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비전공자가 중국과의 반도체 격차 궁금하네요.

IF : 1

2022.08.02

8

4380

중국에서 tsmc 임원들 데려와서 7나노 양산에 성공했다고 하면서

기사의 내용을 보면 자칫하면 중국한테 반도체 기술격차를 따라잡힐 수도 있다는 염려의 기사를 썼더라고요.

그 기사를 읽으면서 궁금한 점은

1. 만약에 중국이 삼성, 하이닉스의 기술격차를 따라잡게 된다면 그대로 가격 경쟁력에서 밀려서 아예 사업을 접어야 할 수준이 되는건가요?

2. 만약에라도 중국에게 기술 격차를 따라잡히게 된다면 수많은 전자계열 대학원 전공자들은 그대로 일자리를 잃어버리게 되는건가요?

3. 현실적으로 중국이 반도체 기술 격차를 따라잡을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저는 다른 분야 전공자라서 궁금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IF : 1

2022.08.02

지금 말하는건 파운드리 아님?
그건 삼성하닉의 주력분야가 아님

대댓글 1개

IF : 1

2022.08.02

아 그렇군요. 비전공자라서 잘 몰랐네요...

IF : 5

2022.08.02

그 기술이 얼마나 어려운가도 중요합니다만 대내외적 경제 상황이 더 크게 좌우할 것 같습니다. 중국 정부가 지원금 보조금 때려넣기 시작하면 모르는건데 코로나 락다운 등으로 중국경제도 상태가 좋지 못해서요. 그래도 여전히 중국에서 발주넣는 장비나 자재 물량은 어마어마하긴 합니다. 부족한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 물량으로 때려박는 느낌이랄까... 저는 전공자에 업계 종사자인데 설마 굶어죽기야 하겠어 하는 마음으로 다닙니다.

대댓글 1개

IF : 1

2022.08.02

그렇군요 의견 감사합니다!

2022.08.02

디스플레이에서 LCD가 넘어가고 OLED도 최근 중국 점유율이 늘어나는 중입니다. 파운드리, 메모리/낸드플레시와 같은 반도체도 기술 격차가 예전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었고 지금 상태를 유지하면 따라잡힐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2022.08.02

현직자인데 한국에서 주력인 memory는 아직 속빈강정입니다. 올해는 다르다! 만 한 5년째인것같고 반도체 보조금 정부에서 천문학적으로 쏟아부어도 거기는 윗사람들이 주머니로 해먹는 수준이 걍 조단위에요. 메모리보다 파운드리가 훨씬 힘든데 전 부정적으로 보고있어요 ㅋㅋㅋ 차라리 미국 마이크론의 진격을 더 신경써야할것같아요

2022.08.02

먼 몇나노 디램 몇나노 낸드 개발 성공했다 양산 착수한다 하는게 매번 기사거리가 되는데, 만드는거 성공! 박수 짝짝짝 하는거랑 그거 시장에 내놓아서 점유율을 1%라도 올리느냐는 걍 다른얘기에요. 시장에서의 싸움은 개발,양산 이후 얼마나 쥐어짜서 비용 최소화하냐 싸움인데 ㄹㅇ 회사명운은 이 싸움부터 부터 시작입니다. 당연히 자만하고 방만하면 안되겠지만 호들갑 떨 수준은 아닌듯..

2022.08.10

일단 메모리와 파운드리의 진정한 기술력은 기술 개발이 아니라 양산 수율 및 수익성입니다.

메모리에선 가장 대표적인 예가 램버스죠..
기술적으론 훨씬 뛰어난데 싼 디램을 못이기고 사라졌습니다..
중국의 디램은 지금 기술적으로도 아직 몇년 뒤쳐져 있고 양산시 수율과 수익성은 공개 안해서 밝혀지지 않지만 수십조 이미 공산당이 때려박은건 널리 알려져있고 삼성 하이닉스 메모리 사업부 수익 보시면 얼마나 양산 수율이 좋고 수익성이 높은지 확인 할 수 있죠.

파운드리도 비슷하게 7나노 했다고 하지만 EUV장비를 도입하지 못해서 수율 개박살났을건 뻔하죠..
그래서 실제 7나노 고객이 샘플 몇백개 받고 나머지 물량은 계속 연기되고 있다고 하고요..
그 욕먹는 삼성도 그래도 일정 수율 되니까 수율 안나오면 웨이퍼 더 때려박아서 물량은 맞추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반도체/AI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반도체/AI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