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아마추어와 프로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5.01.30

19

2376

대학원생들은 아직 학생이므로 아마추어이지만 졸업 후 돈 받고 일하는 프로가 되는 길목에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석사,박사 학위에 상관없이 프로가 되기 위한 준비와 노력을 해야 한다. 학위만 있다고 프로로 인정받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역할과 임무에 대해 끝내 성공해내야지만 프로로 인정받는 것이다. 아마추어로 남을 학생과 프로로 성장할 재목의 차이를 정리해본다. 이 글을 통해 학생들이 본인을 점검해보고 훌륭한 프로로 성장해가길 바란다.

---아마추어로 남을 학생들---
1. 일에 대한 책임감이 없다.
2. 책임감이 없으므로 시키는 일만 꾸역꾸역 한다.
3. 시간 기반으로 일한다. 일을 끝마치지 못해도 시간이 되면 땡 퇴근한다.
4. 끝끝내 해낼 노력을 들이지 못하므로 "난 할만큼 했어"를 입에 달고 산다. 이 말을 자주 하는 학생 중에 최선을 다하는 것을 본 적 없다.
5. 시간의 중요성과 강력함을 인지하지 못한다. 퇴근과 휴일을 최우선의 가치로 둔다. 일년의 시작을 달력 빨간 날 체크부터 시작한다.
6. 본인의 느린 성장을 지도교수, 동료, 학벌 등 타인과 환경 탓으로 돌린다.
7. 연구실에 들를 때마다 스마트폰을 들여다보고 있다.

---프로페셔널로 성장할 학생들---
1. 기본적으로 일에 흥미를 가지고 책임감을 지니려고 노력한다.
2. 자기 일(주제)이라는 책임감이 있으므로 주제를 더 발전시킬 아이디어를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다.
3. 시간이 아닌 산출물 기반으로 일한다. 일을 끝마치지 못하면 퇴근하지 않고 밤을 새서라도 끝마친다.
4. 기본적으로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하며 경우에 따라 자신의 극한까지 푸쉬하기도 한다.
5. 시간의 중요성과 능력치가 쌓여가는 복리의 강력함을 잘 알고 있으므로 틈만 나면 논문 읽고 자기계발을 위해 애쓴다.
6. 성장이 더디다고 느끼면 스스로 더욱 채찍질하며 마음을 다잡는다. 능력있는 교수와 선후배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받는다.
7. 스마트폰은 집중에 가장 큰 적임을 인지하고 있으므로 스마트폰은 스스로 정해둔 시간에만 확인한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5.01.30

배울게 더 많군요

2025.01.30

많이 공감되는 글이네요. 전에 우리랩에 잠시 왔던 애가 아마추어라고 위에 적힌 그대로 하던데ㅋㅋㅋ 결국 다른 랩으로 도망가서 학위하던데
우리나라는 어릴때부터 공부의 ㄱ자도 모르던 애들도 (즉 개나소나) 박사하는게 문제인듯. 지잡대 나오고 학점도 개판에 영어는 토익 600수준인데 취업안되니 도피성 대학원가고 그런애들이 꾸역꾸역 박사를 받으니 박사학위자가 인정을 못받는다고 생각함.

대댓글 2개

2025.02.02

저는 '지잡대 나오고 학점도 개판에 영어는 토익 600수준인데 취업안되니 도피성 대학원가고 그런애들' 이런 사람인데, 인서울 교수로 일하고 있는데, 대학원하고 학부하고는 다른거 아닌가요 ? 토익은 지금 쳐도 700점대 나올 것 같네요. 학생들 SCI 논문 피드백 해주고 투고하고 억셉시키는덴 전혀 지장이 없는데요.

2025.02.04

그런 사람과 서울대나오고 학점도 괜찮고 토익 900대인 사람이랑 누가 더 교수가 되기 유리할까요?
아웃라이어를 가지고 얘기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2025.01.30

그리고 아마추어와 프로사이에 간극을 인정하지도 이해하지도 못하는 사람들은 정말 가르치는데 답 없습니다

2025.01.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 글을 봐도 전혀 감흥이 없을 것입니다. 졸업을 해야 비로소 명확해지는 내용이 대부분이라서요. 그래도 이 글을 통해 한 번씩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네요. 누군가는 크게 자극받아 더욱 성장할 지도 모르지요.

2025.01.31

좋은 글인데 답답한 사람보고 개빡쳐서 쓴 글 같아요ㅋㅋㅋㅋㅋㅋ

2025.01.31

프로가 되기 위한 준비는 스스로 하는거지 남이 시켜서 되는게 아님

2025.02.01

아마추어인 애들이 이걸 본다고 느끼는게 있을까요?

2025.02.02

교수님이 학생들한테 프로정신을 강요하는 건 웃기지만 학생들도 프로정신을 가져야 한다는 말은 맞는 말임.

대댓글 1개

2025.02.03

돈 받고 일 하는건데 프로 맞죠. 상사로서 강요 어느정도 할 수 있는거고요. 강요라 하기엔 그냥 지켜야할 기본 사항이죠.

2025.02.02

아마추어와 프로를 나누는 기준이 너무 극단적임
학생 시절을 아마추어로 매도할 이유가 없음

2025.02.02

대학원생은 학생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연구자로서의 길을 준비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함
학생이기 때문에 아마추어라는 말은 좀 거슬림

2025.02.02

아마추어와 프로의 차이는 실력보다는 태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 같다.

2025.02.02

근데 프로가 되기 위해서는 지도교수의 역할도 중요하죠
아무리 열심히해도 지도교수가 잘못된 방향으로 가르치면 아마추어로 남게 되요

2025.02.03

공감가네요. 지도교수님의 지도 스타일도 중요한 것 같아요. 지나친 micromanaging이 있으면 애들도 수동적으로 바뀌는 것 같더라구요. 저는 지도교수님이 매우 권한/책임을 함께 위임해주시는 스타일이었는데 포닥했던 랩은 애들이 주눅들다 못해 수동적으로 행동하더군요. 대화해보면 수준이 낮지 않은데, 태도적으로 성장한계가 보인다 싶은 경우가 있었습니다. 포닥 의존 + 석박사 학생들은 micromanaging하시는 스타일 랩이었는데 프로로 성장하기 쉽지 않은 환경 같았어요.

2025.02.04

프로가 되는 길목에 있다면 학생이든 뭐든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 다 해당될 수 있는 내용이네요

2025.02.04

그냥 취업이나 하지 왜 대학원에 왔는지 모르겠네요

2025.02.04

프로페셔널이 되려면, 기본적으로 프로페셔널한 환경에 놓여져야 한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