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학부는 물론 대학교 박사 학위 대학보다 높은 대학에 임용되는건 불가능이라고 알려졌는데
이제는 그 간격이 무너지고 있는듯
여기 spk 무새 많은데 실적 없으면 spk여도 최소한 학계에서는 그냥 들러리다. 무조건 실적이 답이다.
앞으로는 더 심해질거라 예상함.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8.26
이미 많이 무너졌죠. 학교나 학과들 끼리도 전쟁입니다. BK따고 집단과제 따오고 해야 하는데 학벌만 좋고 실적 없는 교수 옆에 있어봐야 도움이 안되거든요. 국내박사도 서성한 급 이상이면 이제 이슈가 되지도 않습니다. 다만, 실적이 비슷할 땐 아직도 미박이나 학벌 따지고요. 실적이 눈에 띄게 차이나면 실적 우선인 것이 당연한 것이 되었습니다. 적어도 이공계는요.
그래서 박사까지 갈꺼면 랩 실적을 많이 봐야 하는 겁니다.
2025.08.26
그렇게 하나하나 세며 정신승리하지만 실적 잘내는 사람들은 결국 SKP 출신들이 압도적임. 못내는 애들도 많지만 그렇다고 나머지 잡대들이 잘하는건 전혀 아님
대댓글 1개
2025.08.26
? 실적을 내면 출신 상관없이 상위대 임용도 문제 없다고 말하는건데, 실적 잘내는 사람은 결국 SKP 출신들이 압도적이라 말하는건 도대체 무슨 논리이신지? ㅋㅋㅋㅋ 내가 SKP 출신들이 실적 잘내는 사람 많은걸 부정한것도 아닌데? 정신승리라고 말하기 전에 본인 논리부터 파악하시길.
2025.08.26
그런 분들이 더 많아져야함. 그러나 S대 임용은 학부나 대학원이라도 S대를 나오는게 무조건 유리함. 거의 80%가 해당 부류에 속함.
2025.08.26
그렇게 된지 좀 됬음. 불과 10-20년이야 애초에 박사받고 교수 임용 도전하는 사람 자체가 SKY 학부 이상에 SKP 대학원들 위주였으니 그런거고, 요즘은 학부가 낮아도 교수를 노리고 끝까지 연구 하는 사람들이 많아짐. 그러다보니 학부가 낮아도 연구 잘하네? 논문 잘쓰네? 가 이제 증명이 되고 있는거지. 대학과 기존 교수들이 이제는 그걸 알기에 논문 실적 > 연구경험 > 학부학벌 > 박사학벌 순으로 우선순위를 보는거고.
2025.08.26
2025.08.26
대댓글 1개
2025.08.26
2025.08.26
2025.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