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학교 옮기세요. 30대 초반이면 안 늦었습니다. 동아시아 학생이 많아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이 많다는걸 글쎄요....
중국이 많다라면 이해가 될거같은데... 학교가 그리 높은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미국와서 펀딩 이슈로 단 한번도 실험에 제한이 있었던 적이 없는데 의아하네요. visiting도 갈 수 있다는 보장도 없을 뿐더러 결국 제한된 시간에서 해야되는거라 데이터 나올지도 의문이구요.
학교를 잘못 온 것 같습니다
11 - 장점이 없는 것보단 나음
학위 안주고 년차채우고 내쫓는 교수도 봤음
실적 없어도 일찍 졸업시켜주는 연구실 좋은 곳인가요?
29 - 충분히 명석하고 성실하였음에도 대학원 진학 후 연구나 연구실 분위기가 적성에 맞지 않아서, 혹은 다양한 이유들로 열의를 잃고 만족스러운 성취를 보이지 못하는 사람들은 남편분이 처음도 아니었고 마지막도 아닐겁니다. 그래도 그 사람들 어딘가 가서 잘 살고 있습니다. 다시 열정을 되찾고 연구를 지속하는 경우도, 졸업은 겨우겨우 하고 직장 가서 또 잘 적응하는 경우도, 아예 학위 과정을 때려쳐도 거기에도 또 삶이 있습니다. 다만 주위 사람들이 잘 지지해주면 더 큰 힘이 되겠지요. 윗분들이 말씀하신것 처럼 일상생활에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작은 기회로 시작하시고 또 전문가와 상담을 반드시 병행해보세요. 잘 이겨내실겁니다.
꿈, 목표 의식이 없는 남편 (조언 부탁 드립니다)
20 - 로보틱스, 김씨
에트리에 학부생 착취하는 연구원 있음 조심해라
23 - ㄱㅈㅇ
에트리에 학부생 착취하는 연구원 있음 조심해라
19 - 이런건 진짜 실명박제해야됨 대학원에서도 그랬던 인간들 계속 그러는듯
에트리에 학부생 착취하는 연구원 있음 조심해라
11 - etri 선연출신인데, 솔직히 학부연구생 필요없어도 실장님이 의무감으로 뽑는경우가 대다수였습니다.
학부인턴동기들 야근이 일상이라고 하시는데, 어느팀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원내에서도 꽤나 유명한 하드워커였고, 당시에는 여자친구(현 와이프)와 떨어져지냈어서 매번 저녁식사하고 9-10시에 퇴근했습니다.
그러다보면 당연스럽게 우리 실뿐 아니라 늦게까지 일하는사람들은 많이들 알게됩니다. 그중 학부연구생이 있는건 정말 한번도 못봤습니다.
에트리가 워낙 규모가 커서 제가 당연히 다 알지는못하고, 분명 실력없는 분들도 많지만 반대로 실력 훌륭한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저도 여러가지 불만족스러워서 나온케이스고 에트리의 여러문제점들을 김박사넷 혹은 하브넷에서도 공유하지만, 이런식으로 일반화 하는 말에는 공감하기가 어렵습니다. 솔직히 학부생들이 전반적인 큰그림 못보시면서 본인의 실력을 유독 높게평가하는 경우일수도 있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됩니다 ㅎㅎ
그리고 제가 있던 실을 포함해서 대부분의 인턴들은 솔직히 말해서 하는것없이 그냥 적당히 놀다가 돈벌고 가는경우가 대다수였습니다. 원내에서도 디자인 하는사람이 차라리 도움되지, 학부생들 와봤자 신경만써줘야하고 귀찮다는 평이 정말 많았고요. 본인 주변에 얼마나 열심히하는 사람들이 많았는지 모르고, 얼마나 잘하셨던 학부인턴생들이였는지 모르겠어서 어느 실인지도 궁금하긴 하네요.
에트리에 학부생 착취하는 연구원 있음 조심해라
17 - 논문을 썼으면 후순위 공동 1저자죠. 아이디어와 실험도 중요하지만 논문의 질을 결정하는건 논문의 흐름과 논리입니다
논문만 작성해줘도 공동 1저자 요구할 수 있을까요?
26 - 아니 논문 80%를 본인이 썼는데 뭔 후순위 공동저자임 ㅋㅋ 무조건 맨앞자리 1저자지
다들 간과하는게있는데 실험이나 아이디어가 중요한게 아니고 논문을 직접 '작성'한 기준으로 기여도가 정해지는거임
80% 쓴 본인이 공동1저자 퍼스트, 석사후임이 그 다음임
논문만 작성해줘도 공동 1저자 요구할 수 있을까요?
22 - 이게 이상적이라고 할 수는 있어도, 현실적으로는 이렇게 되면 같이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이 없겠죠... 앞 1저자는 주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논문만 작성해줘도 공동 1저자 요구할 수 있을까요?
11 - 공공기관이나 공시면 면접이나 입사 시 서류점수 불이익을 걱정하시진 않으실거같고, 어디 가서 저 박사 받았는데 동국대입니다 라고 할때 면전에서 무시하는 사회성 박살난 사람들은 그다지 없습니다. 속으로 좀 무시하는 생각을 할 수도 있는데, 사회생활 경험 많고 성숙한 사람들은 학교 간판이야 부질없다는 걸 알기때문에.. 다만 작성자분을 싫어하는 사람이 뒷담화를 할 때 학벌을 가십거리 삼는 정도는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그리고, 이공계도 졸업 최소 요건만 채우면 졸업 가능합니다. 랩 출근해서 연구활동을 안하면 학위논문 쓰는게 불가능해서 그렇죠. 제가 아는 몇 경제학과나 경영학과 친구들은 비슷한 이유로 연구활동을 하기는 했습니다.
동국대 박사 졸업하면 무시하나요?
14 - 그리고 이곳은 대부분 이공계 대학원생들이 모이는 곳이고, 많은 사람들이 수업 이외 연구활동에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끝에 학위를 수여받는 것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박사학위는 단지 수업을 잘 들었다고 수여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연구로 아무도 답하지 못한 질문에 대답하여 학문 발전에 기여했음을 인정받는 것이라 여깁니다. 그렇기 때문에 학위 자체의 의미보다는 학위과정동안 어떤 연구를 하였고, 그 연구가 기존 연구자들에게 어떻게 인정받았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죠.
작성자분의 의도가 그렇다 생각되지는 않지만, 연구에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학위라는 장식만 받고싶다고 오해를 살 여지가 있어보이네요.
동국대 박사 졸업하면 무시하나요?
12 - 글쓴이가 정말 그렇게 생각한다면 정말 심각한 수준임. 치팅을 옹호하는 스탠스로 니가 문제 제대로 제출마지 그랬냐고 강변하고 앉았네. 공부 더럽게 못 하는 애들 공통 특성인 듯.
인공지능으로 시험문제를 푼 대학원생, 학부생이 못마땅한 교수들
10
미국 대학원 랩실 알아보는 방법 / 해외대학원 커뮤니티가 있는지?
2020.08.18

안녕하세요, 미국 공대 탑10 학교에서 이제 3학년으로 올라가는 학생입니다.
이번 여름에 SPK랩에 컨택해서 타대생임에도, 학부연구인턴으로 있어봤는데요,
자대에서 2년간 연구실에 있던 경험도 있고,
2학년이 끝난 여름방학에도 SPK에서 인턴도 해보다보니
3학년이 끝난 여름방학땐 아예 제가 대학원으로 가고싶은 미국 랩에 미리 컨택을 해서 지금처럼 컨택을 해서 가능하면 인턴을 해볼까 합니다 (안되면 자대 리서치 프로그램을 할듯합니다)
개강전에 시간도 남고 해서 겸사겸사 미국 내 제가 관심있는 분야를 다루는 랩실을 찾아보고있는데,
가뜩이나 랩실찾는것도 힘든데 워낙 대학이 많다보니 더 어렵게만 느껴지네요.
현지서 수학중이신 다른 선배님들은 어떻게 알아보셨었나요??
현재까지는
1. 구글에 대학 이름 + 관심 연구분야 lab을 검색후, 상위검색에 뜨는걸 찾거나
2. 대학별 홈페이지에 들어가 directory나 faculty를 보며 찾거나,
3. 논문에서 자주보던 이름을 위주로 검색해보았습니다.
지금까지 한 8개의 학교들을 이런식으로 찾아봤는데, 솔직히 제 성적에 비해 너무 욕심을 부리는게 아닐까 싶어서 눈을 조금 낮춰서도 찾아보려합니다.
문제는 이렇게 찾다보니 연구실 수도 너무 많아져서 스스로 비교하기가 어려워지는데요, 선배님들의 고견을 묻습니다.
또, 국내에 김박사넷과 같은 해외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커뮤니티가 따로 있을까요?
Bric, 고우해커스, 하이브레인넷등을 봐도 국내위주가 많아서 그냥 레딧을 봐야하나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0 6 29971
Top3 포닥/ 20~30위권 미박 김GPT 6 44 9439
서울대 파트타임 석사 김GPT 0 1 2246-
3 18 4153 -
0 5 2899
교수님이랑 오늘 컨택 면담 했는데 김GPT 0 5 1376
파트타임 학생은 김GPT 0 3 1891-
2 9 1939 -
0 5 1592 -
102 42 10758
슬픈 국내 AI의 현실 명예의전당 147 39 49649-
166 52 61221
미국 유학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미국 유학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첫 논문 작성할 때 레퍼런스 정리 꿀팁 (+a)
239 - 지거국 자대 석사중인데 학부연구생 런치는거 흔함
46 - (장문) 박사과정은 낭만이다
116 - 연구실 사람들과 교수님께 쌓인 한 어떻게 하시나요
16 - 수준 떨어지면 읽지마아 2탄
23 - 연대 의과대학 서류 합격했는데 면접 준비 어떻게 하나요..
7 - 대학원 학벌 vs 성과
4 - 연대 대학원 서류 탈락했는데 재수해도 가망 없을까요?
8 - 에트리에 학부생 착취하는 연구원 있음 조심해라
44 - 박사과정 중인데 현타가 좀 쎄게 오네요
5 - 마음 급한 학부생 살려주실 의인 찾습니다.
5 - 제일 잘하는 선배 왕따
5 - 사실 요즘 대학원생 공급량 보면 미래가 보이긴함
9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한양대 학부 정도면 미국 top 10 석사 가능할까요?
13 - 학부 졸업 후 미국 석사 지원 준비 시에 할 만한 것이 있을까요?
10 - UC 데이터 사이언스
13 - 컴퓨터 아키텍처 쪽은 미국 대학원을 가야하나요?
11 - 꿈, 목표 의식이 없는 남편 (조언 부탁 드립니다)
33 - 논문만 작성해줘도 공동 1저자 요구할 수 있을까요?
28 - 저희 교수님은 제가 싫은거겠죠
20 - 교수님이 타대생 안뽑았으면 좋겠다..
13 - 석사 논문 마무리 원래 힘든가요?
12 - 1저자와 교신저자에 관해서?
14 - 국립대랑 사립대 중에 믿을 만한 곳은 어디인가요?
11 - 동국대 박사 졸업하면 무시하나요?
24 - 인공지능으로 시험문제를 푼 대학원생, 학부생이 못마땅한 교수들
13

2022.03.21