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7 - 그분 어글리 코리아네
소국민 주제에... 대국에 가서 몬소리임...
조지아텍 수준이 어떤가요?
12 - 그래도 시도할건 해봐야 하지 않을까요???
엄연히 [불법] 이민자를 싫어하는것이지, [합법]적인 이민자를 반대하는건 아니니까요. 어떻게 보면 [합법적]인 절차만 누가봐도 명료하게 만들면 (힘들겠지만요) 그것만 명료하다면 유학이나 포닥은 또 명료해지는것 아닐런지요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19 - 제가 생각을 너무 단도직입적으로 밝혔네요.ㅎㅎ 죄송..
큰 관점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불법 이민자들을 색출하려고 노력함에 따라 박사/포닥 한테 주는 펀딩을 제어하는거같아서요 ㅎㅎ
결론은 같습니다...
불법 이민자로 전락하지 않겠다는 뉘앙스를 많이 풍기면 박사학생이나 포닥에게 주는 펀딩을 받을수 있을거라는 뜻입니다 ㅎㅎ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24 - 헤르츠씨는 프로젝트와 펀딩 예산 삭감과 구조조정이 뭔지 아예 이해를 못하고 있는것 같은데, 익명커뮤에 분탕치러온 대학원과 미박과는 영 관련없는 분 같네요.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16 - 뭐가요?진지한데 어설프게 공감하지 말아주세요
착한 선배들은 박사 안 하더라
30 - 아 네.
착한 선배들은 박사 안 하더라
15 - 익명커뮤에서 개차반 대댓 다는거보니 글쓴이도 남는축에 속할듯 ㅋㅋ
착한 선배들은 박사 안 하더라
18 - 언급해주신 대학들 모두 상위 20%에 포함되는 학교인데, 디메리트의 기준이 글쓴이에겐 매우 높은가 봅니다. 나쁜 교수님을 만나는 것만큼 디메리트가 있을까요?
인기 대학원,좋은 기업 취업에 있어서 학벌 디메리트가 시작되는 라인은?
10 - 박사과정 중에 자퇴하게 하는 건 진짜 쉽지 않은데..
지금까지 벌려놓은 연구과제 + 자퇴생들이 기존에 맡았던 거 마무리 님이 다 덤터기 쓰기 전에 나가세요
거기다 후임도 안 오면 더 노답임
학부연할 때 선배가 도망치래서 농담인 줄 알았는데 선배들 자퇴함ㄷㄷ
15
연구실 전공과 다른 분야 컨퍼런스에 나가고 싶어요...
2025.01.01

저는 학부 컴퓨터공학 전공했고, 석사과정도 인공지능을 전공하고 있어요.
연구실은 컴퓨터, 전기전자쪽이 아니라 산업공학 연구실인데, 인공지능 모델을 그대로 사용하는 연구가 많은 연구실입니다.
새로운 알고리즘 연구보다는, 기존 SOTA를 산업분야에 적용하는 문제에 관심이 많은 연구실이예요.
그런데, 저는 연구를 하다보니, 알고리즘 자체를 개선하는 문제가 더 흥미있고 재미있더라구요.
그러다가 최근 연구주제를 하나 잡고 실험했는데, 매우 좋은 결과가 나와서 데이터 모으면 탑티어 컨퍼런스도 도전해볼만 한 것 같아서 고민입니다.
저는 박사과정을 알고리즘 연구하는 연구실로 유학을 생각중인데, 유학에는 컴퓨터 분야 탑 컨퍼런스 논문이 좋은 스펙이 될 것 같아요.
그런데, 이 주제가 지금 있는 연구실 테마랑 크게 관련 없기도 하고, 교수님께서도 컴퓨터 분야 탑티어 컨퍼런스는 관심 없으십니다. 입학 시에, 컴퓨터 분야 컨퍼런스는 지원 못해줄거라고 말씀하시기도 했고요.
이 논문 꼭 써서 ICCV 내보고 싶은데, 개인 비용으로라도 발표해도 될지 여쭤보면 교수님이 어떻게 생각하실까요?
test 김GPT 12 8 3185
연구실 운영 김GPT 5 13 4015
석박통합 8년차인데 졸업이 멀다.. 김GPT 16 15 5613-
9 10 2805
연구실이 너무 힘들어요 김GPT 3 9 2165-
0 11 1039 -
2 7 2316 -
7 5 1261
대학원 진학 관련 고민 김GPT 0 3 4317-
62 29 30784
연구자로서 우여곡절 우울증/불안장애 경험담 명예의전당 281 22 52497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명예의전당 221 75 17626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5.01.01
대댓글 1개
202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