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차 박사과정중이고 분야는 전자소자/회로쪽입니다. 요즘 상위권 대학 임용되시는 분들보니 실적이 대단하시던데 서울 하위권/수도권 대학들 임용되시는 분들은 또 네이처/사이언스 본지나자매지가 없는 경우도 종종 있더라고요
그럼에도 임용은 갈수록 힘들어질텐데, 제 분야에서는 인정받는 저널이라해도 하이임팩이 아니라 방향을 못잡겠습니다. 결국 서류평가는 쟁쟁하신 분들과 경쟁해야할텐데요 저는 이제야 Q1 2편, Q2 2편 실적인데 졸업시까지 임용을 목표로 한다면 어느정도까지 끌어올려여할까요? 아시는 선에서 많은 조언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5.02.26
이번에 임용 준비하는 선배님 Q1, 11편으로 전부 탈락이에요
대댓글 1개
2025.02.26
혹시 분야와 대표실적이 어느정도신지 말씀주실수있을까요? 11편이면 대단하시네요
2025.02.26
실적도 실적인데 임용분야 fit이 제일 중요함. 실적만 좋으면 뽑히는건 아님
대댓글 1개
2025.02.26
저도 제 분야에선 유명한 저널에 내곤 있지만, 그래도 서류에선 경쟁력이 없다생각이 드는데요 혹시 fit이란게 실적 좋으신 분들중 임용 분야에 살짝 걸치기만해도 그게 더 유리한건지 아니면 실적은 조금 부족해도 계속 본인 분야 저널에먼 내는게 맞을까요
2025.02.26
여러가지 요소가 잇죠. 전세계 명문대에서 학위를 받앗는지, 한국에는 학부가 어딘지, 분야가 공고가 많이나는 분야인지, 여성과학자 혹은 해외시민권자인지 등등에요. 심지어 뷴야마다 실적도 많이 갈립니다. 결국 본인이 본인과 비슷한 경력을 갖는데 임용된 사람들의 실적을 보시면 감이 올겁니다.
대댓글 1개
2025.02.26
감사합니다. 여기저기 더 확인해보겠습니다
2025.02.27
보통 국내박사면 실적 아주 많이 중요하고 해외 특히 미국에서 박사 밟고온 사람들한테는 국박만큼의 실적을 요구하지는 않는듯 대신 후자 쪽에는 국제 네트워킹 같이 국박으로서는 갖기 힘든걸 더 많이 요구하는경우가 있음
2025.02.27
Fit이 생각보다 많이 중요해요. 정량실적은 최근 3년 기준 q1+q2 5-6편 정도여도, 대표실적이라고 할만한 연구들이 학과와 학교가 원하는 fit이 맞는지가 중요하죠. 연구능력이 좋으면 좋을수록 당연히 좋겠지만, 일정 수준 이후로는 편수보다 impact 있는 한편과 그 한편이 대변하는 분야가 fit이 좋은지가 중요한듯 합니다. 괜히 주차장이 아니에요.
2025.02.27
분야마다 다르긴 한데, 저희 분야는 네이처 계열 없으면 힘들어보이긴 해요.
2025.02.27
임용이 목표시라면 실적은 계속해서 쌓아야겠지만, 다른 것도 챙기셔야 해요. 학교에서 원하는 인재상은 실적만으로 판단하지 않거든요
2025.02.26
대댓글 1개
2025.02.26
2025.02.26
대댓글 1개
2025.02.26
2025.02.26
대댓글 1개
2025.02.26
2025.02.27
2025.02.27
2025.02.27
2025.02.27
대댓글 1개
2025.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