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누나들 오빠들 랩실 선택 질문 점요

Samuel Johnson*

누적 신고가 10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0.08.18

10

7685

나노입자와 빛의 작용, 나노 크기의 fabrication에 관심있어요

구체적으로 하고싶은 것은 나노입자의 optoelectronic property, 나노 스케일 3D 구조 제어를 방위산업에 이용하는 것인데요


나노입자의 optoelectronic 성질을 연구하는 실험실은 많이 없어요

그래서 나노입자의 광학 특성과 전기적 특성을 이용해, 태양광전지나 에너지 저장

이런 거 연구하는 실험실을 가도 되나요???

리서치 토픽에 구체적으로 태양광전지나 에너지 저장 연구한다고 나와있으니 저랑은 안 맞는 곳인가 싶어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Alexander R. Todd*

2020.08.18

플라즈모닉 하는 교수님 많다 잘 찾아봐라.. 사실 그 중에 광학을 제대로 하는 사람은 몇 안되지만..
Samuel Johnson*

2020.08.18

ㄴ 그러면 굳이 태양광이나 에너지 저장하는 곳 안 가도 되나요?
Alexander R. Todd*

2020.08.18

ㄴ 오히려 태양광이나 에너지저장은 electrochemistry에 가깝지 않나.. 나노입자/광학이 쓰일 수는 있겠지만, 좀 안맞는듯?
Samuel Johnson*

2020.08.18

ㄴ 아하! 감사합니당!

2020.08.18

태양전지쪽 랩실인데 퀀텀닷이나 페로브스카이 이용한 태양전지 나노입자의 optoelectronic property, 나노 스케일 3D 구조 제어 전부 다 함

2020.08.19

optoelectronics는 요즘은 이차원물질로 많이하지 나노입자로는 잘 안하는듯?

즉 작성자는 나노입자가 하고 싶은건지, 아니면 optoelectronics를 하고 싶은건지 잘 생각해봐야함.

초기엔 퀀텀닷으로 많이 했지만 그쪽으론 연구주제가 많이 떨어져서 1. 새로운 소재의 퀀텀닷 합성 개발 2. 촉매같은 새로운 응용에 대한 연구 - 이정도 주제로 연구를 하는것 같고.

최근 학계 최전선에서는 1. 몇가지 측면에서 잠재력이 많은 페로브스카이트나 2. Valleytronics 쪽으로 연계가 가능한 TMD 같은 재료로 연구하는 경우가 많음.
(연구 방법도 top-down approach를 쓰는 경우가 많음)

이쪽은 SKK 에너지과학과에 한분 계신것으로 알고있고, 신임 교수 중에선 고대 물리과에 한분 임용된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앎. 그 외에도 찾아보면 있지만 어디가 연구를 잘하고 신선한 토픽을 다루는지는 알아서 판단할것.

------
한편 나노입자는 optoelectronics 쪽보다는 optical (또는 photonic) behavior 자체나 그걸 화학적 현상과 연계하는 방향으로 연구하는 경우가 많음.

따라서 1. 특이한 구조나 특성을 갖는 나노입자를 합성하거나 2. 나노입자-물질간 상호(촉매작용 같은)작용을 fundamental 수준으로 연구하거나 3. 나노입자를 센서로 쓰는 식의 연구들이 많이 보임.

이쪽은 bottom-up 접근을 하는 경우가 많고 123 모두 서울대에 하는 분들이 최소 한분씩 있는걸로 앎. 재료공학부랑 화학부 찾아보면 됌.
------

fundamental을 연구하고 싶은건지 application을 해보고 싶은건지도 잘 생각해야함.
전자는 "학문적으로는 훌륭한 발견이라지만 이걸 어디 쓰지?"라는 의문을 많이 갖게 되고 후자는 "겉으로 보기엔 fancy한데 내부자들 입장에선 진부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게 된다.
Samuel Johnson*

2020.08.19

ㄴ application을 하고파요... 사실 학부생이라 skk가 서울 카이스트 고대인가욥? 이해하기 어려운데 천천히 읽어볼게요ㅜ 감사합니다
Samuel Johnson*

2020.08.19

ㄴ 아니 자동완성 땜에 글이 이상하게 쳐졌네요. 저는 application을 더 하고싶기는 한데, fundamental과 application 둘 다는 힘든가요?
그리고 nanoparticle의 optoelectronic이 아니라 nanomaterial의 optical property 연구가 맞는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ㅎㅎ
skk가 설카고 맞나요?
그리구 물리과도 찾아봐야겠어요 저는 화학만 찾아봤고든요 감사합니다!

2020.08.19

둘다 제대로 하는 랩이 몇없음.
취업할거면 어플쪽 ㅊㅊ
포닥 후 학계진출 생각 있음 기초쪽 ㅊㅊ
박사때 어플 이후 포닥을 기초 연구하는 거보다 반대가 당연히 더 쉬움.
대신 기초는 머가리가 좋아야하고 실적에서 양 확보하기 매우 빡셈

성대.
물리과는 화학적인거랑 거리가 멀고 더욱 기초적이고 frontier스러운거 함. 밸리포토닉스 같은. 아니면 이론계산.
Samuel Johnson*

2020.08.19

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도움 많이 되었어용^^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