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엔 논문 1편써도 7년 8년 석박통합 했으면 그냥 졸업시키려고 하니까 그냥 박사과정을 박사라고 하는거죠ㅋ
2025.01.12
기분 좋으라고ㅋㅋ
2025.01.12
아무래도 대다수가 학생들인 사이트다 보니 그러는듯 합니다. 연구실 내에서는 '과정'이라는 호칭을 빼고 석사생 박사생 혹은 석사/박사 라고 부르기도 하니까요. 혹은 박사 2년차 이런식으로도 말하죠. 아마 본인들은 큰의미를 두고 박사 라고 호칭하는건 아닌듯 합니다. 하지만 밖에서 스스로를 박사 라고 말하면 충분히 오해할소지가있기에 조심해야할때는 조심하는게 좋다고 봅니다. 박사 2년차만해도 박사학위받은지 2년된건지, 박사과정 2년차인지 햇갈릴수도있다고 보고요.
2025.01.12
과정까지 쓰기가 귀찮아서 ^^?
대댓글 1개
2025.01.12
이게 이유라고 봅니다. 일일이 ‘과정’ 또는 ‘n년차’를 붙이기 귀찮아서 생략하는 것이죠. 설마 교수들이나 박사후연구원들 앞에서 이런 실수를 하진 않겠죠.
2025.01.13
교수님들 문제죠. 박사과정생 = 어짜피 졸업해서 박사할것. 이러니 박사과정생을 박사라고 부르는거죠. 박사학위 남발해버리니 뭐 어쩔수없는 현상. 저야 과거 세대라서 그런 불의를 보고 참아왔지만 지금 세대는 다르다고 하니 한번 따져보시는것도. 졸업요건이 안되서 박사학위못따는 경우도 있는데 왜 박사라고 하시냐고 해보세요. 어떤 표정일지 좀 궁금하긴하네요. 지금세대가 생각하는 불합리한 것들 뜯어고쳐보는것도. 단 그 이후 벌어질일에 대해서는 본인이 책임지고 이끌어가면됩니다.
대댓글 1개
2025.01.13
*어차피 *졸업여건이 안되면 졸업여건을 맞출때까지 기간이 연장되니 그렇죠. 그래서 휴학까지 해서 박사과정만 7년한 경우도 봤고요. 졸업여건이야 학교/학과/연구실마다 다르니 그 수준에 대해서 왈가왈부하기는 어렵겠지만요. 의사국시 합격률이 높은것도 비슷한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외부에서 볼때 수준이 부족해보이더라도, 학과/연구실/커미티들이 동의한 수준이면 함부로 평가절하하기는 어렵다고도 생각합니다. 물론 저도 학위받은지도 좀되서 이제는 커미티로도 참여할때지만 제가볼때 수준이 너무나도 낮아보여도 일방적으로 의견을 말하기 어렵고 눈치볼수밖에 없는 상황이긴해요.. 제 모교가 아닌이상 해당학교에서 박사학위에 대한 기대치나 수준이 어느정도인지도 모르기도하고요.
2025.01.13
남들은 그렇게 부르는데 저는 그럴때마다 '박사과정'이라고 정정해드림...
2025.01.13
우리랩실은 그렇게 불러달라던뎈ㅋㄱㅋㄱ..진짜ㅠ
2025.01.13
그냥 박사과정이라고 하면 너무 길어서 줄여서 박사라고 하는거지 뭐
2025.01.13
넌 그런소리 안들음?
2025.01.14
저도 헷갈려요 박사과정이라고 해주면 좋은데
2025.01.15
심지어 Phd student phd candidate도 원칙상 다른 것. 한국이 아직 후진국이라.
2025.01.12
2025.01.12
2025.01.12
2025.01.12
대댓글 1개
2025.01.12
2025.01.13
대댓글 1개
2025.01.13
2025.01.13
2025.01.13
2025.01.13
2025.01.13
2025.01.14
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