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부인턴의 고민

2025.10.04

2

384

안녕하세요, 현재 2학년이고 AI학과이며, 멀티모달 LLM분야를 바라보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현재 학부인턴중이고, 고민이 있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제 고민은 이렇습니다.

1. 현재 강화학습을 공부중인데, 수학 공식들이 워낙 머리에 잘 안들어옵니다. 이것들을 전부 외워야하나요?

2. 주에 논문 3개씩은 읽는데 연구 의의, 실험과정 및 결과 이 세가지에 집중해서 읽는데 더 보아야 하는 부분이 있나요? 아니면 논문을 따로 읽는 방법이 있을까요?

3. 논문을 AI로 통번역시켜서 읽습니다. 어학능력이 아직 부족해서요. 3-4학년때 토익을 끝장낼 생각인데 보통 언제 어학능력을 끝내는지 궁금합니다.

4. AI분야는 신기술이 많이나오고 메타가 획획 바뀐다고 들었습니다. 이 상황에서 지금 하던데로 가는게 맞는지, 아니면 뭘 더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길이란게 개척을 해야한다고 들었는데 그래도 막막하네요.. 같은 분야이신 분들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5.10.05

1. 어떤 정리와 공식들이 있고 어떻게 활용된다 정도만 알면 충분합니다.

2. 백그라운드가 핵심입니다. 그 외에는 내가 궁금한 부분만 보면 됩니다.

3. 보통 어학수준 상관없이 논문 읽는 훈련을 합니다. 그리고 사실 논문읽는 데는 어학 능력 못지않게 전공 지식이 중요합니다.

4. 제가 AI분야가 아니라서 해당 질문은 답변 못 드립니다만, 해당 분야 전문가인 지인에게 들은 바에 의한 부분적인 지식을 전해드리자면, 현재 활용되는 AI는 어차피 다 비슷비슷한 매커니즘의 머신러닝 방법을 쓴다고 합니다. 애초에 최근 떠오른 머신러닝 딥러닝 전부 개발된 지 20년도 넘었지요. 그러니 신기술이 많이 나온다...? 라는건 조금 동의하기 어려운 말씀으로 여겨지네요. 미래에는 어떻게 될 지 모르지만요.
한 가지 분명한건, 지금의 AI는 어디에 적용할 것인지가 핵심이고, 개발에 있어 코딩보다 데이터 수집이 압도적으로 긴 시간을 필요로 합니다. 메타 언급은 이 때문이 아닌가 싶네요.

대댓글 1개

2025.10.06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