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하면서 GPT한테 거의 90퍼센트 넘게 의존하고 있는데... 저뿐만 아니라 저희 연구실원들 전부 다 그렇습니다. 개발이든 논문이든... 요즘 문득..졸업 후에 ai의 발전으로 인해 박사가 필요 없어지면 어쩌지? 라는 생각이 들어요. 어차피 지금 대학원생들도 gpt한테 의존하는데 그냥 gpt 사용하면 되지 굳이 박사가 필요할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주변 사람들에게 이런 이야기를 하면, 학사들이나 필요 없지 박사급은 필요하다면서 저를 유난으로 생각합니다. 근데 저는 박사를 따는 순간 임금이 높아지니 박사학위가 장점만 있는 것 같진 않거든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8.10
미래는 어떤 식으로 바뀌게 될지 모르겠지만, 생성형 인공지능이 알아서 연구하거나 하진 않는 이상 이 tool을 이용해서 무언가를 발전시키는 역할은 필요하다고 사료됩니다.
2025.08.11
AI도 결국 툴이기 때문에 이걸 잘쓰는 사람은 롱런할 수 있습니다. 뭐든 완전 대체는 힘들어요.
2025.08.12
좀 느낌은 다르긴 하지만 예전에 구글번역기 나왔다고 번역가들 다 망할줄 알았는데 아직 안망한거랑 비슷. 대신 직업의 파이는 변동이 많이 생길꺼임. 근데 과학자가 없어지려면 한참 뒤 일. 편한 tool이 생길 뿐이고, 자연과학은 AI가 필수 보조로는 되겠지만 AI만으로, 또는 주도적으로 발전되기에는 적어도 우리 세대는 아닐듯..
2025.08.12
개인적으로 AI가 과거의 산업혁명과도 같은 큰 전환점을 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없어지는 직업도 으레 생기기 마련이겠죠. 하지만 적어도 이 커뮤니티에 계신 사람들인 지식을 탐구하는, 탐구를 통한 생산을 하는 사람들은 일을 더하면 더했지 없어지진 않을 것 같습니다. 다른 분들이 말씀해주신 것 처럼 AI를 도구로 사용한다는 의견과 같은 맥락이죠. 극단적으로 기존에 일하던 스타일을 완전히 버리게 될 순 있어도 해야하는 일은 더 많아질겁니다. 지금 과도기에 예상치 못한 여유로움을 즐기십쇼. 마지막 여유 일지 모릅니다...
2025.08.12
우리 석박사들은 지피티에 의존해서라도 뭔가를 하죠. 일반인들은 그것 조차 어려움 기술이 너무 고도화돼서. 기술이 고도화돼서 이런 툴 없이 개발이 힘듬 이제는
2025.08.13
요즘 추세는 진짜 잘하는 사람들은 살아남고 어중간하면 AI로 대체되는 것 같습니다
2025.08.13
AGI가 등장하는게 아닌 이상 AI도 한계는 있죠. 같은 AI를 쓰더라도 사전 지식에 따라 AI의 대답도 달라집니다. 단순한 박사급이 도태되는 게 두려우면 AI도 잘 쓰는 박사급이 되시면 됩니다.
2025.08.10
2025.08.11
2025.08.12
2025.08.12
2025.08.12
2025.08.13
2025.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