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이야기 나오면 꼭 @만원 너무 적은거 아니냐, 돈 벌려면 취업을 하지 왜 대학원 왔냐 이 두 의견이 많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보고있자니 너무 답답해서 글 적습니다.
우선 대학원생은 학생입니다. 그렇기에 4대보험 등 직장을 다녔을 때 당연한 것들이 그렇지 않은 부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연구“용역“ 을 제공합니다. 공부하러 와서 왜 용역 이라는 말을 쓰냐 하시면
본인이 하고 싶은 연구를 하는 대학원생은 “없습니다.“ 본인이 원하는 주제와 유사한 연구를 하는 연구실에서 교수가 진행하는 연구를 하는 것이죠.
만약에 교수님이 너가 하고 싶은거 찾아서 해봐 라고 하시는 경우에도 본인이 사용하는 장비, 시약, 소모품, 소프트웨어는 어디에서 오는가 도 생각을 해야 합니다.. 학생이 스스로 감당하기 힘든 가격대가 많죠.
이러한 금잔적인 부분을 충당하는 것이 과제이고 교수님이 아무리 뛰어나셔도 혼자서 a부터 z까지 하시기엔 시간적으로 무리가 많죠. 이 부분에서 노동력이 필요한 교수와 해당 연구가 관심이 있는 학생 사이의 이해관계가 맞는 것이죠.
단지 이것을 공부하러 왔다 라고 하기엔 교수가 일일히 알려주는게 연구가 아니니 단순히 공부로 취급해서는 안됩니다.
그렇다면 얼마의 월급이 작합하다 생각하나면, 최소한 의식주와 등록금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교수님 입장에서 장기적으로 인건비 대비 학생들의 프로그래스 효율의 마지노선이니까요.
제가 70년대를 겪어보지는 못했습니다만, 노동자들에게 매우 적은 돈을 지급하며 유독한 환경, 과도한 업무량에 몰아넣었을 때 노동자들은 소모품이 되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교수님들께서 대학원생을 소모품이라고 여기신다면 저희 학생들은 그 랩에 연구를 하러 왔다는 동기 유지에 어려움을 느끼며 중도포기를 하거나 알바나 과외 등으로 인해 성실히 연구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를 분명 보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말씀드렸던 의식주와 등록금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대신 물론 학생들도 연구에 대해 책임감 있는 태도를 보여야 하고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5.02.0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러니깐 돈 없으면 처음부터 오지 말라고 하는데 왜 오냐구요
대댓글 1개
2025.02.06
나도 돈벌러 온거 아니라는거에 동의하지믄 이렇게 말할거면 초중고 의무교육 대학교 장학금 다 없애고 돈없으면 가면 안되게 해야지ㅋㅋㅋㅋ
2025.02.04
본인이 하고 싶은 연구를 하는 대학원생은 “없습니다.“ -> 틀릴수도 있는 말. 그래서 연구실에서 하는 과제와 본인이 하고 싶은거랑 배열이 되는지를 알아보고 입학해야함. "입학 하기 전에 학부생 따리가 이걸 어떻게 알아요?"라고 반문할 수 있는데, 그걸 충분히 알고 가야함. 대학원 진학자들 중에 "좋은 학교 가면 어떻게든 되겠지"하는 사람들 혹은 뭘 하는지도 모른채 들어오는 학생들이 있음.
대댓글 1개
2025.02.04
말씀하신 경우는 논외로 두고, 포닥을 가거나 출연연에 가다라도 Pi나 연구실 선임분들이 기획한 연구를 수행하는게 대부분 아닐까요? 학위과정생이 교수님 저 이거 하고싶습니다 해서 본인이 연구비 따서 실험 셋업하고 논문낼 수 있으면... 그 교수님은 부러움을 한몸에 맏으시겠죠
2025.02.04
한국 대학의 연구실이 연구과제로 돌아가니까, 학생이 하고 싶은 연구를 못한다라고 하면, 외국처럼 개인 펠로우쉽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음. 근데 이 주장도 아주 맞지 않은게, 원글자가 말한것처럼, 인건비 말고 연구에 들어가는 여러가지 비용 (재료, 공간 등)은 이런 펠로우쉽으로 커버가 안됨. 그래서 아주 근원적인건, 본인의 관심사랑 진짜 매칭되는 연구실을 가야 함.
2025.02.04
학생이니 월급이 얼마든지 상관없다는 분들은 본인 자녀가 대학원에 간다고 하면 월급 얼마인지 먼저 물어볼 것 같음?
2025.02.05
진짜 대학원생 등쳐먹는 문화 싸그리 뜯어고쳐야됨 해도 너무해
2025.02.05
의식주나 등록금을 보장하는 컨셉이 아니고 본인연구 외에 투입한 시간만큼 받는 것이 맞죠. 직장인처럼 많이하면 직장인 수준으로 받는거고 하나도 안하면 내돈내고 대학원 다니는 것이구요. 적정량의 연구용역을 교수와 협의할 수 있으면 괜찮은 연구실 그렇지 못하면 별로인 연구실이 되겠죠. 주20시간 기준이 숙련도에 따라석사 150-200 박사200-250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2025.02.05
돈 부족해서 개인적으로 아르바이트 등으로 돈벌면 그만큼 인건비에서 제하더랍니다 이러나저러나 허리띠 졸라매며 사는건 똑같으니 현타오고 포기했습니다
2025.02.04
대댓글 1개
2025.02.06
2025.02.04
대댓글 1개
2025.02.04
2025.02.04
2025.02.04
2025.02.05
2025.02.05
2025.02.05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