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는 인서울 중하위권 공대 졸업이고 학점은 3.7/4.5정도, 어학은 토익 800중반 정도 됩니다. 뒤늦게 3월 중순에 부모님과 얘기해서 반도체분야(학부전공은 신소재) 석사진학을 결정했는데 이후 ist쪽 원하는 랩실에 10군데이상 메일을 보냈는데 대부분 석박통합을 얘기하시거나 이미 to가 찬 상황이라 긍정적인 답변을 받지못했고, 한 연구실은 신생이라 석사를 받을 수 있을지 과제상황을 봐야할 거같다고 말씀주셔서 역시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런상황에서 원서는 일단 넣었고, 만약 서류합이 된다면 면접을 가서 합격할 가능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 H대 어느 랩실에서 대면 면담까지 해서 긍정적인 답변(임금 얘기까지 어느정도 한 상황)을 받고 넣으면 될거 같다고 답을 받았는데 원서 넣기 직전에 갑자기 석사to가 줄어 받지 못할 것 같다고 급하게 이메일을 받은 상황입니다. 지금 상황에서 ist면접이라도 가야할지 혹은 자대 연구실에 컨택을 해야할지 정말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대학원에 대해 잘 아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지 않을까 해서 글 한번 써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5.04.24
ist가기엔 학점이 부족해보입니다. 그리고 컨택이 안되면 합격 가능성은 아주 낮습니다. 인서울 상위 사립들 쭉 다시 컨택 해보시거나 자대라도 넣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4.24
현실적인 조언 감사합니다
2025.04.24
ist 면접 일단은 가시구요 그리고 동시에 자대 컨택도 진행하세요. 요즘 반도체 석사 타대같은 경우에는 이미 자대생으로 가득차기 때문에 석사를 아예 안 받는 곳이 대부분일 겁니다.
2025.04.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근데 궁금한게 있는데, 인서울 학교 잘 다니시는 분이 왜 굳이 그 먼 ist를 가시는 이유가 있나요? 좋은 대학원들도 많잖아요.
대댓글 7개
2025.04.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반도체 관련이면 연대나 고대 연구실도 좋은곳 많습니다. 굳이 ist를... 흠...대우도 사실 거의 다 비슷한데, 굳이 거기까지 갈 이유가 있을까요?? 왜냐면 글을 보면 그냥 ist만 보고 있는거 같아서 드린 말씀입니다..
2025.04.24
요즘 인서울 중하위권 3점대로는 연고서성한 반도체쪽은 석사는 아예 불가능합니다.
2025.04.24
지역을 보고 연구 할 곳을 고르나요..? ist랑 사립이랑 연구환경은 천차만별입니다
2025.04.24
아 학부는 검색해보니까 중하위권은 아니고 중위권이라고 하긴하네요. 그래도 큰 차이는 없을거라 생각하긴 합니다. 한양대 컨택되었다가 갑작스럽게 못받을거같다고 하셔서 많이 심란해진 상황이긴 합니다...
2025.04.24
명성 입결 뭐 이런걸 다 떠나서 연구환경이 넘사임. 수십년된 대학보다가 ist 가면 장비, 내부시설 등이 신세계임. 그리고 진짜 주위 환경도 뭐 암것도 없어서 연구만 하기 좋은환경?임 ㅋㅋ
2025.04.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뭐 사람마다 생각은 다르겠죠. ㅋㅋㅋ 근데 지역 얘기는 전 안했는데, 그냥 굳이 거길? 이란 생각이 더 강한거죠. ist만 글에 잔뜩 있어서 그냥 거기만 굳이 보시는 이유가 있나 싶은거죠 뭐
연구 환경이 넘사라.. 뭐 그런거 같으면 그런거겠죠. 아직까진 잘 모르겠네요.. 넘사까진 아닌거 같아요... 연구 환경의 정의라는게 굳이 장비로 결정되는건 아니거든요.. 그리고, 장비는 상대적인거라서 제가 어디 학교를 가든 다른 학교 장비 돈만 주면 다쓸수 있기도 해서 장비로 연구 환경을 정의하기는 좀 애매하다고 봅니다... 그냥 ist가 지원을 막 해주고 사람들한테 인식이 좋아지고 있고 그런거 같긴 한데, 연구 환경이 인서울과 비슷하다면, 굳이 멀리 갈 필요가 있긴 한가 생각이 들긴하죠.
요즘도 보면 연대나 고대는 반도체 쪽 대학원에 사람들이 아직 많이 없는 추세라서 컨택을 해볼만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서울대 카이스트나 포공 이런데는 영어가 기본 조건인데, 뭐 지원해서 안되면 그 밑에 가야겠죠. 컨택만 잘 되면 합격이거든요. 위의 글 보니까 학점이 3점대면 한양대도 힘들단 글이 있는데, 그건 약간의 운도 따르는거 같아요. 제가 본 그 많은 교수님들 입장에서는 학점을 보는 건 단순히 성실함 정도 보는 순에서 그치긴 하더라구요.
글고 연대 고대도 지방대에서 3.7대로 아직도 많이 지원하고, 컨택해서 들어오는 친구들 많아요. 연구하는 데에는 성실함이랑 이상한 놈만 아니면 다 부딪혀서 배우는거죠 뭐 보면 대학원이 요즘 상대적으로 지원자가 적은거 같아요.
2025.04.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작성자님 많이 부딛혀 보세요.
본인이 가고 싶은 곳은 어디든 있을 겁니다!
굳이 한곳만 보지 말란 말을하고 싶었던 거임!
2025.04.24
근데 인서울 중하위권은 어느 대학교 라인인가요? 상위권 중상위권 중위권 중하위권 너무 모호해서 어느정도 급인지 직감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네요.
저는 ist 대학교에 박사과정 하고있는 학생입니다. 저는 학부 성적이 엄청 안좋았는데도 영어나 연구경력, 컨택 당시 어필으로 합격했어요.
아무래도 연구 중점 기관이다보니 석튀 하려는 사람을 잘 안받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네요.
2025.04.24
대댓글 1개
2025.04.24
2025.04.24
2025.04.24
대댓글 7개
2025.04.24
2025.04.24
2025.04.24
2025.04.24
2025.04.24
2025.04.24
2025.04.24
2025.04.24
대댓글 2개
2025.04.24
2025.04.24
2025.04.25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