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근데 진짜로 과기원 간 차이가 있나요?

2024.06.05

29

7965

예를 들어 DGIST 입시요강부터 강조하는 '인지컴퓨팅' 같은 분야여도 DGIST 버리고 KAIST 가나요......? 저는 각 과기원마다 1티어 분야가 있는 건줄 알았는데 SKP니 SPK니 지디지유니는 한 등급 아래니 이런 얘기들이 김박사넷에 엄청 있길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2024.06.05

물론 각 연구실의 수준을 봐야겠지만, 평균적으로 보면 당연히 카이스트가 한 수 위죠.

2024.06.05

ist에서 밀어주는 분야도 k랑 고민하다가 세부분야가 안맞거나 실적차이가 나지 않는 이상에야 k 랩실 갑니다. k가 실적도 좋고 역사, 인지도도 좋아서요. 선망 같은것도 있구요

2024.06.05

그것도 보통 연구실 대가랩이 유명한거여서 대가랩 컨택만 된다면 그 학교가 어디든 그 랩실을 가는게 맞습니다. 학부도 아니고 대학원생 기준에서는 학교보다 연구실이 100만배 중요합니다.

대댓글 4개

2024.06.05

우리나라에 그정도 만한 대가가있긴한가요?
그냥 카이스트가는게 낫죠…

2024.06.06

대댓글 쓰신분은 뭘 모르시는듯?

평균적인 카이스트 교수님 대비 해외랑 코웍 많이하고 빅페이퍼 많이나오는 타대 연구실이 기회가 훨씬 더 많은게 당연한 사실인데;

2024.06.06

마키아벨리님은 카대생이신가? 과도한 자부심???

2024.06.07

아뇨... 저는 학부까지만 한국에서하고 미국에서 박사중입니다..
그정도로 학교랭킹낮추면서까지 갈정도로 대단한 대가가 한국에도있나싶어서 여쭤본거에요...
미국은뭐 자주있는일이긴한데
한국은 서울대 카이스트가 확실히 타 학교보다 우위잖아요

2024.06.05

세계 변방의 대학들인데 차이 별로 없음

대댓글 1개

2024.06.05

해외에서 카이스트는 많이 알아요 특히 연구좀 하는 데서는 대부분 인지함

2024.06.05

카이스트랑 타 ist는 아무래도 차이가 있죠
다른 ist끼리는 없다고 봐도 무방

대댓글 2개

2024.06.05

어떤기준으로 ist끼리 없다는것인지 의문이 들음. 인지도? 입결?
난 박사라 그런지 몰라도 인지도, 입결은 신경 안쓰고 논문실적만 보는데 nature index랑 leiden에서. d랑 g는 u랑 차이가 크지

2024.06.05

제가 유니스트 인턴중인 학부생인데 잘 몰라서 인지도 측면만 말한 것 같아요

2024.06.0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진짜 얼마나 입시업체를 통해 세뇌가 되었으면.. 물론 대학원 시스템을 잘 모르는 나이이긴해도, 학교급을 따지는 지경까지.. 본인이 필요로 하는게 novel한 연구인지 학교간판인지 잘 생각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4.06.05

저도 대학원 준비하는 학부생인데 서열 놀이에 세뇌가 된게 맞는거 같아요

2024.06.05

평균적인 실적만 봤을 때
카이>>유니>디지=지
인듯.
근데 님이 지원하는 랩 보고 가세요.

2024.06.05

매우 큼

2024.06.05

카이 외에는 솔직히 수도권대학들보다 연구역량이 뒤쳐짐..

대댓글 4개

2024.06.05

유니는 찾아보면 그런 말 안나옴. 준카이스트 급

2024.06.05

현직 수도권 교수인데, 그건 아닙니다.

2024.06.05

제대로 연구하고 싶어하는 많은 신임 교수들이 SKP 바로 다음으로 생각하는게 IST입니다.

2024.06.06

카이다니시나봐요? ㅋㅋㅋ

2024.06.05

젤 중요한건 교수님 및 연구실에서의 fit인데요, 일단 연구실과 케미 상관없이 AI같은 자세로 러닝하다가 너무 힘들면 다른 랩이나 학교로 옮길 의지가 있다고 한다면 일단 K의 유명 학과 아무랩을 가도 많이 배워서 결국 좋은 연구자로 성장 할 수 있어요. 근데 그러기가 쉽지 않을듯하면 ist와 서성한까지 포함하여 fit 잘맞을것 같고 연구실선배들 output 좋은 랩 가는게 최고입니다

2024.06.05

차이가있든없는 좋은학교는 좋습니다~

2024.06.05

1. 대학간 차이.
카이스트는 압도적 최고임.
UNIST는 상승세, GIST는 유니스트보다 역사가 있음.(대략 동급?) DGIST도 위와 동급(카이스트 제외)인데, 살짝은 역사나 여러가지로 조금은 아래의 느낌임.

2. 개인의 입장에서는 본인에게 맞는 곳이 정답임.

대댓글 2개

2024.06.05

유니랑 지스트는 동급 벗어난지 오래됨. 훌리가 아니라 전기전자, AI, 기계 다 찾아보면 실적 차이 대놓고 남.
디지스트가 지스트보다는 학교 운영 잘하고 있고 세계 대학 평가에서도 지스트 위임.
U > D=G
가 요즘 추세임.

2024.06.06

저도 동감합니다 unist는 그래도 연구 잘하는거같던데

gist dgist보다는 분야도 그렇고 몇수는 위인듯

2024.06.05

대학레벨로 보면

카이스트 >>>>> 나머지 과기원입니다

차이가 없다는 말 누가 하는지 모르겠군요 ㅎㅎ...

교수님의 실적이 비슷하다는 말이겠죠 하지만 대학 레벨 나중에 취업할때도 절대 무시 못합니다

2024.06.06

유니스트 다니는 사람이 많나보네

2024.06.07

아직도 학부시절 학벌줄세우기에 목매시나요.. 대학원은 자신의 연구주제와 맞는 대가랩으로 가야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