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5년짜리 중견연구 연구계획서 쓰고 있는데

2024.12.02

33

10329

박사1년차에 한국연구재단 5년 짜리 중견연구 유형1 연구계획서를 쓰고 있어요.
보통 교수님이 작성하는게 아닌가요?
박사과정지원장려금 연구계획서는 써봤는데 5년짜리를 쓰라니까 쓰고 있어도 이건 아닌거같아서요.
다른 연구실은 어떤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3개

2024.12.02

쓰라면 쓰세요

2024.12.02

쓰기 싫으면 교수님께 이유에 대해 설명을 하세요. 말을 못하거나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그냥 해야죠.

IF : 2

2024.12.02

일반적으로 교수님이 쓰는게 맞고, 그게 아니더라도 최소한 어떻게 써야되는지 가이드는 주셔야 되는게 맞아요.
교수님 지도하에 작성하는거면 경험상 나쁘실거 없구요...
어떻게 쓸지 모르겠으면, 혼자 끙끙 앓지 말고 교수님게 하나하나 여쭤보세요.

근데 교수님이 작성 방향성이나 방법에 대한 지도 안해주시면서 쓰라고 한거라면 너무 무책임하네요.

2024.12.02

박사 말년차 쯤 자기 과제 만드는 트레이닝은 할 수도 시킬 수도 있는데 중견은 좀 마않아 과하네요.

그야말로 중견 연구자들도 나가 떨어지는 유형인데…

2024.12.02

석사1년차에 썼는데
엉뚱한 블레즈 파스칼*

2024.12.02

원래 다 씀. 징징하지말고 과제 잘 딸수있게 잘쓰세요.
그리고 님이 써봐야 교수님이 다 뜯어고침

2024.12.02

나도 석사 2년차부터 썼다 ㅋㅋㅋㅋ 까라면 까고 그게 다 능력이 된다

2024.12.02

박사과정이면 쓸 수도 있어요. 써보면 박사받고 나중에 큰 도움이 됩니다. 개인적으로 학위중에 꼭 배워야 할 것 중 하나가 제안서 쓰는 것이라고 봅니다.

2024.12.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는 석사 3학기차에 적었습니다. 그 당시에 연구교수님이 가이드라인이랑 참고자료를 공유해주시고 하나씩 지도해주셔서 참 좋았는데.. 교수님께서 최소한의 가이드가 없으면 정말 맨땅에 헤딩입니다. 교수님께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달라고 말씀해보세요. 적는 것 자체는 당연히 해야할 일 중 하나이고, 배우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회사에 가셔도 비슷한 서류를 엄청 적습니다

대댓글 1개

2024.12.02

사실 이 정도면 트레이닝에 가깝죠.
어찌 보면 박사 과정 중에 해봐야 하는 트레이닝에 가깝습니다.

풀어야 할 문제’만’ 잡아도 절반, 방법론 방향 잡으면 나머지 절반 중 또 절반이긴 합니까요.

그 다음은 논리적으로 예쁘게 글쓰고 다듬고.

물론 숫자 맞추기라는 복병이 기다리긴 합니다만 그건 PI가 해야..죠?

2024.12.02

교수가 방치형이면 그렇지 뭐 우리 연구실은 교수가 가이드도 안해줌

2024.12.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써오라면 써오는 능력있는 학생들이라니..부럽다 쩝.. 나는 그림그리는것부터 대표실적 정리까지 처음부터 끝까지 나혼자 다 했는데

2024.12.02

2년차 박사과정생입니다. 저는 이미 다 써서 교수님이 제출하셨다고 고생했다고 하셨습니다 ㅠ. 힘들었슴다 홧팅

2024.12.02

근데 실제 연구할 사람은 학생들 아닐까요? 그래서 연구할 사람들이 써야되지 않나 싶네요.

2024.12.02

하라는거 다 하세요. 학위받으시려면 그 중간 과정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졸업하고 회사 연구원이든 정출연이든 연구 거의 못하고 계획서 보고서 쓰는 일이 태반일텐데. 미리 겪는다고 생각하고 하시는것이. 국내는 정상적인 연구기관없어요. 이걸 내가 해야하나 싶은일 투성입니다. 그래서 국내 과학계가 이모냥이지 않을까

2024.12.03

교수랑 같이 쓰고 있으면 몰라도. 혼자 쓰고 있다면 될가능성도 없고. 연구 방향에 대한 배울것도 없는 교수군요. 도망치세여.

2024.12.03

교수가 어느정도 방향지도하에 학생이 작성하는건 좋은 교육이 됩니다. 물론 확률을 조금이라도 높이기위해서는 교수가 충분한 가이드는 해줘야겠지만요. 저도 학위과정중 제안서를 정말많이썼는데, 초반에는 교수님께서 많이 가이드해주시다가 어느순간 저를 믿으셔서 저한테 전적으로 맡긴경우도 있습니다. 저는 그러고나서 해외포닥하면서도 제안서 작성해봤는데, 한국과는 조금 달랐지만 예시보면서 잘 작성했고 과제수주도 성공했습니다.
논문도 마찬가지죠. 게재확률을 높이려면 교수가 그림과 라이팅을 전부하는것이 훨씬 퀄리티가 높아요. 실제로 학위받을때 옆랩은 학생들은 데이터만 뽑고, 교수가 논문은다썼고 그래도 학생이 주저자로 넣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해서 학생들이 학위받을때즈음에 충분히 훈련됐다고 말하기는 어렵죠.
시행착오가 있더라도 하나하나 해보면서 점점 PI로 설수있는과정들을 배우는거죠.
물론 지도없이 학생한테 전부떠맡기고 아무것도 안하는 교수를 옹호하는건 절대아닙니다. 교수도 본분을 지켜야겠죠.

대댓글 1개

2024.12.03

동감합니다

2024.12.03

교수님께 방향성이나 이런것들 물어보시고 회의를 통해서 큰 꼭지정도는 교수님과 상의 후 작성해봐요..
그 후에는 일단 님이 할수있는 최대한으로 작성해서 교수님께 토스해드리면 수정해 주실겁니다...

2024.12.03

이거 당연하다는 사람들은 가스라이팅 당한거임.. 대체 이게 왜 당연??? 연구계획서 학생이 쓰면 학생 이름으로 제출하나?? 당연히 본인 이름으로 제출할 거면 본인이 작성하는게 맞음.

가이드 주고 피드백 주면 좋은 교육이 된다는 것도 사실 좀 가스라이팅인데, 나중에 학생이 세종 쓰거나 할 때 본인 프로포절 보여주고 계획서 봐주고 하면 그게 교육이지, 본인 업무 짬시키면서 관리감독해주면 그게 교육인가?

2024.12.03

근데 다들 중견 잘 되시나요...? 저흰 2연탈하고 새로 시도중이네요ㅎㅎ

본 글에 대해서는 뭐 랩바랩 아닐까요? 한명한테 독박 씌우는 건 잘 못보긴 했지만

2024.12.03

석사 2학기차 부터 연구계획서 작성했습니다. 케이스 바이 케이겠으나 교수님이 학회에서 여러모로 유명하시다면... 적당히 형식 맞춰서 잘 작성만해도 과제 채택 될겁니다.

2024.12.03

와 중견 연구제안서를 학생에게 맡기는 교수가 있긴 하네요. 작성에 필요한 그림을 부탁한 적은 있어도 제안서 자체를 맡긴 적은 없는데 놀랍네요. 개인연구 과제는 교수가 써야 되는데...

2024.12.03

많이 봐줘도 같이 하는거면 모를까 다 작성하는게 당연하다고 하다니 기가 차네.. 원칙적으로는 교수가 쓰는게 맞습니다. 윗 댓글들 처럼 가이드 주고 초안 작성해보는게 좋은 경험인거지. 아무것도 없이 맨 땅에 헤딩해봐야 습득 효율 자체도 매우 떨어지고, 그냥 교수가 '아 몰랑' 시전하는거랑 다를 바 없습니다. 저도 완전 방치 당해서 교수가 이전에 썼던 계획서/보고서 NTIS에서 스스로 찾아서 다운로드 하고 참고하면서 수많은 제안서를 썼지만 할 때 마다 굳이 이렇게 비효율적으로 할 필요가 있었나 싶네요. 말 그대로 지도교수기 때문에 지도를 하는게 의무인건데 저런 방식이 무슨 지도죠 ? 지도 방식에 차이가 있을지언정 저런 식으로 학생에게 전부 맡기는건 직무 유기죠. 물론 혼자 해보는 경험도 본인이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굳이 학생 때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네요. 한창 성장할 시기에 굳이 정신 건강 해쳐 가면서 까지 이 고난길을 시작해야될까요 ?

2024.12.03

가스라이팅 ㄷㄷㄷ

2024.12.03

본인이 써야죠 본인이 받을 연구비고 본인이 책임연구자인데요. 아이디어가 없으면 교수님께 자문을 구할수 있겠지만 본인이 써야된다고봅니다

대댓글 1개

2024.12.03

내용을 잘못읽었네요 박사1년차에....

2024.12.03

까라면 까라니...ㅋㅋㅋ참...말을 꼭 그렇게들 밖에 못하나...? 다들 그러려니 하는 문화 또는 풍토일지라도 방식과 과정에 있어서 맞는건지 아닌건지 생각정도는 해봐도 나쁠건 없지 않나;;

2024.12.04

쓰라면 써야줘 뭐가 문젠가요? 정출연 교수 생각하면 그때까지 어떻게 쓸지 몰라 전전긍긍하는것 보단 낫죠 그때가면 도와줄 사람도 없습니다

2024.12.04

일은 하기 싫고ㅋㅋ 월급이랑 장려금은 받고싶고??ㅋㅋ
님이 드래프트 쓰면 교수가 어차피 다듬겠지
지 도움될라는거만 하려는거 개토악질나오네

2024.12.04

맨날 이딴거나 하니까 창의적인걸 못하지
국내 학계 개판임

2024.12.06

나중에 연구를 할 예정이라면 특히 학위기간동안 과제를 써봤냐 안써봤냐가 엄청난 차이로 나타나는것같아요

2025.01.26

지금 중견연구 심사중인데 학생이 쓴 것 같은 어설픈 제안서는 최저점 주고 있는중입니다. 그 교수 정말 한심하군요. 수억짜리 과제를 경험도 없는 제자에게 시킨다구요? 학생들에게 이해가 가는지 읽어봐 달라고는 해봤어도 처음부터 쓰라고 하는건 화가 나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