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 대학원 석사, S vs. ky 고민

2025.09.21

3

1735

저는 직장인이고, 회사 지원으로 풀타임 석사과정을 준비 중입니다
컨택 과정이 순탄치는 않았지만 그래도 다행히 S대 한 곳, ky대 중에 한 곳 컨택이 됐습니다.

부끄럽지만 회사생활에 지치기도 했고, 지금 갖고있는 역량으로 언제까지 살아남을 수 있을까하는 걱정에 지원을 했다가 선발된터라 여러분 같이 뚜렷한 연구주제 없이 대학원 입학을 준비하고 있어요.

그래서 S대는 HCI를 연구하는 연구실이고, ky대 중 컨택된 곳은 비전AI를 연구하는 곳이어서 연구분야가 다릅니다.

학교 네임밸류나 출퇴근 용이성 등을 생각하면 S대가 더 좋은데,
연구분야를 생각하면 ky대 연구실이 더 끌립니다.
논문 실적도 보면 ky대 연구실이 압도적으로 더 좋구요.

보통의 학생들처럼 학문에 대한 열정과 연구 열망을 갖고 입학하는 것이 아니라, 딱 석사까지만 2년 내 무사히 졸업 후 회사로 복귀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인 상황이라 비슷한 고민을 다룬 게시글들을 참고해도 판단이 조금 어렵네요.

여러분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5.09.21

대학원은 학교 이름이 아니라 분야랑 실적보고 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2025.09.22

일반적으로 대학원은 학교간판이 최우선이 아니긴 한데..
회사에서 보내주는건 사정이 좀 다릅니다. 보통 임원다는사람은 박사 시키고 나중에 박사를 보내던 위로 올라갈거 같은 학사들 석사부터 보내거든요. 간판학력에 추가시키려고 보내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서 일반 학생들보단 간판 더 따질만도 합니다.

2025.09.22

모든일은 일반 상식선에서 생각하면 쉬운데 우리는 뒤에 내가 모르는 뭔가가 있을거야 라는 생각을 하면서 생각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계속 뻗치다 보면 결국에는 뒤죽박죽이 됩니다.
가만히 생각해 봅시다. 사기업은 지극히도 이익을 중시하는 집단 입니다. 생존과 직결되니까요. 회사에서 왜 돈을 들여가면서 공짜로 님의 석사공부 지원을 해
줄까요? 뭔가 회사에 도움이 될만한 지식을 가지고 오라는 의미가 있지 않을까요? 절대 공짜는 없습니다. S대 라는 타이틀이 회사 입장에서 필요할까요? 그런게 필요하다면 그쪽 출신을 헤드헌팅을 하던지 새로 입사 시키면 간단한 문제이지 않나요? 선택은 본인의 몫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