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학생은 평소 말하는거 보면, 기본 메커니즘도 모르고, 장비도 모르는데 떠들어대서 틀린말 퍼트려서 주위 사람들이 정정하고 다니는데
논문 데이터를 잘 뽑아냅니다 겸손은 아닌것 같은데, 전부 일단 해봤는데 됐다 논리 입니다
일단 해보는것 자체가 연구의 시작이고 행동력 실행력 대단한거죠,,
그렇게 한게
1. 실험실 선배가 만든물질 했더니 -> 잘됨 2. 다른 학생 물질 가져다 해봤더니 -> 잘됨 -> 그래서 보고 했더니 PI가 이대로 논문 못쓰고, 공부좀 하라고함 -> 논문을 PI에게 던지고 PI가 개쩌는 분석툴 완성 -> 분석한 사람이랑 공1저자 3. 이미 너무 잘 알려진 방법이긴 하나, PI가 해보라해서 했더니 -> 잘됨 4. 포닥이 아이디어 줌 -> 했더니 잘됨 5. 다른 사람 아이디어에서 메인 물질만 바꿔서 함 -> 잘됨
이런식으로 1저자가 끊임없이 늘어나는걸 보면서
대단하다 싶으면서도 신기합니다....
보통의 원생들이 하나 잘 만들어보려고 시행착오를 거치는 시간에, 했더니 돼서 거의 3배 이상의 논문 뽑기 효율을 보이고 있어요;;
진또배기 연구원이나 교수님들 보면 논리 가정해서 파생시키고, 가설이나 예측도 생각해서 논문 엄청 내시는 경우만 봤는데,,,,
이런 학생들 종종 많이 보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6개
IF : 2
2024.12.09
생각의 깊이나 고민은 적은데, 실행력이 좋고 구현 능력이 좋은 학생들이 종종 있더라구요. 타고난 직관이 좋은걸수도 있구요. 말씀해주신 학생은 좀 특출나것 같은데요. 운도 좋은것 같구요. 다만 혼자서 일을 추진해나갈 능력은 떨어지기 때문에, 이런 친구들이 박사과정 진학 후 혼자 연구 개척해나가야될때 퍼포먼스가 급격히 떨어지는 경향이 있는것 같습니다. 사람마다 재능이 다른것 같아요.
2024.12.09
2024.12.09
2024.12.09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