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전자공학부 1학년 마친 학생입니다. 기계제어 분야에 관심이 있어 알아보던 도중 제가 생각하는 로봇제어들의 경우 ROS를 사용하면 편리하다라는 말을 선배님께서 해주셔서 ROS를 독학해보고 싶은데, 설치부터 살짝 머리가 아프더라구요. window 기반 체제라서 WSL을 통하여 우분투를 설치하는 것이 지금은 더 맞을 거 같은데 (사실 가능하다면 듀얼부팅으로 해보고 싶긴 합니다) ROS 설치 및 사용툴에 대해서 알아보니 학부 1학년을 막 마친 제겐 어려운 내용들이 많더라구요. 그래서 찾아보니, ROS를 국비 지원을 통해 배울 수 있던데, 그런 활동들에 참여를 하는 것은 어떨까요? 학교에서 기계제어를 전공하시는 교수님께 해당 분야를 전공하기 위해 ROS 를 독학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지 여쭤보는건 괜찮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5.02.09
ROS는 경진대회나 프로젝트로 직접 해보는게 제일 빨리 배울 수 있어요.
2025.02.10
ㅋㅋㅋㅋㅋㅋ 활성산소로 알아보고들어왔는데…
2025.02.10
ROS2 부터 시작하시는 것을 추천 드리구요! WSL도 요즘에는 GUI까지 지원된다고 해서 될 것 같기는 한데... ROS하실꺼면 리눅스에 익숙해 지는 것도 중요하다 생각해서 최소 듀얼 부팅으로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ROS 궁식 docs 튜토리얼 보면서 먼저 시작해 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국비 지원 프로그램은 해보지 않았어서 잘 모르겠네요... 저는 학부연구생 하면서 연구실 선배님께 배웠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2025.02.09
2025.02.10
2025.02.10
대댓글 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