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지낸 지인이 석사과정 중에 탑티어 (CVPR, 뉴립스, ICML 중 하나)에 단독 1저자로 억셉되었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1.5티어 공저자로 1개 있다고 하는데, 이 정도면 상위 몇 퍼센트에 해당할까요?
그 지인분은 미국 빅테크 인턴 노린다고 하던데, 실제로 이정도 스펙만으로 빅테크 인턴을 노릴만 한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5.03.0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석사로 한정하면 상위2프로?
대댓글 1개
2025.03.03
그 지인분은 미국 빅테크 인턴 노린다고 하던데, 실제로 이정도 스펙만으로 빅테크 인턴을 노릴만 한가요?
2025.03.03
저널로 비교하면 석사가 10점 정도 저널 쓰는 느낌이랑 비슷한가. 엄청난 실적은 맞지만 의외로 종종 있는 정도 같음.
2025.03.03
교수캐리로 종종 나오긴함
2025.03.03
요즘 CVPR 가진 석사생 학부생만 해도 너무 많아서 별로 메리트는 없음
박사과정 중 빅테크 인턴은 기회가 많기에 본인 연구 주제와 공고 주제가 겹치는 게 1 순위 2순위는 면접 잘 보기
2025.03.03
아예 없는 케이스는 아닌거 같음. 요즘 워낙 탑컨퍼 가진 학생들이 많아서... 단독이라고 공1저자 두명있는거보다 2배더 뛰어나다? 그건 아니라고 생각
대댓글 1개
2025.03.03
그리고 그거가지고 요즘 빅테크 인턴 절대못함. 전세계에서 탑컨퍼 수두룩한 박사과정 학생들이 쏟아지는데 그거 하나로 못함.. 물론 핏이 맞고 실력도 뛰어나면서 연줄도 있으면 됨
2025.03.04
다른분야랑은 확연히 다르다고 생각함. CVPR을 Nature 혹은 아무리 못해도 Nat Comm보다는 위라고 하는 그쪽계열분들이 많던데, 그럼 Nat 자매지 (Nat Nanotech, Nat Chem 등) 급이라고 해보져. 석사과정 중 (즉 석박통합 및 석사과정 다 포함해서 2년안에) Nature 자매지 1저자로 publish한 사람 국내 통틀어도 역대 10명 이내이지 않을까 함. (0명일수도 있는데 혹시모르니 10명이하라 치고) 근데 CVPR 1저자는 석사생 아니라 학부생으로 따져도 한트럭인 것으로 알음. 애초에 풀 article 포맷도 아니고 뽑는갯수도 오지게 많은데 일반적인 저널과는 난이도 비교불가긴 함.
대댓글 4개
2025.03.04
팩트 알려주면 네이처 써도 cvpr 쓴 사람보다 돈 못번다 실용적이지 않고 ai는 시대가 밀어주고 있기때문에 현재 영향력으로 비교하면 동급은 맞다 물론 가치는 네이처가 더 높지
2025.03.04
게재난이도로 얘기한거지 다른 의미로 얘기한적 없습니다. 전에 제일 황당했던 댓글이 현재 ai는 인재가 몰려서 성과가 잘 나오는것이고 CVPR이 Nature급이 맞다는 글이었는데요. 그게 맞다면 ai가 인기 있기 전에 한국에서는 그 정도 급의 인재들이 다른 여러 이공계 분야로 진출했을텐데 CNS급이 쏟아져 나왔던가요? 저만해도 의치한 버리고 이공계가서 박사딴 케이스인데, 인재가 몰려서 그렇다는 주장은 최소한 본인은 인재가 아니기에 할 수 있는 바보같은 주장인거죠. CVPR 당연히 훌륭하고 내기 어렵지만 Nat Comm보다 어렵지는 않아요. 풀 article 준비하는 과정과 리뷰 프로세스를 안다면 그런 말 못하죠.
2025.03.04
솔직히 2년만에 Nature혹은 자매지 진짜 거의 불가능이죠 ㅎㅎ 리뷰과정만 거의 1년 가까이 걸리는데 특정 분야빼고 1년~1.5년만에 엄청 임팩트있는 연구하기도 어렵고 5~6년 박사가해도 전국에서 몇명 안나오는데 석사가 하는건 아마 몇년에 한명 아닐까요? (자매지, 본지 X)
2025.03.04
아 참고로 레딧보면 ML쪽으로 박사 원서자들중 탑티어 낸사람 그래도 꽤 있는데 다른 분야들은 네이쳐 1저자쓰고 박사 원서넣으면 거의 레전드급으로 미국 탑 학교에서도 최상위입니다 ㅎㅎ 미국에서도 이런애들은 몇명이나 있는지 모르겟네요 2저자는 꽤 봣지만
2025.03.04
분야가 달라서 다른 거 같은데 저희는 어렵습니다 단순 능력 외적으로도 여러가지가 받쳐줘야합니다
2025.03.04
부럽네요..
무심한 에르빈 슈뢰딩거*
2025.03.04
제가 빅테크 담당자라면 탑티어 논문 갯수는 전혀 메리트 있게 보지 않을 것 같습니다. AI 탑티어는 실력을 증명하지 못합니다. 단 그 분야에서 이름만 들으면 아는 유명한 논문이고 인용수가 어마어마하게 많다면 큰 메리트가 될 것 같습니다
2025.03.03
대댓글 1개
2025.03.03
2025.03.03
2025.03.03
2025.03.03
2025.03.03
대댓글 1개
2025.03.03
2025.03.04
대댓글 4개
2025.03.04
2025.03.04
2025.03.04
2025.03.04
2025.03.04
2025.03.04
2025.03.04
2025.03.05
2025.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