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각각 상위 20~30%밖에 안되는데... 안 좋은 편인가요?... 부임하신지는 6~7년 되셨습니다. 다른 교수님들 랩실은 대체로 상위 1%~10%안에 드시는 것 같길래 여쭤봅니다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5.01.09
분야마다 다릅니다. 탑저널이어도 살짝 마이너해서 카테고리에서 손해보면 Q2(상위 25-50%)인 곳도 있고 IF 10이 기본인 분야도 있습니다. 그리고 반년에 한편씩은 나오는 분야가 있는가 하면 학위 과정 내 한편만 겨우 쓰는 분야도 있습니다.
대댓글 3개
2025.01.09
석사하고 취업이 목적이라면... 학위 과정 중 한 편만 나오는 분야보다는 여러 편 나오는 분야가 더 좋을까요?
2025.01.09
그것보다는 알럼나이나 기업과제 여부를 확인하시는 편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5.01.09
알럼나이는 3분의 2가 같은 교수님 밑에서 박사로 진학하셨고, 기업과제는... 따로 홈페이지에 프로젝트 목록이 안 나와있네요ㅠㅠ
2025.01.09
부임한지 오래되지 않은 spk 교수님이면 다들 실력은 기본으로 있으실 겁니다... 제발 저런 지표 집착하지 말고 연구분야에 대한 본인의 흥미 + 교수님 인성과 지도력이나 최대한 알아보시고 결정하세요
대댓글 3개
2025.01.09
수님 인성과 지도력은 알 방법이 없는 것 같아요ㅠㅠㅠ 특히나 타대다 보니...
2025.01.09
논문 실적이 교수 본인이나 외부 공동연구자가 1저자인 것 위주로만 채워져 있는지, 아니면 지도 학생이 1저자인 논문들도 다수이며 좋은 저널들에 게재되어 있는지 살펴보면 지도력에 대한 어느 정도의 가늠이 될 것이구요. 인성은 랩 인턴을 미리 해보는 것이 제일 이상적이겠습니다만 일단 자대생도 많이 가는 랩이라면 지뢰는 피할 가능성이 높고.. 주고 받는 메일이나 면담시 태도에서도 은근히 드러나곤 하니 쎄하면 피하세요. 해당 랩 대학원생에게 슬쩍 연락을 취해 조언을 얻는 것도 방법입니다.
2025.01.09
감사합니다. 혹시 좋은 저널에 게재되어 있는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2025.01.09
김박사넷에 나온 논문 정보는 부정확한 정보가 많습니다. 프로필이 부정확하거나 실적 등록이 잘 안 되어 있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여기 나온 % 말고 차라리 Google Scholar 피인용수나 주요 실적들에 대해 저널의 impact factor 등을 찾아보거나 하시는 편이 낫습니다. 친절한 연구실은 연구실 홈페이지에도 주요 연구 내용이나 실적 임팩트에 대해 잘 정리되어 있죠. 윗 분 말씀처럼 지표보다는 다른 것들도 잘 살펴보는 편이 좋죠.
2025.01.09
대댓글 3개
2025.01.09
2025.01.09
2025.01.09
2025.01.09
대댓글 3개
2025.01.09
2025.01.09
2025.01.09
2025.01.09
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