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고려대학 뇌공학과

2020.08.27

6

12178

생명공학 학생입니다.

BCI랑 관련된 쪽으로 뇌과학 공부 하고싶어서

고려대 뇌공학쪽 대학원 알아보려는데 실제 그런 랩실에서 생명과학이 필요한가요?

원래는 unist dgist postech 알아보려다가 동기가 추천해주길래 질문드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0.08.27

뇌공학과 출신으로 현직에서 일하는 박사로서 말씀드리면, BCI는 10년 전 붐이 이미 일어나서 끝났습니다. 지금은 뉴로모듈레이션이 대세에요. 특히, 생물학 출신들 필요하지 않습니다.이미 많은 협업을 통해서 충분한 지식과 연구의 공유가 있는 상태입니다. BCI가 생물학이 필요할 것 같지만, 전기생리나 깊게 들어가는 뉴로사이언스 아니고는....안하시는 걸 추천할께요. 맵랩 프로그래밍, 신호처리와 같은 것은 기본적으로 해야지 되요. BCI 랩 중에서, 동물실험이나 등등 하는 곳이 있지만, 공대 출신이라고 못할 것도 아니고, 알아서 다 하게 됩니다. 생물학 학사정도 수준에서 생물학에 대한 지식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하지만, BCI는 기본적으로 생체 데이터를 분석해어 어떠한 알고리즘을 만들어야 하는데...수학과 컴퓨터 사이언스가 더 중요한 분야 입니다. 하지만, 뉴로모듈레이션을 하게 된다면 그에 따른 면역반응, 조직변화 등등 생물학으로 연결시킬 고리가 더 많습니다. 그리고, 고려대는 개인적으로 비추 입니다. 위에 말한 모든 과에 교수님들과 알고 있으나...BCI 자체를 비추합니다. 저도 유명한 곳 같은 분야 출신이지만...비추입니다. 저는 생물학, 신호처리, 전기생리학 등등 박사학위와 관련 분야 공학 생물학 관련 SCI 급 연구를 국제적으로 진행하였으나, 비추 입니다. 생물학 출신이 프로그래밍과 분석 툴을 잘 다루는 것은 십수년과 한국, 미국 포함하여 잘하는 것 보지 못했습니다. BCI에 가장 기본이 되는 신호처리는 수학적 방법을 사용하는 최신의 알고리즘을 이용합니다. 이미 AI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분석하기 시작한 건 십수년도 더 되었슶니다. 하실 수 있겠어요? 퓨리에 트랜스폼, Wavelet, 머신러닝 알고리즘 같은 거 하실 수 있겠어요?

대댓글 1개

2023.04.07

안녕하세요, 디지털 기반 뇌질환 진단 및 치료분야에 관심이 있는 대학원에 진학하고자하는 4학년 학부생입니다. 생명과학부 출신지만 위의 연구분야로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뇌공학과 뿐만 아니라 전자공학과 등 여러 과에 속한 랩실들을 찾아보고있습니다. 뇌공학과 출신 현직 박사님으로서 위의 연구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뇌공학보다는 전자쪽으로 대학원을 진학하는 것이 더 괜찮다고 보시나요? 물론 댓글에서 말씀해주셨던 것처럼 프로그래밍 실력은 아직 갖추고 있지 않지만 현실적으로 제가 위의 연구분야에 진출하기 위해 준비해야할 점이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여쭤보고자 연락드리게되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하며 답변 주신다면 어떠한 조언이라도 감사히새겨듣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Paul Dirac*

2020.08.27

뇌과학이랑 생물학이랑 연관있는것처럼 보이지만 특히 BCI랑 생물학이랑은 관련1도 없습니다. 하실거면 전기/전자공학 하셔야됩니다.

2020.08.27

카이스트 바뇌과 추천합니다

2020.09.16

전 심리과인데도 이번에 고대 뇌공과 지원하려합니다.. 그쪽에서 필요할지 안필요할지는 교수님들이 판단하실 문제일 것 같아요! 심리학과 뇌공학 누가봐도 상관관계 없어 보일테고 저 또한 제 자신이 부족한거 알지만 지원동기와 열정으로 어필이라도 해보려구여.. 같이 힘냅시다

대댓글 1개

2024.03.03

혹시 근황이 어떻게 되시는지 여쭈어봐도 될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