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Robotics 논문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5.01.14

26

3726

Robotics에서 가장 좋은 논문은 어디인가요?

제가 들어본 학회는 IROS/ICRA, 저널은 Science Robotics정도인데

가장 좋은 논문은 어느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RAL이라는 것도 있던데 요건 IROS 학회 논문에서 우수한 논문들 실어주는 저널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6개

2025.01.14

Science Robotics는 사실 로보틱스 중에서도 좀 fancy해보이는것들만 게재될뿐더러 매년 100편정도만 게재되기때문에 쉽지 않습니다. biomimetic, soft robotics, wearable robots 이런쪽으로 많이게재됐는데, 최근 legged robot도 많이보이고 로보틱스 분야외사람들 (material science 등)도 많이 노려서 여러가지로 로보틱스 분야에서 탑이지만 쉽지않은 저널이죠.
그외에 적당히 Sci Adv나 넷컴도 게재들 하지만, 위와 마찬가지로 좀 분야를 타야됩니다.
그래서 사실상 로보틱스 하는사람들이 내는곳들은 Sci Robot > TRO > IJRR > TMECH ,Soft robotics, Adv Intel Sys > RAL (RAM) 정도가 됩니다. 최근 npj Robotics가 생겼는데 어느정도에 위치할지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Adv Int Sys와 비슷한수준 혹은 아래가 될것같네요.
위에 언급한정도면 대가랩들도 다들 내는 곳입니다. RAL은 엄연한 저널페이퍼이며 오히려 RAL에 게재하면 다음해 IROS/IRCA에서 발표할수있는 기회를 주는게 맞습니다. IROS/ICRA 학회 풀페이퍼는 더블컬럼 6페이지수준인데 RAL은 보통 8-10페이지정도기도 해서 기본 분량차이도 크고요.
예전에는 IROS/ICRA - RAL 트랙도있었고 (이 트랙은 RAL에 준하는 수준만 받으려고했죠) 사라졌습니다. 여튼 RAL은 학회보다는 더 깐깐한 조건을 보게되며 Q2저널이지만 로보틱스 분야에서는 그래도 많이 인정합니다. 마지막으로 두 학회는 보통 acceptance rate이 40%~45%정도 수준으로 낮지는않지만 반대로 엄청 게재난이도가 높다고 보긴 어렵죠.

대댓글 6개

2025.01.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와우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요약하면, IROS/ICRA가 robotics 탑학회이지만 acceptance rate을 고려할때 최고의 논문이라고 하기는 그렇고
학회보다는 저널을 좀 더 prestigous하게 보는데 저널만 보자면 Science robotics > TRO > IJRR순이다
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2025.01.14

로보틱스 분야에서는 Sci Robot은 분야등으로 논외로 치고, TRO와 IJRR을 그래도 간간히내고 TMECH 꾸준히 내는곳이면 충분히 잘하고 경쟁력있는 랩입니다. 근데 로보틱스도 분야가 워낙다양해서 요즘핫한 러닝하는 랩들은 ICLR AAAI 이런 러닝기반 학회와 ICRA/IROS 위주로 내더라고요. 일반화는 어렵지만 여튼 TRO/IJRR까지는 정말좋은저널입니다. 오히려 Sci Robot보다 TRO를 더좋게생각하는 고인분들도 잇고요

2025.01.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정통 robotics 를 하는 분들에겐 TRO와 IJRR이 탑저널인가보군요. Sci Robot은 multidisciplinary 성격이 있어서 정통 robotics 저널로 안보는 분들도 계시구요. 그럼 난이도만 보면 일반적으로 Sci Robot이 TRO와 IJRR보다 어려운가요?

2025.01.14

그건 당연한데 분야에 따라서 Sci Robot을 아예 도전조차 못하는 분야가 워낙 많으니, 꼭 Sci Robot 있는랩이 TRO위주로 내는랩보다 더 좋은랩이라곤 볼수없다는거죠. Sci Robot을 쓴 한국랩들도 보면 서울대 조/박 교수님, 카이스트 김/박/황 교수님들등 유연로봇이나 웨어러블 다족보행로봇하는 랩들입니다. 최근 중앙대 이교수님이나 기계연에 송박사님도 쓰셨죠. 저는 기계공학과 기반 로보틱스쪽만 알지만 그외에도 ai나 material science하는랩들에서도 종종 쓰죠.
하지만 로봇 제어이론하는 랩이나 로봇하드웨어 설계하는 랩들은 TRO가 낼수잇는저널중 가장 탑저널이기도해요. IJRR은 TRO다음정도라고 인식하죠. 그래도 분야무관하고 난이도나 게재율로만 보면 당연히 Sci Robot이 TRO나 IJRR보다는 훨씬 높죠

2025.01.14

그리고 sci robot이 multidisciplinary이 성향이 있다고 말하기에는 사어나 넷컴과 햇갈릴수도있으니 구분해서 말하면, 원래 네이처나 사이언스지 같은 곳들 자체가 흥미롭고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수있는 연구를 선호하는경향이 있습니다. TRO 나 IJRR보면 논문내에 모든 연구과정과 이를 설명하는 수식들이 난무하는데, 네이처나 사이언스 자매지같은곳에 가면 메인 수식만 본문에 넣고 나머지는 다 서플맨터리에 넣죠. 그래서 TRO 와 IJRR은 어떤 방법론으로 했는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반면(물론 독창성도 중요하죠), 네이처/사이언스 퍼블리셔들은 독창성과 연구의 흥미등을 꽤나 보고, 에디터컷 넘기는것 자체가 어렵습니다. (제출논문의 80%는 에디터컷 당합니다) 그래서 sci robot 뿐 아니라 자매지에 써보시면 abstract이나 introduction에서 연구의 독창성을 강조하는게 상당히 중요해요. 거기에 연구수준도 높아야하고, 분야외 사람들이 봐도 흥미느낄수있도록 figure구성이나 video도 퀄리티있게 만들어야하죠. 그러다보니 원래 자매지나 탑저널에 많이내는 머트리얼사이언스분야에서도 로보틱스 어플리케이션으로 sci robot으로 내보고 게재도 많이되는 느낌입니다.

2025.01.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넵 다시 한 번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2025.01.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TRO와 IJRR이 탑저널

2025.01.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TMECH은 평판이 어때요? 두편 냈는데, TRO와 IJRR은 나이 들어서 ㅜㅜ

대댓글 13개

2025.01.14

뭐이리 다들 신고들을 받으셨대.. 나이들었다는게 뭔소린지 모르고 TMECH도 충분히 좋은저널이죠. 다만 Transaction들이 리비전프로세스가 너무길어서 그냥저냥 adv intel sys이런곳에 내려는사람들도 있어보이긴하는데, 그래도 TMECH을 더 좋은저널로 보는사람이 많을겁니다. 분야마다 다르지만, TMECH 2편으로 박사학위받아도 훌륭할수도 있죠. 소프트로보틱스나 biomimetic처럼 비교적 저널쓰기쉬운곳들은 더 좋은퍼포먼스 내는 사람들도 꽤많지만, 대다수 순수로보틱스하는곳들은 tmech2편이면 훌륭하다고 봅니다

2025.01.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Soft robotics가 쉬워요? 제가 티맥낼때 소로가 8점대라 힘들겠거니 하고 단념하고 소로에 낸 친구들한테 자격지심까지 느꼈는데.

2025.01.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생때 TRO와 IJRR에 도전못한게 아쉽지만, 나중에 나이들어서 도전하려고 하는.....

2025.01.14

IF는 큰의미없고, Soft robot이든 Adv Intel Sys든 IF가 매번또이또이한데 개인적으로 수준자체는 TMECH이나 TIE와 큰차이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TMECH이 더 까다로울때도 많아요. TRO와 IJRR 두개도 서로 조금씩 중요하게생각하는 관점들이 다르기에 잘 판단해서 게재하시길. 그리고 오히려 JCR로만보면 TMECH은 5%(mechanical 9/180), Soft Robot 17% (robotics 8/46) 입니다. 전통 로봇분야 저널들이 그동안 IF방어못하다가 최근 IJRR도 그렇고 TRO도 TMECH도 그렇고 많이 올라가고있더라고요.

IF : 2

2025.01.14

TRO, IJRR는 IF는 낮은편이지만 평판 관리를 매우 잘하고 있죠. 그래서 리뷰가 깐깐하지만 리뷰 퀄리티가 좋습니다.
소프트로봇은 로보틱스 저널로 치면 RAS정도에 해당하는 포지션으로 관련 분야 괜찮은 저널 수문장 느낌 같아요.
TMECH은 난이도로 보면 RA-L급이지 않나 싶습니다. 둘 다 리뷰어 운빨에 따른 편차가 큰듯합니다.

2025.01.14

보일님의 의견을 존중합니다만, RAS와 RAL과 비교한 이유가 조금 궁금합니다. 리뷰어 운빨에 따른 편차야 모든 저널이 비슷하니 넘어가더라도요. 사실 저는 TMECH은 주저자로는 써보진못했고, TRO/IJRR중 한편과 Soft robot한편, 그리고 사어/넷컴에 두편 썼습니다. RAL은 예전에 ICRA/IROS 같이제출할수있던 박사과정시절 3편썼고요. 제 주변에서 RAL은 어느정도 괜찮다고 평은 하지만, 수준을 그리높게 평가하진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도 TMECH과 학회지 사이정도에 있는 저널 마지노선으로 평가하고요. 당연히 TMECH/소프트로보틱스 모두 난이도나 리뷰프로세스가 그 윗급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저도 이제는 리뷰어로도 많이 참여하지만 RAL논문에 대해서는 기준치를 그리 높게 잡진 않습니다. 딱 학회지 윗급정도로만 생각하고 리뷰해줘요.
개인적으로 확실하진 않지만, 저는 acceptance rate이 어느정도는 해당저널의 수준을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IF나 JCR은 분야를 타니까요. ICRA/IROS나 40~45%정도, RA-L은 40%정도, RAS가 30~35%수준(제 주변에서는 RAS내는건 많이못봤네요), TMECH이 25~30%정도, TRO가 20%정도라고 나오네요. 사어는 8%라 비교불가능이고요. RAL은 예전에는 학회발표할겸 풀페이퍼로 내는 정도고, 지금은 윗저널에 내기 애매한 연구결과 짧고빠르게 제출하는용도로 내는정도라고 생각하는데, TMECH정도로 높게 평가하는분이 있는게 조금 신기했습니다. 제주변에서도 많이들 비슷하게 생각해서 공론이라 생각했었어요.
그렇게 생각하시는 의견을 공유해주시면 제 식견을 넓히는데 도움이 될것같네요.

2025.01.14

*사어가 아니라 sci robot

2025.01.14

*제 주변사람들은 저와비슷하게 많이 생각해서 공론이라 생각햇다는겁니다.

2025.01.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제가 10년전에 그나마 유명교수와 프론티어에 논문을 냈습니다. 그땐 저널에 대한 견해가 짧아서, 제가 저널을 고를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어요. 리뷰어들중엔 하버드 교수도 있었고, 아무튼 이름있는 사람들이 리뷰를 했습니다. 리뷰를 3~5차까지 갔던걸로 기억하고 또 어느 교수는 심지어 이런 논문이 이 저명한 저널에 나온다는게 납득이 안된다고 했어요.

근데 지금 프론티어 평판이 뭡니까? 암튼 대부분 논문 소재나 주제, 어떤 리뷰어들은 만나냐에 달린것 같아요.

IF : 2

2025.01.16

분야마다 다른 특성이라고 생각합니다.
공식 자료있는지 모르겠는데요, 에디터 하신분께 듣기로 ra-l 분야별 acceptance rate이 확연이 차이납니다. 종합 로보틱스를 다루다보니 편차가 큽니다.
특히 소프트로봇이 낼 수 있는 저널 옵션이 많은 분야라 (로보틱스 아니더라도 재료나 multidisciplinary 분야 등 낼 수 있는 높은 IF저널이 많죠) 억셉률이 높은 수준으로 알고, 그러다보니 ra-l 리뷰어나 저자나 모두 논문 퀄리티에 대해 비교적 낮은 기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로보틱스분야는 ra-l 윗급 저널이 바로 ijrr과 tro이기 때문에 선택지가 별로 없습니다. 제가 몇년전에 듣기로는 억셉률이 20~30%대로 들었습니다. 다만 말씀주신것처럼 ra-l리뷰 프로세스가 그리 우수한지는 모르겠습니다. 길어야 2차심사다보니 1차때 판정이 엄격한 편인반면 리뷰어 숫자도 적고 리뷰어 수준이 icra/iros수준으로 낮아서 간혹 리뷰어 1명의 잘못된 심사로 어이없이 탈락하는 일이 생기는것 같습니다.
로보틱스 분야에서는 ra-l이 떨어지면 마지노선이 RAS라... 그것도 떨어지면 ISR이나 IEEE Access, MDPI로 가는거죠.

Soft robot도 그런측면에서 말씀드렸습니다. IF는 높지만 분야 특성상 소프트로봇 분야 자체에서는 괜찮은 저널의 마지노선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분야별 특성때문에 사람마다 체감하는 저널 수준이 많이 다를겁니다.

IF : 2

2025.01.16

특히 소프트로봇이 낼 수 있는 저널 옵션이 많은 분야라 (로보틱스 아니더라도 재료나 multidisciplinary 분야 등 낼 수 있는 높은 IF저널이 많죠) 억셉률이 높은 수준으로 알고,

=> 적고 보니 말이 이상한것 같아서 보충합니다 ㅎㅎ
소프트로봇은 낼 수 있는 좋은 저널이 많다보니, if낮은 ra-l에 좋은 논문들이 많이 투고 안되어 적당히 좋은 결과만 나와도 리뷰를 잘 주는 경향이 있는것 같습니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억셉률도 높아지는것 같습니다.

2025.01.16

TMECH이 RAL과 난이도가 비슷하다는걸 이해못한다는겁니다.. 로봇하드웨어 하는 분야에서는 (저도 대학원은 비슷한곳에서 나왔고요) RAL위를 TMECH, 그 위에 IJRR, TRO로 가고, 게재난이도도 비례해서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분야별 acceptance rate이라고 말하기에는 사실 평균을 말하는거니 큰 의미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도 소프트로봇분야 연구는 아니였고 웨어러블 하드웨어쪽 입니다. 제 신분이 너무 특정될까봐 그렇긴한데.. 여튼 개인적으로 TMECH은 공저자로만냈지만 게재난이도가 RAL과 비할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해서요. ㅎㅎ
그리고 리뷰난이도도 큰 차이가 나기도하죠.. RAL은 저도 꽤나 다양한분야에서 15편이상은 리뷰해봤는데 (매년 3-5편은 리뷰하니) 전반적으로 다른 리뷰어들이나 에디터가 생각하는 기준치는 많이 낮았습니다. 저도 그런경험에 기대서 RAL에 맞게 너무어렵지 않게 리뷰해주는 편이고요.

2025.01.16

여튼 저도 RAL이 나쁜저널이라는건 아닙니다. 위에서도 RAL이면 로봇분야에서 주기적으로 낼만한 저널의 마지노선에 위치하고있다고도 생각하고요. 하지만 TMECH이나 TIE (제 분야에서는)나, Adv Intel sys나 Soft robot보다 게재난이도는 꽤나 큰폭으로 쉽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로봇분야도 분야가 워낙 넓고, 저도 학위는 하드웨어쪽으로 받았지만 지금은 어쩌다보니 cs쪽에 있다보니 다른 탑학회지에 투고하고있습니다. 레이더나 SLAM과같은 특정분야에서는 좀더 선택지가 낮을순있겠죠. 여튼 TMECH과 RAL 난이도를 비교하시는게 의아해서 여쭈어본거였습니다.

2025.01.14

+ CoRL, RSS 로보틱스 탑 컨퍼런스

대댓글 1개

2025.05.04

또 CoRL무새가 있네. corl수준은 딱 iros수준임. icra 못가고 ml application연구 내는 수준

2025.01.15

RA-L 은 Q1입니다.

대댓글 1개

2025.01.15

RAL Q2된지 좀 됐어요. 확인해보고오시길.. 로보틱스분야에 저널자체가 별로없고 위에 중국인저널등도 있고해서 어쩔수없지만 안타깝긴하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