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s ranking을 들고오는것도 아니고, 인덱스 들고오는것도 아니고, 그냥 ‘아무튼 주관적으로 대학원은 유니가 낫다니까요! 빼액!‘ 하는식으로 우겨댐. 에너지분야 dg는 중앙대선에서 커트고, u도 랭킹으로보나 인덱스로보나 sh 아래인데도 그냥 떼를 써본다.
아무도 믿어주지 않는데 목이 터져라 외쳐대는 짠한 모습은 대입 커뮤니티에서 서성한이를 열심히 외치던 이대훌리들을 생각나게 한다.
2025.03.12
전 서성한에서 SPK 로 넘어왔습니다. U 는 아니구요..
근데 에너지 쪽이다 보니 주변 지인에 U 가 많아서 제 경험을 비춰보면 그렇다는 것이지요.
유니홀을 하던 말던 저랑은 상관이 없습니다.
이상입니다.
2025.03.11
전전에서 AI HW/SW 둘다 보는 랩실인데 분야마다 다르겠지만 DAC같은 학회 나가보면
서울대 카이스트 포스텍 이 제일 많이 보이고 그 다음으로 연대/성대/한양대 비슷하게 보임 ISCA, MICRO 같은 곳은 요즘 성대논문들 꽤 보이고..
반도체 공정 쪽은 ist들이 꽤 잘하는거로 알고있음
2025.03.11
거의 병 수준으로 IST 까내리려는 사람 한명 보이네 ㅋㅋㅋㅋㅋㅋ 안타깝다
대댓글 1개
2025.03.11
ist올려치기 하도 보다보니 질려서 반대급부가 나오는 것 같음
2025.03.11
서성한이랑 지거국이 비슷하거나 약간 서성한이 우세하고, 중경외시는 그 다음으로 보는게 보통임. 근데 식물 생명공학이면 지역거점대가 생각보다 강한 랩들이 있어서 랩 연구실적도 같이 봐야함. 진짜 네임벨류만 따지면 서성한>=지거국>중경외시 정도로 보면 될듯.
2025.03.11
그냥 학교 랩바랩이죠
2025.03.11
성한 새끼들 ist한테 밀릴까봐 거품물고 발악하나보네 ㅋㅋㅋ
대댓글 1개
2025.03.11
미안하지만 D랑 G는 연구실적으로 성한한테 찍소리도 못할정도로 밀리는게 팩트란다..
2025.03.12
랩실은 학교네임벨류가 적용되나요? 물론 대학원 학교빨 들어가겠지만 랩실 지원이라든가 사업비 따지면 네임벨류 크게 필요없지않나? 서울대 랩실인데 과제가 소규모일수도 있고 성균관대인데 큰 센터 운영하시는 교수도 있을것이고. 대학원은 지도교수 성능 빨이 먹힐듯 싶은데. 단 상위랭킹 대에 한해서 지도교수 실적에 따라 랩 순위가 결정될것 같아요.
2025.03.12
그냥 QS나 Times 랭킹에서 해당분야 랭킹 보세요. 그 이상 이하 딱히 의미 없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3.13
QS나 THE는 설문조사 팩터가 너무 커서 큰 신뢰도는 없습니다. 차라리 ARWU나 Nature Index가 지표는 객관적이죠
2025.03.10
대댓글 3개
2025.03.10
2025.03.10
2025.03.11
2025.03.10
대댓글 3개
2025.03.10
2025.03.10
2025.03.10
2025.03.10
대댓글 5개
2025.03.10
2025.03.11
2025.03.11
2025.03.11
2025.03.13
2025.03.10
2025.03.10
2025.03.11
대댓글 5개
2025.03.11
2025.03.11
2025.03.11
2025.03.11
2025.05.02
2025.03.11
대댓글 3개
2025.03.11
2025.03.11
2025.03.12
2025.03.11
2025.03.11
대댓글 1개
2025.03.11
2025.03.11
2025.03.11
2025.03.11
대댓글 1개
2025.03.11
2025.03.12
2025.03.12
대댓글 1개
2025.03.13
2025.03.14
2025.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