.11.18

기본적으로 박사후연구원이란 박사 헉위를 취득하는 동안 다 획득하지 못한 독립 연구자로서의 역량을 성장시키는 과정입니다.

이때 획득해야 할 역량이란 스스로 연구 과제 생성하기, 새로운 연구자와의 협업, 새로운 분야로의 연구 외연 확장 등이 있습니다.

다른 분야로 이직이 무얼 이야기하는지 모르겠으나 자기가 습득한 툴로 전혀 가른 도메인의 과학을 하는 일은 비일비재하죠.

다만 확실히 자기가 하던 연구하면서 확장하는 느낌이 아니라면 ‘연구자’로서의 커리어는 좀 주춤하게 되는 것도 현실입니다.

연구자로서는 툴을 지키는 것보다 도메인을 지키는게 더 필요하죠.

어찌 됐든 PI는 원글자가 연구자로 성장하는 것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계셨던 것 같습니다. 그게 개인적인 이유일 수도 있겠지만요.

2024.11.19


감사합니다.
마치 제 이야기처럼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제 PI인 박사님의 생각도 많이 이해가 됐구요.

해외로 나가라는 식으로 많이 이야기해주셨는데,
아마 연구자로서 성장 하는 것에 생각을 많이 하신 것 같습니다.


그렇습니다. 습득한 기술로 다른 곳으로 가게 됐습니다.
다른 분야의 과학을 하게 되기도 했구요..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다른 분야에서 열심히 살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11.19

박사까지 한 친구치고 답답하네요 뷰가 이렇게 좁아서야
PI 박사님 입장에서 한번 생각해 보십쇼. 자기 학생이 더 좋은데로 가면 주변에서 그러려니 하겠지만, 같은곳에 다른랩으로 가면 제3자 입장에서는 박사님이 어지간히 무능력해 보일겁니다. 돈이 없어서 포닥 월급도 못 줄 형편이라든가, 제자랑 사이 안좋은 인간처럼 보이겠죠. 제3자 입장에서 보이는 최대치는 +-0이고 (아무도 긍정적으로 보진 않음), 최소치는 저 바닥 마이너스죠.
거기다 이직하는 포지션 박사님과 사이가 어떨지도 잘 모르고...

해외 포닥 딱히 알아본것도 아닌것 같은데 (한군데 떨어졌다고 포기하면 나중에 취직은 어떻게 하시려고?) 저렇게 수동적이라 나중에 어떻게 먹고살까 걱정도 될거고, 제가 글쓴님 PI라도 답답하겠습니다. 지팔지꼰이라고 걍 내버려둘듯 싶긴 하네요.

대댓글 2개

2024.11.19

그렇게 보일 수도 있겠네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교수님은 제가 가는 곳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봐주셨는데, 박사님은 외국을 꼭 나갔으면 했던 것 같습니다.
아니면 국내의 다른 연구소를 가던지 말이지요.
한 군데만 알아본 건 아닙니다. 그렇다고 10군데 이상의 많은 곳을 알아보지도 않았구요..
그렇다고 또, 메일로만 알아본 것도 아니고 다 직접적으로 찾아가서 일을 같이하면서 알아봤었습니다. (외국도 마찬가지구요.)
(다들 좋게 봐주셨는데, 상황이 안 좋다라는 이야기가 컸습니다.)

나름 노력을 해봤지만, 박사님 입장에서는 답답한게 많은 것 같습니다.
애초에 제 이야기를 들을려고 안하셔서.. 그 뒤로 이야기를 많이 못해봤습니다.
질문도 이걸 어떻게 해쳐나가야 할지에 대한 것이도 하구요..
그리고 이해를 위해서 올리기도 했습니다.


제가 박사 과정을 하며 발전시켜보고 싶은 기술이 생겼는데, 하는 곳이 많이 없어서..
국내에서 관련 기술로 다른 일을 하고 있는 곳도 있어서 그쪽으로 지원을 했습니다.

오랜기간 동안 둘이서 헤쳐나간게 많았기도하고 서로 의지하며 연구했어서
마지막에 나갈때 좋게 나가고 싶은데,
관계가 꼬일꺼 같아서 이걸 해결 하고 싶은 마음이 큽니다.
이야기를 전달을 해야하는데.. 전달도 못하겠금 짜증과 화를 내시고,
갑작스러운 존댓말로 불편하게 하니까 답답한 입장이네요..


좋은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2024.11.20

어떤글인지 모르지만 해외포덕 지원하는데 열군데도 안쓴사람이 몇이나 될런지.. 저도 탑스쿨와잇지만 20군데 뿌렷습니다. 미국에서 박사학위받은 친구들도 포닥알아볼때 글쓴이보다 더 많이 뿌랴요.
그리고 저도 학위받고 정출연에서 재직하다 나왓는데, 다른곳도 아니고 같은 기관 다른 연구실 가는건 진짜 짜증날겁니다. 애초에 비슷한뷴야 하면 서로 경쟁관계인곳도 많고, 서로 웃어도 실장들끼리 TO받거나, 부서옮기려는 잘하는 선임 잡으려거나, 포닥 뽑으려고 경쟁하는데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