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카이 신생랩

2020.09.14

6

8511

카이스트 신생랩에 석사로 컨택하려고 하는데요 신생랩이면 교수님이 실적 뽑아서 자리잡으려고 열정적으로 지도해서 잘만 따라가면 석사 논문 잘 나올수 있지않을까 생각하면 편견일까요? 

실험하는 분야는 아니어서 실험실 세팅할일은 그닥 없을것같아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Friedrich Schiller*

2020.09.14

신생랩이라고 다 동일선상은 아니고, 교수가 조교수인지, 타학교/기관에서 경력직으로 온 부교수인지 차이도 큽니다.
전자는 교수님도 과제프로젝트 따오는 것부터 많은 경험이 없어서, 석사생이랑 같이 경험으로 배워나갈겁니다.(그나마 카이스트는 정착과제라고 2년동안 연구실꾸릴수있는 돈을 지원해주긴합니다.) 후자의 경우에는, 기존 진행하시던 과제를 들고오시고 장비들도 대여해오시기 때문에 랩세팅이 빠릅니다. 또한, 과제수주 경험이 그래도 많으시다보니, 제안서 등 가이드를 쉽게 해주실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적으로 연구실 세팅하고(장비가 필요없다고해도), 뭐 학과내에서도 그룹같은곳에 분명 들어가게될것이고, 여튼 이것저것 할건 많습니다.
신생랩에 가면 교수님도 초창기 맴버들이 어쩔수없이 각별하고, 이것저것 많은일을 해보면서 배우는것도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잡일만 하다가 연구실적 없이 석사졸업할수도 있습니다.
Friedrich Schiller*

2020.09.14

그리고 참고로 교수님이 열정있으시고, 연구지도도 열심히 해줄이미지긴 하지만, 의외로 이런저런 일들 처리하느라 초창기에는 논문이 나오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서울대든 카이스트든 초창기 교수님들보시면 부임후 1~2년에는 대부분 교수님의 기존 colleague 들이랑 같이 논문을 써서 실적을 대체합니다. 의외로 1-2년사이에 대학원생이 주저자고 교수님이 교신저자로 논문쓴 경우는 많지 않아요.

2020.09.14

답변 감사합니다 교수님께서 조교수이신데... 마지막줄에 1-2년 사이에 대학원생이 주저자고 교수님이 교신저자인 경우가 많지 않다는건 교수님이 바쁘셔서 적극적으로 지도받기 힘들어서 라는 뜻인가요??
Friedrich Schiller*

2020.09.14

그렇기도하고, 보통 연구실의 경우에도 저널을 쓰기시작하는게 박사1-2년차부터에요. 석사과정때는 수업도 3과목씩들어야되고, 잡일처리하다보면 1년은 정말 빨리갈거에요. 물론 교수님도 엄청 일이 치일거고요.
교수님이 그나마 박사과정 학생을 몇명뽑아서 그 학생들이 빠르게 실적을 내는게아닌이상.. 업무가 많은것도 그렇고 학생들이 실적을 내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리기도 하고요.
그렇다고 카이스트 교수면 또 저널도 아무곳이나 막쓰지않고, 적어도 20% 이상저널만 쓸테고요..
저도 아예 신생랩으로 시작해서 부교수밑이엿는데 똑같은일 다 겪었어요. 저희는 그나마 교수님이 과제도 쉽게따오시고, 교수님 성품때문에 인기랩되서 연구실이 좀 빨리커졌어요. 지금이 4년찬신데, 이제 논문들도 슬슬 나오고있고요..
Friedrich Schiller*

2020.09.14

여튼 배우는건 많을거에요. 대부분 신생랩들이 위계질서없이 다들 친구처럼 지내서 연구실분위기도 좋은경우 많고요..
그런데 선배가 없다보니, 사소한 어떤일을 하더라도 정보가 없어서 하나하나 다 내가 겪으면서 해결해나가야되요.
여튼 특히나 조교수시면.. 교수님도 학생도 다들 똑같이 하나씩 배우면서 시작할거에요.

2020.09.14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