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학부생 논문은 그냥 국내저널에 쓰는 게 맞을까요

2024.12.01

13

2975

학부연구생은 아닌 학부생입니다.
뭔가 괜찮은 결과가 있어서 논문 써보려고 합니다.
"해외저널 가즈아아아ㅏㅏ"라고 생각은 하곤 있는데...

학부생 논문은 딱히 취급을 안 해준단 얘기를 들어서요.
솔직히 알아주지도 않는데 괜히 해외저널 노리는 건 시간 낭비 하는게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1. 진짜로 학부생 논문은 취급도 안 해주요? 해외저널이어도?
2. 만약 yes라면, 그냥 얌전히 적당히 만만한 국내저널 골라다 논문 쓰는게 현명할까요.

그 해외저널이 어느 수준인데?라고 묻는다면 무난한 수준이라고 가정합시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4.12.01

분야마다 다르고 능력에 따라 다르겠지요
일반적으로 혼자서 SCI 논문을 내는건 쉽지 않은 일이니 교수님이나 이런 분들과 상담해보세요

2024.12.01

1. 학부생의 연구가 과연 얼마나 High Quality일까? 식견이 상대적으로 좁은 학부생 입장에서는 우와~하지만, 교수님 눈에는 너무 minor 해보이거나 혹은 새롭지 않아 보여서.
2. 보통은지도교수님이 계시면, 대학원생이나 교수님이 논문을 새로 쓰실 가능성이 커서 (태세우스의 배라고 검색해보세요). 교육받지 학부생들은 수업의 실험보고서/과제보고서랑 논문의 쓰는 법 차이를 대게 구분 잘 못하거든요

2024.12.01

'내가 생각하기에 괜찮은 결과'는 논문의 아주 작은 일부분입니다.

그걸로 끝이 아니죠. 나머지 부분을 완성할 때는 오래 연구하신 분들의 도움을 받는 것이 수월할겁니다.

2024.12.01

가장 확실하게 님의 결과를 확인하려면 비슷한 결의 논문 결과들이 실린 저널들을 보세요

2024.12.01

"논문을 많이써본" 사람에게 의견검토를 받는것이 좋습니다. 보통은 학교에서는 그 역할을 교수가 하지만, 주변에 아는 다른 박사학위자가 있어도 충분히 도움될겁니다. 검토를 요청받은후 교신저자 혹은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리더라도 그사람에게 검토받은후 투고가능한 수준일지, 그리고 논리등을 다듬어달라고 하면 되지않나 싶습니다. SCI 상위저널들이 어렵지 사실 국외저널중 많은저널들은 돈장사이기 때문에 국외논문 accept 자체가 어렵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석사과정이나 특히나 학부생한테는 sci 애매한저널들도 좋은실적이 될수도있고요. 다만 게재료에 대해서 누가 낼지는 판단해보시길

2024.12.01

"좋은 결과" 라는건 내 생각이고, 객관적으로도 그러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수많은 절차들이 있습니다. 논문 한 편을 쓴다는 것은 그 프로세스를 모두 수행힌 뒤 그걸 다 글로 정리해야 하는 작업이고, 지금시점에서 논문을 어디다 내는지를 따지는 건 크게 의미있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2024.12.01

다들 감사합니다...!

2024.12.01

겸손이 먼저 그리고 조심스럽게 저널에 올린만한 연구결과인지
지도교수님께 문의하세요

2024.12.01

어디던 한 번 내보세요 여기서 아무리 누가 뭐라 하던, 현실에 부딪혀봐야 현실을 알겠죠.
결과가 정말 괜탆다고 합시다. 그런데 그 결과가 어떤 맥락에서 나온 것인지,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 등등 인트러덕션과 디스커션을 쓰는 건 그 분야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합니다. 그저 문제 하나에 대한 결과가 잘 나왔다고 논문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뭐 수학분야의 무슨 난제 이런거라면 몰라도요

2024.12.02

어떤 주제인가요? 일단 한글로 요약본 써서 나한테 보내봐요. 어디까지 보낼수 있는지 봐줄테니. 내용 업그래이드 해야하면 공동저자 한자리 주시구.

2024.12.02

논문은 누가 썼냐가 중요하지 않아요. 내용이 중요하죠. 학부생 시점에서는 내가 한 연구가 어메이징 해 보일 수 있으나, 교수님이나 그 외 전문가 입장에서는 굉장히 마이너할 수 있습니다. 교수님께 교신 부탁 드려서 검토 받고, 마이너하다면 국내 저널로, 비벼볼만 하다면 괜찮은 해외 저널이 도전해 보시는 것을 추천랍니다.

대댓글 1개

2024.12.02

참고로, 교신이 학생이면 꼼꼼하게 심사합니다. 리뷰어에게 논문 줄 때, 학생이 교신이니 표절 등 엄밀하게 확인해 달라고 요청합니다.

2025.08.23

Editorial Process에 대한 이해가 크게 없는 경우가 많은거 같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