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이제 석박통합과정 2기에 있는 학생입니다. 어느 정도 데이터가 모였다고 판단하셨는지 교수님께서는 이제 figure를 만들고 쓰기 쉬운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같은 파트를 슬슬 작성하라고 하시는데 이게 읽던거와는 다르게 제가 직접 작성하려니까 생각보다 쉽지는 않더라구요.
대략적인 글을 만들고 이를 제가 영어로 바꾼후에 gpt를 통해 업그레이드 하니까 제가 일일히 수정하는 것보다 시간도 적게 들고 퀄리티도 훨씬 높은 것 같은데
여기서 생기는 고민이 gpt를 계속 이용하다보면 글의 퀄리티는 훨씬 좋아질 것 같은데, 막상 저 혼자 논문을 작성하지 못하는 게 아닐까 걱정이 됩니다. 앞으로는 gpt가 계속 쓰일테니 gpt로 계속 작성을 하는게 맞는지, 아니면 저의 문장 구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gpt 없이 연습하는게 필요한지 고민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11.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활용해서 자신이 문장을 검토하고 고칠 수 있다면 충분히 잘하고 있다고 봅니다.
대댓글 1개
2023.11.28
조언 감사합니다!
2023.11.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시대의 변화를 잘 따라가는 것도 도태되지 않는 능력임.
작문도 gpt가 잘 써주는데 굳이 본인 능력이 안 는다고 걱정할 필요가 없음
앞으로는 더욱 이런 생성형 봇이 많이 기여할 거고 작문은 걱정하지말고 데이터를 어떻게 논리적으로 구성할 것인지에 많은 고민을 하셈
대댓글 1개
2023.11.28
조언 감사합니다~
2023.11.28
굳이 있는 도구를 다룰 수 있는데도 안쓸 필요가
2023.11.28
chat gpt가 고쳐주는거 보고 배우면 되죠 나 혼자 쓰는거보다 누가 고쳐주고 읽어보는게 더 빨리 늘듯
2023.11.28
저도 챗지피티 없이 이제 논문쓰는법도 까먹을정도로 엄청 많이 사용하는데요 그래도 가끔은 챗지피티가 아니더라도 내 문장을 만드는 법을 같이 병행하는게 좋지 않나 싶어요. 김대리 무적권 엑셀 팡숀 쓰지 마세요 느낌보다는 수기로 어떻게 하는지 알아야 에러가 났을때 잡는법도 아는거처럼요. 어렵게 하기보다는 시간없거나 귀찮을때는 지금 하는것처럼 하시되 가끔 문단 하나 정도는 내가 챗지피티 안쓸 요량으로 써보고 챗지피티 돌려보는 정도로 하면 될거같습니다
2023.11.28
5년 10년 뒤에는 지금 gpt보다 훨씬더 작문을 정교하게 도와주는 프로그램들이 더 생길겁니다. 본인은 작성된 글을 잘 판단할수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에 더 집중해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2023.11.28
휴대폰 생기고 전화번호 수첩 쓸 때와 달리 전화번호를 못 외우게 되어도 그것가지고 문제삼는 사람은 별로 없었습니다. 도구는 쓰라고 있는것입니다.
2023.11.29
쓰시는 것은 좋으나 원칙적으로 Chat gpt 혹은 grammarly를 사용하여 논문 작성 시 사용했다고 acknowledge 해야 합니다. 하지만 아무도 안하죠 잡을길도 없고요..
2023.11.28
대댓글 1개
2023.11.28
2023.11.28
대댓글 1개
2023.11.28
2023.11.28
2023.11.28
2023.11.28
2023.11.28
2023.11.28
2023.11.29
2023.11.29
2023.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