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공부를 하지 않는 교수

2025.06.01

18

11947

Pi는 더 이상 공부를 하지 않나요?
궁금한게 자신이 박사때하던 연구와 현재 과제 관련연구가 다른게 정상인데 공부도 안하고 과제에 대한 이해도가 이렇게 없을 수 있죠?
저도 모르는 분야니까 그 분야 논문 리뷰를 하기까지 했는데 참...
자신이 제가 했던 내용을 자기 가족에게 너랑 다르게 잘 설명했다고 자랑질까지 했으면서.....
참....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5.06.01

PI가 직접 공부를 하게되면 사실상 학생은 공부를 놔버리게 되더리구요.

대댓글 1개

2025.06.01

그래서 공부를 안 하는 거군요.
그래도 이해가 안 됐으면, 모르는 부분을 다시 설명해 달라거나 보충 자료를 더 가져오라고 하는 등의 행동 없이 그냥 있으니…

2025.06.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교수가 공부를 안 하는건 기본적으로 문제가 맞습니다. 그러나 교수가 생각보다 너무 바쁩니다. 당장에 반드시 해야할 일이 넘쳐나니 공부가 제일 뒷전입니다. 공부 안 한다고 당장 큰일 나진 않으니까요. 여기서 공부란 학생들을 디테일하게 지도할만큼의 논문 공부를 뜻하는겁니다. 교수가 학생 연구주제 디테일을 다 알 수도 알 필요도 없다든가 학생들이 공부해서 교수 가르쳐야한다는 얘기가 여기서 나오는거죠. 사실 교수가 다 아는건 애초에 불가능하고 학생이 더 잘 알아아한다는게 맞는 말이긴 하죠. 특히나 세상에 아무도 해본적 없는 연구를 하는 박사과정 레벨에서는요.

실험랩의 경우 학생들이 너무 못 따라와준다면 교수는 공부할 의욕이 사라지기도 합니다. 혼자 100을 공부해봐야 어차피 학생들은 10도 못 따라오니까 연구실적은 10에 머물게 되고 교수의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감만 커지게 됩니다. 그 괴리를 줄이는 수단으로 공부를 안 하게 되는겁니다.

또는 윗 댓글처럼 교수가 너무 잘 알면 학생들은 "교수님이 다 알려주시고 해결해주시겠지"하는 생각에 공부를 안 해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석사급에서 자주 나타나는 유형입니다. 석사는 어떻게 해도 웬만하면 2년에 졸업을 하니까 교수만 속태우게 되죠.

딱히 바쁘지도 않으면서 게으른 교수도 있습니다. 다 학생한테 떠넘기고 알아서들 해와라하는 경우이죠. 미팅을 위한 시간도 거의 내지 않고요. 이런 교수는 그냥 거르는게 답입니다.

대댓글 2개

2025.06.01

감사합니다.
제가 아직 대학원생이다 보니 Pi 관점에서 저런 행동을 하는 이유를 잘 이해하기 어려웠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교수님이 게으른 것도 한몫하는 것 같다는 생각은 벗어나지 못하네요.
기쁜 요하네스 케플러*

2025.06.01

게으른교수님도있고
부지런한교수님도 있죠.
근데 랩이 어느정도굴러가고있다면 게으른교수님은 아닐확률이 높습니다. 랩만빼도 일이 엄청 많아서..

2025.06.0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5.06.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기요
교수 얘기도 들어보고 판단하지 그래?
그리고, 머? 교수가 공부를 안해?
너 교수 되봤어? 숨 쉴틈이 있을거 같냐?
쪽잠 자는 사람들도 많아.
그리고, 니 나이는 몰라도 교수는 아무리 어려도 30대 후반 이후인데, 그 스케줄 소화하면서 니 공부해봤니?

교수방에 쳐박혀있으면 행정 업무하기도 바빠!
그렇게 함부로 감정적인 무논리 펼치지마라...

대댓글 4개

2025.06.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교수가 그렇게 바쁘니까 님 뽑은겁니다.
윗글보니 말은 바르게 하시네... 미안.
근데 님의 관점은 확실히 전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저도 대단하진 않지만, 뭐가 되었든 본인의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고 보입니다.
좀 줄여보시는게 좋을거 같네요

2025.06.02

이런식으로 글 적는거 수준 떨어져보임 ㅋㅋㅋㅋ

2025.06.02

되돼도 모르는게 뭔 교수를한다고...

2025.06.02

2025.06.02

교수가 공부를 안하는건 문제가 맞는데 세부적인거까지 알길 기대할 필요는 없을듯. 내 기준은 교수가 insight가 있는지 정도면 충분함.

2025.06.02

본인은 공부가 재밌으세요?
안해도되는 상황이 와도 끊임없이 공부하실건가요

대댓글 2개

2025.06.03

재미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과제 및 연구를 하다 보면 궁금한 점이 생기고, 그럴 때 논문을 찾아 공부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는데도 가만히 있으면 그것이 눈에 밟히는 느낌입니다. 물론 모든 것을 찾아 공부하지는 못합니다. 연구에 직접적인 것과 관심도가 높은 것을 우선순위로 공부합니다.

2025.06.03

아... 그래서 미래를 확신할 수는 없지만 공부는 할 것 같습니다.

2025.06.03

PI가 공부를 안하면 노답입니다. 첫 제자로 연구실에 들어가서 교수의 모든 잡일(행정일, 본인 승진 및 추천 서류 작성, 개인적인 강의, 카페 심부름 및 학과/학교 일 까지 개인비서처럼)과 연구 과제 제안서, 보고서 다 작성해줬는데요.
물론 이런 것들을 수행하는 와중에 제가 연구자로서 성장할 수 있었죠.
지금 어떤 줄 아십니까? 제가 미국 포닥 나와있는데 제안서 써달라고 연락옵니다. 제가 아직 정규직 못 잡아서 추천서가 필요한데.... 써주죠..
연구실 후배들은 연구 관련 질문을 교수에게 묻지않고 저에게 묻고 본인 진로 선택이 잘못됐다고 저에게 상담요청이 많이 옵니다...
요즘 교수들 연구과제 없다고 죽는 소리하는데, 실력없고 공부 안하는 교수들은 도태되야합니다. 미국처럼 테뉴어 받기 전까지 진짜 자격이 있는지 끊임없이 시험해야합니다. 중국한테 이미 연구/산업적으로 뒤쳐지는 한국의 상황을 고려해보면, 이런 교수들한테는 세금 지원해주면 안됩니다.
교수야, 정신 좀 차려라!

대댓글 1개

2025.06.03

PI가 연구적으로 공부를 안하시기 때문에 짧게는 2년 길게는 4년이상 연구적으로 크게 배우는게 없고, 그렇게 시간만 보내다가 졸업하더라도 나와보니 경쟁력이 떨어집니다.. 다 해주던 선배들이 나가고, 교수님은 점점 더 빌런이 되어갑니다..

2025.06.03

대한민국에서 교수라는 직책은 학교에서 공부하는것보다 대외활동이 많은 직업... 탑티어의 연구 역량을 가지신분들은 밖에서 사람들만나고, 미팅가고, 기업 강의가고 하는게 많고, 그렇다고 학교에 있으면 논문 봐주고, 보고서 쓰고, 미팅하고 하다보면 시간이 부족하죠. 그래서 님을 뽑은거기도 하고... 대부분의 교수님들은 직접 공부하기보다 본인 지식을 기반으로 학생들이 공부한자료를 본인 줏대대로 해석해서 공부하시는 분들이 많은거 같긴함. 교수님이 학생이 세미나한걸 못 알아들었다면 저 사람을 이해시켜버리겠다 라는 마인드로 덤벼보는건 어떨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