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회 티어 vs 인용 수

2025.09.16

5

544

해외에서 논문실적 볼때
1티어 1저자 4편 (인용수 총 10 미만)
Vs
2 내지 1.5티어 1저자 2편 2저자 8편 (인용수 300 내외 )

어떤게 더 높은 실적으로 보이나요? 참고로 분야는 ai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9.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무조건 1티어

2025.09.16

인용수는 시간이 지나면 올라가게 되있어서 저런 비교는 당연 1티어 논문 주저자 4개가 강력한 실적이죠.
대신 만약 인용수 300중 대부분이 1저자 2편에 몰려있다면(적은지 얼마 안된) 아마 꽤 괜찮은 논문일 확률이 큰데(또는 대가랑 작성했거나), 그러면 좀 눈여겨 보는 해외 교수들도 있을 순 있어요. 해외 포닥이나 박사진학이면 교수에 따라 갈릴 순 있겠네요. 근데 공저자 8편에서 적절히 배분된 300이면... 걍 전자 압승이구요.
또한, 국내 임용시장에서도 무조건 전자입니다.

2025.09.16

너무 벨붕임
1번이 탑티어인데 편수도많자나.
애초에 인용수는 임용시 주저자논문민 고려사항임. 리뷰논문도 잘 카운팅안해줌.

만약 주저자기준 탑티어 2편 낮은인용수 vs 1.5-2티어 4-5편 인용수 총 300이면 후자도 꽤 경쟁력있음

2025.09.17

본인이 주저자(1저자 혹은 교신)로 쓴 논문이 아닌이상 citation은 큰 의미를 주지는 못합니다.
한예로 로저스랩에서는 10-20명끼리 저자돌림하는거 누구나 다 아는데, 그렇게 공저자 실적쌓아서 인용수 천 만들어온들 누가 인정해줄까요.
본인 만족일뿐이죠. 물론 본인이 임용후 학계에 오래 있으면서 어느정도 본인 주저자 실적도 많이채워지면, 인용수가 만이다 뭐다 하는것들이 도움은 되겠죠.
하지만 임용시점에서 공저자논문으로 인용수채운거는 아무도 신경안씁니다. 한국도 그러하고 미국도 동일합니다.
본인주저자면서도 인기있는 (예를 들면 award를 받든, 학계에서 유명해진 논문이든) 논문을 쓰면 눈에보이지않는 추가메리트는 분명 존재합니다.

2025.09.18

무조건 전자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