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생화학 실험실 (신경과학 연구)에서 대학원생 및 포스닥 모집합니다.
2025.10.31
0
27
연구분야: 본 연구실은 내분비 불균형(주요 유발인자: '스트레스 호르몬'인 Glucocorticoid 및 환경호르몬과 같은 Xenoestrogen)이 유도한 신경퇴행성 질환 발병 기전 규명과 유전자 타겟 기반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현재는 크게 두 가지 주제로 연구가 진행중입니다.
1. 스트레스 Resilience 유전자의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 효능
같은 스트레스 환경에 놓여도 어떤 개체는 정상적인 뇌기능을 보이는 'Resilience'상태를 보입니다. 우리는 이 Resilience를 유발하는 유전자/microbiome/관련 대사체를 찾았고, 이들의 신경퇴행성 질환을 어떻게 치료할 것인지의 효능을 평가하고자 합니다.
: 스트레스 Resilience를 유발하는 유전자 발굴과 이를 기반하는 '유전자 치료제'를 개발합니다. : 스트레스 반응을 억제하고, 뇌 친화적인 microbiome 유래 대사체를 발굴하고, 이의 효능을 평가합니다.
2. 환경호르몬의 신경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기능 및 엑소좀 분비 기전에 미치는 영향 탐구
: 핵심 기전 연구를 통해 환경호르몬의 세포 내 축적을 억제하고자 합니다 -> 주로 엑소좀 생성을 통해 Bisphenol A를 세포 외로 Excretion시키고자 합니다. :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엑소좀 분비 변화 메커니즘을 탐구하고자 합니다 -> 미세플라스틱의 세포 내 축적 기전과, 이의 배출 기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합니다.
* 연구 방법
다양한 신경세포 (Primary neuron/glia, Cell line, iPSC의 분화 등)을 이용한 기전 연구 환자 유래 iPSC를 이용한 신경세포/신경교세포 분화 -> 이를 이용한 신경과학 연구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분석을 통한 새로운 타겟 유전자 탐색 Gut-Brain axis, Exosome, 미토콘드리아 기능 평가 등 다양한 연구 진행 동물 인지/우울증 기능 평가 동물 모델 내 유전자 구조물 효능 평가(Stereotaxic injection)
* 지원 내용
1. 등록금 전액 지원 + 생활비 지원 2.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 3. 석사: 국내 및 아시아 학회 발표 및 참가 지원/박사: 국내 및 유럽/미국 학회 발표 및 참가 지원
4. 입학 전까지 학부 및 학사연구원 참여 (유급) 5. Post-doc: 연봉 및 인센티브 지급 6. 석사급 연구원: 연봉 및 인센티브 지원
향후 진로로 수의학, 의약학, 신경과학, 생물학에 관한 심도 깊은 연구를 하고자 하는 학부생, 학위소지 분들 환영합니다.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