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환경공학 전망 및 진로 문의

2025.08.10

1

324

안녕하세요 석사 졸업 후 취업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취준생입니다. 최근 환경공학에 관심이 생겨 관련분야에 종사하시거나 잘 알고 계신분의 의견을 듣고 싶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저는 학사석사 모두 화학공학을 전공하였고, 석사때는 배터리 소재 관련 공부를 했습니다. 석사 졸업 후 환경공학에 관심이 생겼는데 관련 분야로 취업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현재 제가 환경공학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기때문에 대기, 수질 등 환경기사 취득을 고려중입니다. 화학공학이 관련학과라 지원은 가능한 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환경관련 자격증을 취득하고 공부를 하더라도 학사 전공은 화학공학, 석사 전공은 배터리 분야라 환경분야 연구직에 취업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요약하자면,
학사: 화학공학전공, 석사: 환경이랑 무관한 연구주제
위와 같은 상황에서 환경관련 기사를 취득하고 공부한다면 환경분야 연구직에 취업이 가능한지, 경쟁력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개

2025.08.12

환경 공학의 장점이자 단점이, 환경 관련 연구원(석사급까지)은 화학공학, 환경공학, 화학과, 생명공학, 생물학, 독성학, 지구과학, 해양학 등등 까지 넓게 커버가 된다는 점입니다.
물론 채용에 있어서 딱 명시하는 주제가 있으면 모르겠으나 국가 연구사 등에서는 모두 지원 가능합니다. 시험만 잘치면 되구요.

그리고 수질, 대기환경기사 등을 따신다고 했는데 환경기사는 학부 수준 레벨이며, 지방대 환경공학과 애들도 졸업할 때 쌍기사는 들고 나옵니다.
그래서 아마 열심히 하셔서 따도, 큰 +가 되진 못할 겁니다.
차라리 연구사 같은 국가 연구원으로 시험쳐서 되시거나, 석사를 다시 하시거나, 박사과정으로 박사를 따시면 환경 관련 연구를 하실 수 있을 것 같네요.
박사과정은 화학공학과 출신이면 잘 받아줍니다(물론 학점, 학벌 고려하구요. 근데 분야에 따라 석박통합으로 넣어라는 분도 있을겁니다. 석사가 완전 다른 주제라). 또는 좀 중소/중견 환경기업에 취업하셔서 경력을 쌓아서 점프하는 방법도 있을꺼구요..
대기업에서도 환경 분야는 조금씩은 있습니다. 베터리 분야에서도 환경 분석 파트가 뽑히구요. contamination 관련 미량 분석 쪽은 환경분야에서도 갑니다 분석 기기가 화학분석이랑 일맥상통해서. 또는 폐기 처리 분야도 뽑구요.
의외로 삼전도 꽤 갑니다 환경공학 박사가요. 반도체 사업장에서 수처리·폐수처리 엔지니어 쪽으로도 뽑히거든요.
아니면 화학 대기업도 관리장 위험물질 환경 관리, 안전 관리 쪽으로도 많이 가구요.
의외로 환경이라는 카테고리가 넓습니다. 다만 기후, 대기, 수질, 토양 등의 순수 지구과학 쪽 환경으로 가실 꺼면 박사는 필수이실겁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