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서울대 경제대학원 진학 질물

2025.08.02

0

454

안녕하세요?
현재 모 대학교 기술경영학과에 2학년으로 재학중인 학부생입니다. 최근 진로를 고민하며 대학원진학에 뜻을 두게 되었는데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다년간 고민 끝에 과학기술정책연구분야로 진로를 정하여, 대학원을 탐색해본 결과 다양한 선택지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1. 서울대 과학사 협동과정

2. 서울대 기술경영경제정책 협동과정(temep)

3.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학과

이정도로 요약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마 가게된다면 stepi나 kistep등 국책연구소를 많이 보내는 temep으로 가게될 것 같습니다.
다만 제가 정말 궁금한 것은 원천학문전공과 협동과정이수의 차이입니다.
알아보니 temep은 필기고사를 치르지 않고 오직 면접으로만 선발하더라구요? 네이버 블로그 등 후기를 찾아봐도 숙명여대 등(숙대를 무시하는것은 아니지만) 상당히 교수님 재량하에 다양한 분들을 뽑는 것 같았습니다. 아무래도 협동과정 자체가 간학문적이고, 학부에는 없는 전공이다보니 무시받거나 붕뜨는 경향이 있다고 들었는데 temep이 그 케이스가 아닌가 싶어 걱정스럽습니다. Stepi나 kistep 취업만을 목표로 한다면 좋을 수 있겠지만 저는 박사 나중에 박사학위 후 교수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 temep을 지원을 해야할지 아니면 서울대 경제대학원에 지원해 필답고사를 치는 것이 나을지 고민이 됩니다. 카이스트에 지원하는 것도 선택지가 될 수 있겠지만요.

협동과정에 대한 인식이 어떤지 여쭙고 싶습니다. 혹시 과학기술정책분야에 연이 있으시다면 일반 경제대학원을 진학하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협동과정에 진학하는 것이 나을지 여쭙고싶습니다. 선배님들의 고견을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0개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