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대학원 진학 전 여러분의 마음가짐은 어땠나요??

2025.07.30

1

806

저는 인공지능을 공부하는 학부생이며 아직 연구실 경험은 없습니다.
연구와 그나마 관련된 공부는 아마 논문 조금씩 읽어보고 리뷰한 게 다겠네요.

제 주변 사람들은 취업난에 너도 나도 석사과정을 밟거나 연구실에 들어가기 시작했습니다.
제가 흥미를 느끼는 분야의 채용 시장은 모두 석사 이상을 원합니다.
저도 반강제로 가야하는 상황이긴 하죠.

하지만 저는 연구에는 딱히 열의가 있지 않습니다.
물론 현재 공부중인 분야가 재미있긴 하지만 딱 그 정도의 느낌 뿐입니다.
논문 읽고 리뷰하면서 구현해보기? 재미있습니다.
근데 그런 주제를 생각해내고 논문을 작성하는 연구 과정은 자신 없습니다.

취업을 목적으로 대학원에 가자니 묘한 감정이 듭니다.
대부분의 김박사넷 게시글과 댓글을 보면 "연구에 흥미가 없는 사람은 대학원에 가서는 안된다."라고 말합니다.
저 또한 그렇게 생각합니다.
2년간 치열하게 주체적인 학습을 해내는 사람만이 석사 학위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주변인들에게 물어봤습니다. 내 생각은 이러한데 과연 내가 석사과정을 무사히 마칠 수 있을까라고
본인들도 연구에는 딱히 흥미는 없다고 말합니다.
정말 열의가 있는 친구는 손에 꼽습니다.
다들 말하길 연구실에 들어와도 네 생각은 중요하지 않고 교수나 박사가 주는 거 열심히 공부하고 연구하면 된답니다.
그거 하다보면 논문 나오고 석사 졸업한답니다.

제 생각에는 전형적인 물석사 루트 같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야하는 현실이 힘듭니다.

여려분들은 어떤 마음으로 대학원에 진학했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저같은 분들이 계실까요?
어쨌든 가야하는 대학원 마음을 다잡고자 질문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개

2025.07.31

박사가 아니라 석사정도는 취직목적으로 해도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취직하려고하는 포지션이 석사학위룰 요구한다면요
하지만 무언가 성과를 내고 얻어가야 2년이라는 시간이 아깝지않다는 기회비용도 고려해야합니다
아직 컨택 안하신거같은데 학부연구생같은거 해보시면서 조금 경험해보구 결정해보세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