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생으로서 공부를 하다보니 대학원까지 진학하여 공부하고 싶은 분야가 생겼고, 조사를 해보니 이 분야에서 유명한 교수님의 연구실이 포항공대에 계시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저희 과에서는 해당 분야로의 대학원 진학에 대한 전례가 없어 누군가에게 물어볼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여러분들께 아래 내용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학교와 학점이 중요하다고들 하는데, 그렇다면 학점이 아무리 좋아도 학교에 따라 서류에서 탈락하는 경우가 많이 있나요? (참고로 저희 학교는 이공계가 유명하지 않으며, 대학원 진학 사례가 드뭅니다. 그렇기에 학교에서 걸린다면 높은 확률로 1차 서류 탈락일거라 생각하지만, 여러분의 생각을 듣고 싶습니다. 참고로 현재 학점은 4.45/4.5입니다.)
2. 대부분 학부가 소위 고등학교때말하는 '서성한 중경외시..' 에서 외울수있는 수준의 학교 출신이여야 가망이 있습니다.
3. 특히 전자분야는 최근에 계속 핫한 분야이기 때문에 더더욱 최고의 학생들이 대학원으로 몰립니다.
4. 질문자분의 학점은 당연코 최상급에 속하겠지만 학부가 발목을 잡습니다. P도 제가 알기로는 학부수준에서 서류에서 많이 거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뭔가 서류에서 킥이 될만한(논문을 썼다던지) 수준이 아니라면 어려울것 같습니다.
5. K도 마찬가지고 S는 제 주변에도 지방의 A대 출신도 대학원에 진학한 사례가 있고, 이 게시판에서 글을 읽다보면 알수도 있듯이 희망하는 지도교수님과 면담을 통해 본인을 어필하여 합격가능성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6. 이 사이트에는 굉장히 공격적인 분들이 많은지라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George Washington Carver*
2020.10.07
서경대학교면 어느정도인지 잘 모르겠네요... 학점은 굉장히 좋은 편이고 석차는 1등이신거면 서류에서 합격할 가능성도 꽤 보입니다. 다만 인기랩이라 컨택이 관건이겠네요. 컨택이 된거라면 준비 열심히 해보세요.
Guillaume de Machaut*
2020.10.07
윗댓의 6번이 정말 공감되네요.
Anatole France*
2020.10.07
아마 서류통과가 힘들거라고 생각됩니다. 제가 본 가장 네임벨류 떨어지는 학교 출신이 부경대-한국해양대학생이었습니다. 거점국립대가 아닌 그냥, 그 아래급 국립대 학생 중 학점 탑이 서류 통과의 마지노선인듯합니다.
Pythagoras*
2020.10.07
자대 교수님들 괴롭혀서 논문 쓰시고 준비해보세요
컨택 해보시고 감을 잡는게 베스트이고, 지방인 분들도 그 정도 학점에 연구경험 좀 해보면 1차 해볼만 합니다. 다만 전자라 어렵긴 하겠지만 그 대가 분 연구 분야에 따라 달라지겠죠...
여기 P 관련 글 쓰면 다소 공격적이라 이상한 답글 달려도 크게 신경쓰지 마시고
영어만 잘 하시면 skp 위주로 준비 해보셔도 충분히 괜찮을 듯 합니다.
Anatole France*
2020.10.07
서경대학교의 입결이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얼마나 공부를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서 졸업후에 가능성은 지방 하위 국립대에 비해 낮은건 사실입니다. 하다못해 포닥을 나간다고 해도, 네셔널 유니버시티 학생이 훨씬 더 높게 평가받죠. 아주 최하위 국립대라고 할지라도 말이죠.
Theophrastus*
2020.10.08
학부 때 SCI를 내서 포텐을 입증하지 않는 이상 힘들 것 같네요.. 하지만 카이스트 경우 오히려 학점 (특히나 석차)를 많이 보기 때문에 가능성이 아예 없다고 생각은 안합니다. 그리고 3학년이시라면 편입을 한 번 도전해보시는 것도 현명할 것 같습니다. 윗ㅅ분 말씀대로 대학원을 어찌저찌가도 학계에 있는이상 학부가 계속 걸릴텐데 1~2년 투자로 바꿔볼 가치가 충분히 있어요. 본인 학업에 대한 열정이 진실된거라면요.
2020.10.07
2020.10.07
2020.10.07
2020.10.07
2020.10.07
2020.10.07
2020.10.08
2020.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